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제
1. 중국 상나라 및 도교의 신
上帝
1.1. 기원
상 왕조의 신, 선왕, 위대한 왕, 혹은 황제.
상나라 사람들이 숭배한 신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신이 아닌 현실세계와는 동떨어진 이상향의 세계에 있는 초월자이다. 제(帝), 옥황상제(玉皇上帝)라고도 불렀다. 하느님의 중국식(한자식) 단어로 볼 수 있다.
고대인들은 현실세계를 부정확하고 불완전한 것으로 보았는데, 만물의 주재자인 신은 불완전한 현실 세계에 있을 수 없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제는 필연적으로 바깥의 이상향의 세계에 존재해야만 했다. 또한 이 세계의 존재가 아니므로 이 세계의 사람들과는 말이나 몸짓, 생각, 이성 따위로는 소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어졌다. 어딘가 이런 거나 이런 걸 떠올렸다면 기분 탓이 아니다. 실제로 후대에 마테오 리치가 괜히 동일존재로 여긴 게 아니다.
서경(書經)에서는 "하늘이 백성들을 도우셔서 임금을 세우고 스승을 세우니, 능히 '상제'를 도와 사방을 위무한다"(天佑下民,作之君,作之師,惟其克相上帝,寵綏四方)고 하여, 상제가 백성을 직접 다스리지 않으면서 양육하며, 직접 가르치지 않으면서 스승을 세워 교육하게 하는 것이 바로 상제가 세상을 주재하는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곧 상제는 세상을 직접 다스리기보다는 임금을 세워 자신의 주재를 돕게 하여 간접적으로 다스리는 방법을 취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임금은 스승의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군사'(君師)라 일컬어지며, 임금의 이상적 인격이 바로 '성왕'(聖王)이다. 따라서 임금이나 스승은 상제와 대중 사이에 놓여져, 상제의 명령과 주재활동이 대중에 실현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보았다.
상나라의 왕들은 제사를 통해 상제와 소통했는데, 제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술로, 이성 즉 이쪽 세계의 사고방식을 마비시키는 술은 이쪽 세계에 묶인 인간의 정신을 초월자의 세계와 소통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으로 믿어졌기 때문이다. 신과 인간을 연결시키는 게 술이라는 상념은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있던 관념으로 실제로 동서양의 여러 제의에서 술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술을 통해 저쪽 세계와 소통할 수 있게 된 왕도 제와 곧바로 소통할 수는 없었다. 저쪽 세계에 발을 들여놓긴 했어도 이쪽 세계에 더욱 많이 묶여있었기 때문이다.
왕은 상제와 소통하기 위해 죽은 선왕과 먼저 소통한다. 저쪽 세계의 구성원이긴 하지만 죽은 지 얼마 안 돼서 이쪽 세계와도 연관성이 있어서 비교적 쉽게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왕은 소통이 쉬운 그 선대왕, 또 그 선대왕...식으로 해서 단계적으로 상제와 소통할 수 있었다. 후에는 초월자인 상제에게서 이쪽 세계의 통치를 위임받았다는 뜻으로써 상나라의 자성子姓의 왕호에는 제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상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의 왕호는 제신(帝辛)이었으며, 그 아버지도 덕왕도 제을帝乙이었다. 상나라 시대 청동기의 도철문이 상제의 관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
1.2. 변천
후에 전국시대 말에는 진나라 제나라가 강성했는데, 두 나라의 군주를 각각 서제와 동제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진이 전국을 통일한 뒤에는 황황한 상제라는 뜻의 '''황제'''가 군주의 칭호로 채택되었다.
16세기 말엽 중국 선교에 임한 예수회의 마테오 리치와 동료 회원들은 중국에서 우주 만물의 궁극자를 지칭하는 말이 상제上帝, 천天, 도道, 태극太極 등 다양하며 더구나 이 용어들의 의미도 시대나 학파에 따라 다른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는 하느님, 즉 우주만물을 창조하고 섭리하는 인격적 절대자에 해당하는 중국말이 무엇인지를 궁구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천지 만물의 상주(上主)라는 뜻의 천주(天主)가 적합한 용어라고 판단하였다. 그 때문에 한국의 가톨릭은 옛날에는 천주교라고 불렸으며, 지금도 어르신들은 천주교라고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리치는 유교 경전을 깊이 연구해감에 따라 경전에서 말하는 상제는 그리스도교의 신 개념과 일치함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는 ≪천주실의≫(天主實義)에서 상제가 바로 그리스도교의 천주임을 여러 경전을 인용하여 주장하였다. 이는 중국이 이전부터 전해오던 신앙과 결합시켜 중국인들이 그리스도의 신앙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곧 천주실의 제2편에서 “우리나라(서양)의 천주는 중국 도교 경전에서 칭하는 상제이다(吾天主乃古經所稱上帝也).”라고 증명하였다. 또한 『중용』, 『시경』, 『주역』, 『예기』, 『상서』 등에 나온 ‘상제(上帝)’의 용례를 들어 고증(考證)하였다. 그러나 천天에 대해서는 세분하여 만일 만물의 최고 주재자로 이해한다면 천주와는 다른 개념이라고 보았다.
또한 도교나 민간 신앙에서 공경하는 옥황상제(玉皇上帝)나 주자학에서 말하는 태극 역시 천주와는 상이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그는 성리학의 철학적 입장과는 달리 그리스도교적 신앙의 관점에서 궁극적 존재의 주재적(主宰的)이고 인격적인 추월성을 강조하였다. 실제로 상나라 시대 때 상나라인들이 믿던 상제는 분명 그러한 개념이었으니까. 그저 왕의 신정국가 체제라는 차이점이 있었을 뿐이다.[2]
예수회의 유연한 선교 정책상 적응주의 입장을 취한 마테오 리치는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을 지칭하는 중국말은 원칙적으로 '천주'이지만 중국인에게 친숙한 '상제' 또는 주재적 의미의 '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허용하였다. 이에 대해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은 '천주'만 사용할 수 있고 '상제'나 '천'은 그리스도교의 신 개념과 다르므로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 용어 문제는 소위 중국 의례논쟁(儀禮論爭)의 한 쟁점이 되어 약 100년간 논란되어 오다가 1715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의 칙서와 1742년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칙서에 의해 '천주' 이외의 '상제', '천' 등의 용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한편 ≪천주실의≫를 통해 리치의 상제 해석에 접한 조선의 유학자들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주자의 성리학을 고수하는 전통 유학자들은 천주가 천지를 주재하고 만물을 안양(安養)한다는 점에서는 유교 경전의 상제와 상통한다고 대체로 시인하나, 천주가 만물을 창조하였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며, 상제는 천지가 형성된 후에 비로소 천지간을 주재하므로 천지 만물의 근원은 상제가 아니라 태극이라고 반박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톨릭을 신봉하던 학자들은 리치의 상제관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벽은 ≪성교요지≫(聖敎要旨)에서 가톨릭 교리를 요약 설명하면서 당시 유학자들에게 친숙하지 않던 '천주'보다는 '상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정약용의 조카인 정하상 역시 ≪상재상서≫(上梓相書)에서 만물의 주재자가 있음은 누구나 알 수 있으며 옛 성현들도 만물의 주재자인 '상제', '천'을 받들어 섬겼다고 역설하면서, "천주는 만물의 대부모(大父母)요 대주재(大主宰)이므로 옛 성현들도 극진히 섬겼는데 지금 사람들은 무슨 까닭에 모독하고 능욕하는가?"라고 천주에 대한 불신앙을 책망하였다.
2. 동아시아 군주의 시호 殤帝
시호의 하나로 상황제(殤皇帝), 즉 일찍 죽은 황제라는 의미이다. 이 항목의 인물들은 재위 기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일찍 죽어 이룬 것이 없는 것을 '''상'''이라 한다.(短折不成曰'''殤''')
3. 웹툰 이런 영웅은 싫어의 캐릭터
상제(이런 영웅은 싫어) 참조.
[1] 외부 세계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술이 담긴 그릇에 새겨진 '이쪽 세계를 보는 눈'은 저쪽 세계의 주시자이며, 이쪽에서 볼 수 없는, 저쪽 세계에서 이쪽 세계를 주재하는 초월자를 상징한다는 주장이다.[2] 사실 그것도 고대 이스라엘의 군주들이 한 것과 별 차이도 없다. 다만 예언자가 따로 존재했고 왕이 하느님과 직접 소통한 자는 없었던 것뿐이다. 일단 다윗도 선지자로부터 예언을 전해들어야 했던 처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