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브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mage]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진화체이자, 3번째 융합 드래곤.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소재가 마법사족,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은 야수족 몬스터인 것처럼, 이 카드의 융합 소재 역시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 + 전사족이다.
유희왕 ARC-V 110화에서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 효과로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어 공격하지만 에드의 지속 함정 데마이즈 어번의 효과로 공격력이 변한 디스토피아 가이의 효과가 발동하며 오히려 파괴된다.
이후 111화 후반에서 다시 부활. 액션 카드와의 연계로 디스토피아 가이를 쓰러뜨리며 피니시를 낸다.
1번 효과의 분류가 유희왕에선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보통 저 "소환할 경우"라는 텍스트는 "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나 "빛 속성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이 카드는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등 소환과 관련된 효과 외 텍스트나 룰 효과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카드의 경우 보통 유발 효과로 들어가는 공격력 증감 효과를 룰 효과로 갖고 있는 것. 애니메이션 연출에선 이 카드가 융합 소환되기도 전에 먼저 공격력이 0이 돼 디스토피아 가이가 파괴 효과를 발동할 대상이 없는 식으로 묘사됐다.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처럼 두 눈의 색이 적색 / 녹색이다.
공격명은 '''작열의 메가 플레임 버스트(Mega Flame Burst).''', 스마일 월드가 발동 중일 경우에는 '''작열의 메가 스마일 버스트(Mega Smile Burst)'''. 푸른색의 화염을 내뿜는 브레스 공격인데,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브레스가 푸른색이 되었다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이 드래곤은 처음 융합 소환됐을 때의 울음소리와 2번째로 소환됐을 때의 울음소리가 다르다.
[image]
룬아이즈나 비스트아이즈와는 달리 원작 그대로 융합 소재로 펜듈럼 드래곤을 지정하면서, 오드아이즈 테마에 속하지 않아 붕 뜬다는 느낌이 있었던 펜듈럼 드래곤을 테마로 만들었다. 룬아이즈처럼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지정하면 범용성이 너무 떨어지게 되고, 비스트아이즈처럼 어둠 속성 / 드래곤족으로 해버리면 다른 덱에도 쓰일 것을 우려한 듯하다.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를 연상시키는 막강한 전체 약화 효과는, 특수 소환 성공시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0으로 만들고, 그 효과로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있었던 원작과는 달리,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삭제되고 융합 소환했을 때에 효과가 발동하는 대신, 비욘드 더 호프처럼 공격력 무효화 효과는 지속되며, 공격력 0의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는 효과가 추가되어 사실상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성공하면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0이 되고 효과도 못 쓰게 된다. 원작에서 디스토피아 가이의 공격력이 0이 됐는데도 효과를 못 쓰던 것을 이런 식으로 재현해낸 듯. 효과 발동 억제는 이 카드의 효과로 0으로 만든 몬스터뿐 아니라, 다른 카드의 효과로 0이 됐거나, 원래 공격력이 0인 몬스터의 효과 발동도 막는다. 거기에 패 / 묘지 등에서 발동하는 공격력 0의 몬스터의 효과도 막는다. 단적인 예시로 유령토끼, 하루 우라라 역시 공격력 0이라 이 카드가 앞에 있으면 효과를 못 쓴다.
단, 공격력 0인 몬스터 효과만 막기에 다른 카드로 공격력을 100이라도 올려버리면 다시 효과를 쓸 수 있으며, 발동하는 효과만 막으므로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의 전투 반사 같은 지속 효과는 막을 수 없다.
막강한 효과에 대한 대가로 그 턴 동안엔 자신 이외의 다른 몬스터는 공격을 못하지만, 이 카드 하나만으로도 공격에 성공하면 3000 데미지를 먹일 수 있는 데다 공격력을 0으로 만드는 효과는 지속되므로 사실상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3번 효과는 푸른 눈의 쌍폭렬룡과 같은 효과로, 파괴 내성을 가진 상대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1. 원작
[image]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진화체이자, 3번째 융합 드래곤.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소재가 마법사족,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은 야수족 몬스터인 것처럼, 이 카드의 융합 소재 역시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 + 전사족이다.
유희왕 ARC-V 110화에서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 효과로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어 공격하지만 에드의 지속 함정 데마이즈 어번의 효과로 공격력이 변한 디스토피아 가이의 효과가 발동하며 오히려 파괴된다.
이후 111화 후반에서 다시 부활. 액션 카드와의 연계로 디스토피아 가이를 쓰러뜨리며 피니시를 낸다.
1번 효과의 분류가 유희왕에선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보통 저 "소환할 경우"라는 텍스트는 "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나 "빛 속성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이 카드는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등 소환과 관련된 효과 외 텍스트나 룰 효과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카드의 경우 보통 유발 효과로 들어가는 공격력 증감 효과를 룰 효과로 갖고 있는 것. 애니메이션 연출에선 이 카드가 융합 소환되기도 전에 먼저 공격력이 0이 돼 디스토피아 가이가 파괴 효과를 발동할 대상이 없는 식으로 묘사됐다.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처럼 두 눈의 색이 적색 / 녹색이다.
공격명은 '''작열의 메가 플레임 버스트(Mega Flame Burst).''', 스마일 월드가 발동 중일 경우에는 '''작열의 메가 스마일 버스트(Mega Smile Burst)'''. 푸른색의 화염을 내뿜는 브레스 공격인데,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브레스가 푸른색이 되었다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이 드래곤은 처음 융합 소환됐을 때의 울음소리와 2번째로 소환됐을 때의 울음소리가 다르다.
2. OCG
[image]
룬아이즈나 비스트아이즈와는 달리 원작 그대로 융합 소재로 펜듈럼 드래곤을 지정하면서, 오드아이즈 테마에 속하지 않아 붕 뜬다는 느낌이 있었던 펜듈럼 드래곤을 테마로 만들었다. 룬아이즈처럼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지정하면 범용성이 너무 떨어지게 되고, 비스트아이즈처럼 어둠 속성 / 드래곤족으로 해버리면 다른 덱에도 쓰일 것을 우려한 듯하다.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를 연상시키는 막강한 전체 약화 효과는, 특수 소환 성공시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0으로 만들고, 그 효과로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있었던 원작과는 달리,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삭제되고 융합 소환했을 때에 효과가 발동하는 대신, 비욘드 더 호프처럼 공격력 무효화 효과는 지속되며, 공격력 0의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는 효과가 추가되어 사실상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성공하면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0이 되고 효과도 못 쓰게 된다. 원작에서 디스토피아 가이의 공격력이 0이 됐는데도 효과를 못 쓰던 것을 이런 식으로 재현해낸 듯. 효과 발동 억제는 이 카드의 효과로 0으로 만든 몬스터뿐 아니라, 다른 카드의 효과로 0이 됐거나, 원래 공격력이 0인 몬스터의 효과 발동도 막는다. 거기에 패 / 묘지 등에서 발동하는 공격력 0의 몬스터의 효과도 막는다. 단적인 예시로 유령토끼, 하루 우라라 역시 공격력 0이라 이 카드가 앞에 있으면 효과를 못 쓴다.
단, 공격력 0인 몬스터 효과만 막기에 다른 카드로 공격력을 100이라도 올려버리면 다시 효과를 쓸 수 있으며, 발동하는 효과만 막으므로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의 전투 반사 같은 지속 효과는 막을 수 없다.
막강한 효과에 대한 대가로 그 턴 동안엔 자신 이외의 다른 몬스터는 공격을 못하지만, 이 카드 하나만으로도 공격에 성공하면 3000 데미지를 먹일 수 있는 데다 공격력을 0으로 만드는 효과는 지속되므로 사실상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3번 효과는 푸른 눈의 쌍폭렬룡과 같은 효과로, 파괴 내성을 가진 상대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