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트 워즈 세컨드

 


1. 개요
2. 애니메이션
2.1. 스토리
2.2. 주제가
2.2.1. 오프닝
2.2.2. 엔딩
2.3. 등장인물
2.4. 방영목록
2.5. 참고


1. 개요


ビーストウォーズII 超生命体トランスフォーマー
일본 아시 프로덕션이 만든 비스트 워즈 스핀오프 시리즈. 미국에서 수입해 방영한 비스트워즈 시즌 1이후 시즌2를 수입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는데 그 사이의 인기를 잇기 위해 제작된 일본만의 작품이다.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 완구
  • TV 애니메이션
  • 만화: 이마키 쇼지가 고단샤 <코믹 봉봉> 1998년 7월호 ~ 1999년 2월호까지 연재함.
  • 극장판
  • IDW 비스트 워즈 코믹스
여기서 IDW 코믹스는 일본 G1 세계관이 아니라, 일본 비스트 워즈 캐릭터들을 첨가한 미국 비스트 워즈 세계관이다.
완구들은 제네레이션 1, 제네레이션 2, 오리지널 비스트 워즈 때 이미 등장한 완구들을 재탕한 것들만 나왔으며, 완전히 새로 나온 완구는 라이오 콘보이, 갈바트론, 문 세 개 밖에 없었다.
특이하게 비스트 VS 머신의 구도를 취하고 있어, 사이버트론은 모두 동물, 데스트론은 모두 기계로 변형하며, 드래곤으로 변형하는 갈바트론이나 이후 메가스톰 및 컴뱃트론 부대가 파워업한 동물 형태도 완전한 동물이 아닌 동물 모습의 기계라고 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2. 애니메이션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1월 27일까지 전 43화로 일본 TV도쿄계에서 방영된 TV 애니메이션이다. 감독은 세키타 오사무&토모부키 아미, 각본은 타케가미 준키, 캐릭터 디자인은 타이가 히로유키 등 3명, 음악은 하야시 유조 등이 맡았다.
당시 졸속으로 제작이 결정된 터라 초반부엔 작화가 허술하다거나 전작 전투씬으로 내용을 때워먹는 부분이 존재했지만 이는 금방 나아진다. 실제로 스토리 적인 면에서는 큰 문제는 없으며 방영당시의 아동상대로의 시청률이나 완구 판매 실적도 꽤 괜찮은편. 다만, 이 작품을 접한 나이 먹은 팬들의 경우 작화나 편집 부분에 대해 까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 트랜스포머 G1 실사영화 이외에 별도로 극장판이 있는 유일한 작품이다. 후속작으로 비스트 워즈 네오가 있다.
국내에선 2001년 3월 15일부터 5월 16일까지 SBS 및 7개 지역민방에서 네오의 후속작으로(...) '''비스트워'''라는 제목으로 더빙을 했으며, 매주 수요일 오후 5시 50분마다 방영했다. 그런데 절반 문턱에서 잘라먹고 조기종영되다 보니[1] 정보가 거의 없다(...)[2] 특징으로 번안한 네오의 오프닝과 엔딩을 그대로 쓴점과 네오의 성우진이 그대로(!)유지됐다.[3] 이는 곧 13년 후의 데자뷰로 나타나게 된다. 다만 해당 작품의 전작은 비스트 워즈 세컨드와 달리 조기종영되지 않고 끝까지 방영되었다. 재밌는 건 이 시리즈들에서 주연급 캐릭터 성우가 부부이시다.[4]
완구는 국내에선 손오공을 통해 데스트론은 스러스트, 더지를 제외한 모든 초기멤버들이 발매되었으나, 전술한 조기종영 탓에 사이버트론은 라이오 콘보이와 매그너보스 이외에는 전혀 발매되지 못했다. 데스트론 후기 멤버들 중에는 기가스톰만이 국내에 정발되었다.

2.1. 스토리


2000년대로부터 수만 년이 흐른 먼 미래[5], 어느 소행성에서 SOS신호를 받은 콘보이와 아파치는 구조에 나서지만 콘보이는 소행성대의 폭발에 휘말려 행방불명이 된다.
그 무렵, 파괴대제 갈바트론이 이끄는 데스트론 군단은, 혹성 가이아의 앙골 모아 에너지를 이용해 가이아를 우주 침략의 전선기지로 만드려고 계획중이었다. 그러나 위협적인 앙골모아 에너지반응을 조사하기위해 콘보이의 부대원들이 가이아로 접근하게되고 그들은 데스트론의 공격을 받아 가이아에 불시착하게된다.
가이아의 대기는 트랜스포머들에게 위협적이었기에 대원들은 혹성의 동물을 스캔해 비스트 모드를 얻게되고 행방불명이었던 콘보이도 실은 가이아에 불시착해 흰사자를 스캔해 라이오 콘보이가 되어있었다.
데스트론 군단 또한 행성의 고대유적에 있던 슈퍼 컴퓨터를 이용해 멸망한 문명에 있던 각종 강력한 병기들을 스캔해 두 집단의 싸움은 여기서도 시작되게된다.

2.2. 주제가



2.2.1. 오프닝


1기 오프닝 - 'Get My Future'
2기 오프닝 - 'Super voyager'[6]

2.2.2. 엔딩


엔딩 - 꿈이 있는 곳

2.3. 등장인물



2.3.1. 사이버트론 우주경비대


  • 수중공작원 스쿠버
성우는 키시 유지[7]
  • 수비대원 다이버
성우는 나카노 켄지 / 이향숙(추정)
성우는 이와사키 마사미[8]
  • 야생투사 라이오 주니어
  • 합체전사 매그나보스
성우는 코바야시 유미코.
라이오 주니어, 스카이워프, 샌톤이 합체한 형태다.
  • 우주정찰원 이카드
성우는 나이토 료.[9]
  • 카피 콘보이
성우는 라이오 콘보이와 동일한 고다 호즈미.
18화에서 등장한 카피 머신이 라이오 콘보이를 카피해서 생긴 로봇. 색상은 검은색이 되어 있다. 라이오 콘보이와 동등한 전투력은 물론, 지식까지 갖췄으나 성격이 매우 호전적이고 말투 또한 거칠다. 자신이 오리지널임을 자청하였으며 스타스크림에 의해 이것을 이용당하는 척 하다가 뒤통수를 치기도 한다. 카피 머신이 파괴되자 사라진다. 완구상으로는 블랙 라이오 콘보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2.3.2. 데스트론 기갑부대



2.3.3. 그 외


성우는 타케우치 준코.[10]
아르테미스와 함께 달의 기지에서 혹성 가이아(지구)를 감시하는 토끼형 로봇이다. 로봇 모드로 변형도 가능하나 비스트 모드로 있을때가 대부분이다. 완구로도 발매되기도 했다.
  • 스타어퍼
코믹 봉봉에서 행한 오리지널 트랜스포머 콘테스트 우승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트랜스포머로, 동 잡지에 연재된 코믹스판에 등장한다. 원래 우주복싱선수였지만 태어나면서 겁쟁이였기에 타이틀매치에서 도망쳐 우주를 떠돌다가 트랜스폼도 제대로 못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사이버트론, 데스트론 어느쪽 소속도 아니다. 라이오콘보이 부재시 아파치로부터의 구조요청을 우연히 캐치해 "잠깐 사령관 기분을 맛볼까나" 라면서 혹성 가이아에 착률. 사이버트론의 임시사령관이 된다. 겁 많은 성격이지만 그 펀치력은 강력해서 기가스톰조차 한방에 작살나고 라이오콘보이가 복귀한뒤엔 자신도 복싱계로 복귀해 꿈꾸던 챔피언 자리에 앉게 된다. 필살기는 주먹을 아광속으로 작렬시켜 상대성이론에 따라 무한대까지 증가하는 질량의 펀치를 갈기는 스타 어퍼. 게임보이 컬러판 격투게임에서 숨겨진 캐릭터로도 등장했다. 비스트 모드는 캥거루.

2.4. 방영목록


타이틀 콜은 라이오 콘보이 역의 고다 호즈미가 맡고 차회예고의 나레이션은 아르테미스와 문 역을 맡은 히구치 치에코와 타케우치 준코가 담당한다.
'''회차'''
'''일본 방송일'''
'''한국 방송일'''
'''부제'''
1
1998년 4월 1일
2001년 3월 14일
새로운 군단 등장!
2
4월 8일
2001년 3월 15일
하얀 사자, 달린다!
3
4월 15일
2001년 3월 21일
빅혼의 분노
4
4월 22일
2001년 3월 22일
호수의 덫
5
4월 29일
2001년 3월 28일
부활! 갈바트론
6
5월 6일
2001년 3월 29일
고대 유적의 수수께끼
7
5월 13일
2001년 4월 4일
곤충군단 출현!
8
5월 20일
2001년 4월 5일
위험? 곤충 로봇
9
5월 27일
2001년 4월 11일
최강의 태그 구성?
10
6월 3일
2001년 4월 12일
오토롤러즈 출격하라!
11
6월 10일
2001년 4월 18일
위험! 시저 보이
12
6월 17일
2001년 4월 19일
갈바트론 대 폭주!
13
6월 24일
2001년 4월 25일
데스트론 총공격! (총집편 1)
14
7월 1일
2001년 4월 26일
합체거인 트리플 다쿠스
15
7월 8일
2001년 5월 2일
쾌활한 조인트론
16
7월 15일
2001년 5월 3일
가공할만한 통합작전?
17
7월 22일
2001년 5월 9일
리더는 누구냐!?
18
7월 29일
2001년 5월 10일
검은 라이오 콘보이
19
8월 5일
2001년 5월 16일
우주해적 시콤즈!
20
8월 12일

최강의 전사는 누구냐!? (총집편 2)
21
8월 19일

오징어 스쿠버
22
8월 26일

메가스톰의 계산
23
9월 2일

바닷속의 대결
24
9월 9일

석양을 향해서
25
9월 16일

마지막 싸움
26
9월 23일

라이온 주니어 등장!
27
9월 30일

신생. 메가스톰
28
10월 7일

신무기 타코탱크
29
10월 14일

인공행성 네메시스 (총집편 3)
30
10월 21일

기가스톰의 배신
31
10월 28일

스타 스크림의 최후
32
11월 4일

라이오 콘보이 암살 계획
33
11월 11일

앙골모아 냉동 대작전
34
11월 18일

네메시스를 날아가라!
35
11월 25일

라이온 주니어의 반란.
36
12월 2일

네번째 행성의 사자
37
12월 9일

행성 가이아의 위기
38
12월 16일

뛰어 나가라! 행성 가이아
39
12월 23일

집합! 39전사 (총집편 4)
40
1999년 1월 6일

우주 해적의 복수
41
1월 13일

네메시스 돌입
42
1월 20일

전설. 녹색의 전사
43
1월 27일

안녕! 라이오 콘보이

2.5. 참고


데스트론쪽은 비클과 로봇모드 둘다 트랜스폼이라는 구호로 변형하며 사이버트론쪽은 비스트모드와 변신! 이란 구호로 변형한다. 이 설정은 이후 Botcon에서 나온 코믹이나 캐릭터 파일들을 보면 세계관을 한데 엮으면서 그레이트워 후반부 당시엔 오토봇-맥시멀 연합군, 디셉티콘-프레데콘 연합군으로 양측이 모두 존재한다는 설정으로 나왔다.
[1] 후속작이 트랙시티였다.[2] 단, 아예 정보를 알리지 않은것은 아니다. 분명 네오 종영 후 광고 영상에서 '비스트 워 네오의 이전 이야기'라고 홍보했었다.[3] 맘모라이크이정구라이오 콘보이, 코브리오김영선B.B, 마그마트론김관철갈바트론 등등.[4] 맘모라이크와 라이오 콘보이의 성우는 이정구, 아게하 미아의 성우는 문선희.[5] 일본 G1 세계관 연표.[6] 메가스톰이 기가스톰으로 파워업한 시점부터 오프닝이 바뀐다.[7] 드릴넛츠와 중복.[8] 오토런처와 중복. 비스트 워즈 네오에서는 하드헤드를, 트랜스포머 카로봇에서는 빌드 사이클론, 렉커훅을, 트랜스포머 프라임에서는 스카이퀘이크, 드레드윙을, 삼중합체 트랜스포머 GO!에서는 가이도라를 맡는다.[9] D.J와 중복. 트랜스포머 카로봇에서는 굿셔카운터 애로우를 맡았다.[10] 비스트 워즈 네오에서는 브레이크를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