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서울特別市敎育廳

[image]
설립
2013년 3월 23일
교육감
조희연
표어
모두가 행복한 혁신미래교육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48 (신문로2가)
산하기관
29개 기관
(직속기관 8, 평생학습관 4, 도서관 17)
직원 수
54,611명
(정무직 1, 교원(공립) 47,290,
교육전문직 460, 일반직 6,860)

1. 개요
2. 조직
2.1. 지역교육지원청
2.2. 직속기관[1]
3. 역대 서울특별시 교육감
4. 사건사고
4.1. 일요 학원 휴무제
5. 여담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청사는 종로구의 옛 경희궁 옆에 있다. 문화재보호구역에 묶여서 증축 및 개축이 힘들고 또 경희궁 복원사업 때문에 2025년까지 이전해야 한다. 그래서 용산구 후암동의 옛 수도여자고등학교 부지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2. 조직


보통의 교육청이 교육정책국과 교육행정국의 2국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수도의 교육청답게 기획조정실, 교육정책국, 평생진로교육국, 교육행정국의 1실 3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지역교육지원청


한편, 각 교육지원청별로 그 소속기관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각각 두고 있다.

2.2. 직속기관[3]



3. 역대 서울특별시 교육감



대수
이름
임기
비고
관선
1대
김영훈
1956년 ~ 1960년
2대
정의택
1960년 ~ 1961년
3대
박현식
1961년 ~ 1964년
4대
김원규
1964년 ~ 1965년
5대
최복현
1965년 ~ 1969년
6대
오경인
1969년 ~ 1970년
7대
하점생
1970년 ~ 1974년
8대
1974년 ~ 1977년
9대
이창갑
1977년 ~ 1981년
10대
구본석
1981년 ~ 1985년
11대
최열곤
1985년 ~ 1988년
12대
김상준
1988년 ~ 1992년
간선
13대
이준해
1992년 ~ 1996년
14대
유인종
1996년 ~ 2000년
15대
2000년 ~ 2004년
16대
공정택
2004년 ~ 2008년
직선
17대
공정택
2008년 ~ 2009년
중도 구속
권한대행
김경회
2009년 ~ 2010년
권한대행
이성희
2010년 ~ 2010년
18대
곽노현
2010년 ~ 2012년
중도 구속
권한대행
임승빈
2011년 ~ 2011년
권한대행
이대영
2011년 ~ 2012년
18대
곽노현
2012년 ~ 2012년
직무 복귀 [4]
권한대행
이대영
2012년 ~ 2012년
19대
문용린
2012년 ~ 2014년
20대
조희연
2014년 ~ 2018년
21대
2018년 ~ 현직

4. 사건사고



4.1. 일요 학원 휴무제


서울교육청이 일요 학원 휴무제를 시행하겠다고 하였다. 학부모, 학생, 재수생들의 반응은 "WTF." 서울 일요 학원을 막은 취지보다 대치동 학원가를 저격한것으로 보이며 타 지역에서 강의를 지속하겠지만 현역 학생들이 방학과 주말외에 학원에서 길게 수업을 받을 수 없는 현실을 보자면 저 정책은 "사교육이 문제니 사교육을 막자!"밖에 없다. 이러한 정책은 21세기 대한민국 제5공화국으로 회귀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단, 아직 실행되지 않았고 실행이 될지도 모른다. 2020년 현재, 교육청이 시행 반대측과 일요 학원 휴무제 대신 학원 강의실 크기를 제한(100-300명 이상 대형강의)하는 방침을 선택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5. 여담


  • 2021년 입학지원금
    2020년에 2021년부터 입학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입학지원금은 중고등학교 입학생 전원에게 지원된다. 지원금은 30만원이다.[5][6] 제로페이 포인트로 지급된다. 서울특별시교육청 70%, 각자치구 30%씩 부담한다.#
[1] 설치조례 제3장에 따른 직속기관이다.[2] 홈페이지, 플러스친구[3] 설치조례 제3장에 따른 직속기관이다.[4] 그러나 유죄 확정로 징역 1년을 받으면서 교육감직을 상실하였다.[5] 지원금은 2019년 교복 공동구매 상한가 301,163원을 고려했다고한다.[6] 그동안 교복비 지원은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되고 있었다. 서울시에서는 중구, 마포구, 금천구, 강동구에서만 지원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