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220
1. 노선 정보
2. 개요
신흥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37.38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된 371번 간선버스가 전신이다. 구 도시형 56번(오금동 - 효창공원)과 유사했던 노선이지만, 정식으로 승계된 노선은 아니었다. 다만 당시 일부 차량에 '구 56 연장', '구 56 변경' 등으로 붙이고 다녔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운행구간 : 오금동 - 방이역 - 올림픽공원 - 올림픽대교 - 화양리 - 상원 - 한양대 - 왕십리 - 신당역 - 퇴계로 - 남대문시장(회현역) - (→ 서울역고가 → 한국경제신문사 →/← 서울역 ← 경찰청 ← 미동초교 ←)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신촌로터리 → 신촌로터리(노고산치안센터) → 와우아파트 → 신촌현대백화점 → 이후 역순
- 하지만, 노선이 길고 상습정체구간을 많이 지나갔던 탓에 배차가 자주 꼬였고, 운행 시간도 너무 길었고, 대체할 만한 노선도 많이 있었다. 결국 2005년 초순에 남대문시장으로 단축되었고, 남대문시장(회현역) 정차 후 서울역고가 하단부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권역에 맞춰 번호가 304번으로 바뀌었다.
- 하지만, 적은 인가댓수에 여전히 퇴계로라는 상습정체구간이 남아있어 배차가 꼬이기 일쑤였고, 중복되는 노선도 많아 2005년 8월 1일에 화양리 이후 구간[4] 을 모두 단축하고 화양리 정차 후 화양사거리에서 동일로 쪽으로 꺾어서 답십리 쪽으로 들어가 청량리역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아예 지선버스로 전환되었고, 권역에 맞춰서 번호도 3220번으로 바뀌었다.
- 2012년 8월 28일에 시행된 2012년 상반기 버스개편에서 답십리삼거리 대신 답십리동 동아아파트(촬영소고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따라서 3216번과 동대문구 구간에서도 차이가 생겨났는데, 3216번은 720번처럼 답십리삼거리에서 전농로로 진입하여 전농동, 서울시립대, 떡전교사거리를 거쳐 청량리로 가는 반면, 3220번은 서울메트로 본사(옛 도시철도공사) 앞에서 한천로로 진입하여 촬영소사거리에서 좌회전한 후 답십리로를 따라 청량리까지 가게 되었다. 덕분에 노선에 굴곡이 생겨 기존구간은 노선이 하나 줄었으나 배차간격이 양호한 2221번이나 3216번이 있어 큰 불편은 없으며, 오히려 한천로 구간과 촬영소고개 구간에서도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청량리 방향의 경우는 262번과 중복되나 청량리역을 직접 연계하며[5] , 반대 방항은 2112번이 장한평역을 돌아서 가므로 이 노선을 타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무엇보다 건대 연계만큼은 이 노선만한 게 없다. 어린이대공원, 강남 환승연계로도 무난한 편.
- 과거 한천로에서 천호대로로 좌회전이 불가능해 답십리동에서 오금동 방향으로는 P턴 운행을 하도록 되어 있어 서울도시철도공사를 경유했으나, 현재 좌회전이 가능하도록 신호체계가 개선되어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 2020년 7월 15일을 기해 22:45였던 기점 막차시각이 22:40으로 5분 앞당겨졌다. 그리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0분에서 160분으로 늘어나고, 이와 동시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도 9~16분/11~19분/13~21분에서 9~17분/10~18분/12~20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원래는 저상버스가 3대로 매우 적었으나, 2017년 12월에 이 노선에 동사 최초로 에디슨모터스의 저상차량인 화이버드가 투입되었고, 이후 자양동영업소와 본사 소속의 여러 차량을 대차하면서 화이버드가 추가로 투입되고 전 차량이 저상으로 교체되었다.[6] 신흥기업 노선 중 2번째로 올저상화가 이루어진 노선.링크
- 촬영소사거리에서 장한평역 방향으로 우회전한 직후 정류장 도착 안내방송이 송출될 때 "이번 정류소는 동답초교•대림아파트앞입니다. 다음 정류소는"하고 바로 "This stop is..."로 넘어간다. 이는 제일여객 720번도 동일하다.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기 때문이다. [7]
- 노선 선형이 약간 굴곡지는 편인데, 올림픽대교를 건너고 구의사거리까지 직선으로 달리다가 아래로 꺾어서 광진구청과 건대입구역을 지난 다음 다시 위로 올라와서 화양리와 송정동을 경유한 후에 청량리로 간다. 그래도 구의동과 건대, 송정동과 건대를 잇는 유일한 노선. 이런 선형으로 인해서 간혹 청량리로 갈 때 방향을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신다.[8]
- 배차는 간선버스 시절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좋은 편은 아니지만 건대입구역으로 가는 승객 수요가 많고, 선형이 불량한 '건대 - 구의시장' 구간도 건대서 구의시장 쪽이나 올림픽대교 남/북단 쪽으로 가는 승객이 꽤 있는 편이다. 특히 광장동 아파트단지의 중심부 격인 올림픽대교 북단 일대와 건대역 일대를 한번에 잇는 버스는 이거 하나뿐이다.[9] 한때는 수요가 많지 않았던 노선이지만, 지금은 어느정도 늘어났다. 물론 증차된 것도 한몫 한다. 강동구~건대역 및 청량리, 건대역~청량리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물론 강동구 수요도 꽤 있다. 강동구청, 강동보건소 등의 수요가 상시 있기 때문.
- 이 노선의 전신인 371번과 304번, 그리고 현재 번호인 3220번 모두 37X번, 30X번, 32XX번 중에서 마지막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 올림픽대교를 건너는 노선 중 강변역으로 가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며 동사 노선 중 유일하게 강동구를 지나는 노선이다. 그리고 오금동영업소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잠실역을 지나지 않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방이역, 올림픽공원역, 장한평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역, 어린이대공원역
- [image] 서울 지하철 8호선: 강동구청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올림픽공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1] 참고로 건대입구역은 청량리 방향 23:20경, 오금동 방향 00:20경 통과[2] 토요일 16대 / 공휴일 13대 운행[3] (구) 성바오로병원 정류소였으나 성바오로병원이 은평구로 이전하며 철거됨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다.[4] 화양리 - 상원 - 한양대 - 왕십리 - 신당역 - 퇴계로 - 남대문시장 - 서울역고가 하단부 회차[5] 그 외에 720번의 편도운행을 보완한다. 720번은 한천로에선 고미술상가(답십리역) 방면으로만 운행하므로(이전엔 전농우체국 진입 후 촬영소고개로 이동) 그 반대쪽에서 청량리역을 갈 때 도움이 된다. 현재는 262번도 답십리로 직선화로 변경되어 청량리 방향 한정으로 기존 우회구간을 대체하게 되었다(그 외엔 2221번도 일부 구간을 대체한다).[6] 현대 차량은 14년식, 15년식 각각 1대만 있고, 나머지 모두 화이버드이다.[7] 아마 거리가 짧아 그런 것이라 추측된다.[8] 특히 3216과 겹치는 구간에서 이것이 더 심한데, 그 중 구의사거리 - 광진구청 구간은 서로 방향이 다르다. 3216번은 아차산역 방향에서 탑승해야 청량리역으로 갈 수 있는 반면에 이 노선은 잠실 방면에서 탑승해야 청량리역으로 갈 수 있다.[9] 2224번은 광장동 아파트단지가 아니라 강변역과 서로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