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리아
- 스테이크 전문점: 브라질리아(레스토랑)
- 축구선수: 브라질리아(축구인)
- 문명: 비욘드 어스의 스폰서: 문명: 비욘드 어스/브라질리아
- 왁싱: 브라질리언 왁싱
비행기 모양으로 설계되어 지어진 계획도시이다.
[clearfix]
1. 개요
브라질리아는 브라질의 수도로 낙후된 브라질 내륙 지역의 균형 발전을 목적으로 양대 도시가 있는 해안지역과 떨어진 내륙에 건설한 곳이다.
[image]
위 지도에서 플라누필루투(Plano Piloto)가 바로 브라질리아다.
연방국가인 브라질의 수도이기 때문에 브라질의 그 어느 주에도 속해 있지 않으며, 브라질의 26개 주와 동격인 연방직할구(Distrito Federal)에 속해 있다. 연방직할구에는 브라질리아 이외에도 30개나 되는 행정구역이 있지만 연방직할구의 행정중심지가 바로 브라질리아고 브라질리아의 인구가 연방직할구 전체의 5/6을 차지하기 때문에 연방직할구와 브라질리아는 사실상 동격으로 쓰인다.
2. 연혁
브라질 내에서 내륙 천도 얘기가 나온건 오래되어서 이미 19세기부터 수도 이전에 대한 제안들이 나왔고 헌법에도 내륙지방으로의 천도가 명시되었다. 새로 밀려오는 이민 인구의 절대 다수가 동부 해안가 일대와 그 근교지역에 집중되고 브라질 내륙고원지역은 인구의 유입이 적어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낙후되어버렸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까지도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수도 이전이 별로 힘을 받지 못하다가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50년의 진보를 5년만에!"를 슬로건으로 내건 주셀리누 쿠비체크(Juscelino Kubitschek de Oliveira, 1902~1976)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수도 이전론이 힘을 받게 되었고 1958년에 건설에 착공했다.
제대로 된 도로조차 없는 곳이었지만 빠른 속도로 건설되어서 불과 2년도 안 되어 완공되었다. 개막일이 로마의 신화상 건국일인 4월 21일이었을 정도로 브라질인들에겐 야심찬 도시였다. 브라질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인 루시우 코스타의 계획에 따라 비행기 모양을 본따서 설계해 비행기 조종석에 해당하는 부분에 국회 등 정부기관을 두고, 양 날개에 주거지역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지어졌다. 의회의사당, 대성당등 도시의 주요 건물들이 UN 본부를 설계한 브라질 대표 현대 건축가인 오스카르 니에메예르[3] 의 지휘 아래에 건설되었다. 세계적인 건축가가 지은데다가 당대의 모더니즘 이상을 구연한 덕에 미래도시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1960년 완공 이후 불과 27년 만에 이러한 점이 인정되어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떠들썩하고 지저분한 브라질의 도시와 차별화하겠다고 설계하는 과정에서 녹지비율을 높게 책정했는데[4] 이 때문에 도시가 개발 완료된 이후에 중간에 지나치게 텅텅 비어보이는 단점도 두드러졌고 대중교통망이라도 잘 짜여져 있으면 그나마 커버가 가능했겠지만 하필이면 도로 위주로 교통망을 설계했던 데다가 대중교통망은 부실하기 짝이 없었고, 심지어 사람이 다니는 인도도 부족한 상태였다. 실제로 브라질리아에서는 사람들이 인도가 부족해 무작정 차도를 건너다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브라질리아의 교통사고율은 미국 평균의 약 5배에 달한다고 한다. 초기 브라질리아에 입주한 사람들 사이에서 도시가 너무 삭막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대중교통망을 포함한 전체적인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점까지 겹쳐서 브라질리아 염증이라는 단어가 나왔을 정도다. 초기 브라질리아에 입주한 고위 정치인과 중앙정부 공무원들은 업무를 보는 주중에는 브라질리아에서 머물다, 주말이면 다들 리우나 상파올루로 빠져나가 도시가 텅 비기도 했다. 또한 당초에 인구 50만의 도시로 계획되었지만 북동부지역으로부터 일자리를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와 인구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근교지역에서 난개발이 벌어졌고, 이로 인해 처음의 화려한 관심에 비해 많이 빛이 바랬다. 브라질리아, 그 미완의 기획
사실 대중교통은 브라질에서 어느정도는 개선되어서 현재는 지하철도 건설되고 버스도 나름대로 활발하게 다니기는 하지만, 이들 교통수단은 브라질리아 근교까지 이어주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실 이런 문제점만 보면 마냥 실패한 도시같지만 고위급 공무원들이 많이 살기 때문에 소득수준은 브라질에서 가장 높은 도시로 1인당 GDP는 3만 달러에 달하며 인간개발지수도 브라질 1위를 차지하고 있다.대중교통이 인구수에 비해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어쨌거나 고위층들이 많이 살고있는 도시인지라 쇼핑시설이나 문화인프라는 나름대로 잘 갖추어졌다.
브라질리아 시 자체의 인구는 50만이지만 근교지역의 인구까지 합하면 300만으로 캔버라나 오타와보다는 큰 규모이다. 브라질 내에서는 5위 인구 규모를 가진다. 인구 규모만 따지자면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와 비슷하다. 기후는 1년 내내 20℃ 정도를 유지하며, 일단 사바나기후에 속하지만 아열대 고원기후와도 매우 가깝다.
[image]
브라질리아 도심. 차 없이 돌아다니기 힘들다.
[image]
가운데의 무시무시하게 생긴 철탑은 TV 송신탑이다.
3. 기타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의 속편 '나는 아직도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에서는 이런 사정을 이용한 반전이 나온다. 주인공이 전화 퀴즈에서 브라질의 수도를 리우데자네이루라고 하여 정답을 맞혀 초대권을 받아간 곳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나는데, 후반에야 답이 브라질리아라는 걸 알고 처음부터 함정이었다는 걸 깨닫는 것이다.
문명 5에서는 리우데자네이루가 수도로, 상파울루가 제2도시로 나오는데 비해, 브라질리아는 네 번째 도시로나 나온다.[5] 그런데 문명 5에서는 브라질이 정글 스타팅 문명이라 리우데자네이루는 정글 속에 파묻혀있고 브라질리아를 해상 진출용 항구 도시로 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기기괴괴...
1974년에 개장한 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마네 가린샤 국립 주경기장)에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의 3,4위전이 열렸다. 벨루오리존치 대참사로 인해 마라카낭이 아닌 브라질리아로 이동한 브라질은 이 경기장에서 네덜란드에게 3:0으로 패해 4위에 그치며 수도에서 자존심을 구겼다. 리우올림픽 축구 경기는 A조 1~2차전, C조 3차전(대한민국 - 멕시코), D조 3차전, 8강전(C조 2위 - D조 1위)이 마네 가린샤 국립 주경기장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