불씨잡변

 

佛氏雜辨
1. 개요
2. 내용
3. 비판과 의의
4. 여담


1. 개요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유명한 삼봉 정도전이 태조 7년(1398)에 탈고한, 성리학 관점에서 불교를 비판한 저서. 불씨(佛氏)란 유학자들이 부처를 낮춰 부르던 단어로, <불씨잡변>이란 제목을 우리말로 풀어쓰자면 '부처씨의 주장에 대한 여러 변박' 정도 의미가 되겠다.[1]
정도전의 스승인 이색이 활동하던 시기는 고려불교세력의 극심한 민폐(불교의 폐단)로 새로운 사회를 원하는 목소리가 커져 불교가 가라앉고 최신 학문인 성리학이 전래되어 유교가 떠오르던 때였다. 이에 정도전이 <심문천답>, <심기리편>, <불씨잡변> 등 불교를 비판하는 책을 쓴 것이다. 정도전은 책을 집필하고 몇 달 지나지 않아 1차 왕자의 난으로 목숨을 잃었다.

2. 내용


항목 총 19개[2]로 구성되는데 다음과 같다.
  • ①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 ②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 ③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辨)
  • ④ 불씨작용시성지변(佛氏作用是性之辨)
  • ⑤ 불씨심적지변(佛氏心跡之辨)
  • ⑥ 불씨매어도기지변(佛氏昧於道器之辨)
  • ⑦ 불씨훼기인륜지변(佛氏毁棄人倫之辨)
  • ⑧ 불씨자비지변(佛氏慈悲之辨)
  • ⑨ 불씨진가지변(佛氏眞假之辨)
  • ⑩ 불씨지옥지변(佛氏地獄之辨)
  • ⑪ 불씨화복지변(佛氏禍福之辨)
  • ⑫ 불씨걸식지변(佛氏乞食之辨)
  • ⑬ 불씨선교지변(佛氏禪敎之辨)
  • ⑭ 유석동이지변(儒釋同異之辨)
  • ⑮ 불씨입중국(佛氏入中國)
  • ⑯ 사불득화(事佛得禍)
  • ⑰ 사천도이담불과(舍天道而談佛果)
  • ⑱ 사불지근연대우촉(事佛至謹年代尤促)
  • ⑲ 벽이단지변(闢異端之辨).
이렇게 19개 항목의 제목에서 드러나듯 불교의 핵심교리인 윤회인과자비 등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불교를 민심을 현혹시키는 사교(邪交)라고 단정짓는다. 성리학자였던 만큼, 정도전은 불교를 비판하기 위해서 성리학의 핵심개념인 이(理)와 기(氣)를 활용한다.
대충 요약하자면 '''"세상 삼라만상의 보편적 원리에는 이(理)가 자리잡고 있다. 또한 인간의 마음을 주재하는 핵심요소는 이(理)이다. 이(理)가 만물의 원리인 만큼, 인간의 마음이 곧 본성이다. 그런데 불교는 인간의 마음과 본성(心性)을 구분지으니 잡소리다."'''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양나라와 같이 불교로 인해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진 역사적 사례를 제시하여 주장을 보충한다. 즉 전체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불교는 그 근본에서부터 인간과 우주에 대한 인식이 잘못되었고,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의(義)를 망각케 하여 사회를 무너뜨린다."'''이다.

3. 비판과 의의


불씨잡변에 등장하는 비판은 당시 타락한 불교에 대한 불만[3]과 사대부들이 지닌 유교적 관점의 한계를 넘어설 수 없다. 그러나 조선 성리학의 역사 속에서 불씨잡변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이 있다. 바로 성리학이 원나라로부터 전래하고 아직 시간이 별로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를 비판하고 유교적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성리학의 핵심관념인 이기론을 나름대로 훌륭히 구사했기 때문. 또한 역사적으로 보자면 조선왕조의 숭유억불 정책에 기여했으며, 동시에 삼국시대 이후 천 년 넘게 한반도에 존재한 불교사회를 유교사회로 변모시키는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불교 내부에서도 사찰이 토지와 노비를 많이 소유하고, 윤회를 빙자하여 많은 사람들을 혹세무민한 것을 수치로 인식한다.[4]

4. 여담


삼봉 정도전이 이 글을 탈고한 시점은 태조 7년(1398)이었지만, 그해 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 의해 정도전이 살해당하면서 한동안 <불씨잡변>은 잊혔다. 그러다 수십 년이 지난 뒤 정도전의 먼 친척이 이 글을 발견하여 세상에 다시 빛을 보았다. 서문은 권근[5]신숙주가 작성했다. 초간본은 별도의 단행본으로 제작했으나, 이후 후손들이 정도전의 글을 모은 삼봉집을 편찬하면서 여기에 합편하였다.
현대 한국의 고고학자들에겐 한반도 고고학을 고생길로 만든 신호탄처럼 간주되기도 한다(…). 이 책과 함께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이 시작되어, 그 이전까지 한반도 불교 국가들이 남긴 문화재들이 버려지거나 손상된 것들이 너무 많아졌기 때문이다. 현대에 와서 불씨잡변이 그다지 좋은 평가를 많이 못 받는 것도 이 점과 어느 정도는 관련이 있다. 당대에 억불정책이 사회에 적절했느냐 아니냐를 떠나서, 현대에 활동하는 고고학 연구자들 입장에선 '숭유억불로 인해 소실된 유산이 너무 많다.'고 판단하는 것도 그다지 무리가 아니다.
도올 김용옥MBC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강의를 할 때, 불씨잡변을 강의하며 마치 정도전이 빙의한 듯 불교를 무자비하게 까내렸는데, 이 때문에 당연히 불자들과 불교계가 발끈 뒤집어졌다. 물론 김용옥은 유불선을 어느정도 공부한 사람이었고, 이 강의를 하기 몇 년 전에는 지상파에서 불교 강의도 했고, 달라이 라마와도 만나는 등 불교를 모르는 사람이 아닌지라 불교계가 이를 충분히 반박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긴 했지만, 워낙 과몰입을 해놔서 화제가 되었던 것.
관련 기사들 : #, #, #
김용옥이 어떻게 강의했는지는 옆의 해당 블로그를 참조. #

[1] '잡변'이란 말을 '잡소리에 대한 반박' 내지는 '불씨가 지껄이는 '''잡소리''''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으나, 원래 잡(雜)이라는 한자는 '대수롭지 않은 것들이 많다.'는 뜻이다. 가령 범죄자 여럿을 치죄하기를 잡치(雜治)라고 하고, 여러 가지를 기록한 것을 잡기(雜記)라고 하며, 여러 가지 주제를 자유로이 읊은 시를 잡영(雜詠)이라고 한다. 또한 변(辨)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다.'는 뜻이므로 '잡변'이란 말은 '잡다한 변박'이라고 해야 자연스럽고, 책 목차도 '불씨XX지변'으로 명명한 항목이 많음이 이를 말해준다. '불씨XX지변'이라고 명명한 글 여러 개를 모았으니 <불씨잡변>... 하필 '잡'이라는 한자를 사용한 것은 '불씨의 주장을 반박하는 데 굳이 거창한 이름을 붙일 필요가 없다.' 하는 멸시의 의도가 있을 수 있다.[2] 정확히는 20개지만 맨 마지막 항목은 저자 자신의 부록 설명 정도이니 실질적으로는 19개이다.[3] 당장 원문의 내용만 보더라도 각 편의 서문들마다 당시 불교의 비행이 중심적이었다. 예를 들어 교리를 대충 들어놓고 그 교리에 따라 '당시 승려가 어떻게 민중들에게 약을 파는가' 따위였다. 따라서 냉정히 말하면 불교 교리에 대한 기호론적인 이해는 사실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다.[4] 오늘날의 기독교와 비슷했다고 보면 된다. 그 당시 불교에 대한 적대감은 불교계 스스로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5] 정도전이 살아생전에 부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