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버나드
[image]
Saint Bernard
스위스 원산의 견종.
버니즈 마운틴 독하고 헷갈리기 쉽다. '''이름이 비슷해서.''' 물론 크기는 이쪽이 훨씬 크다.
주로 구조견으로 쓰이는 개. 베토벤이라는 영화를 통해서도 익숙한 개다.
이름이 묘하게 성스러운데(?), 이 개를 길러왔던 수도자들이 머무르던 곳이 바로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Col du Grand-Saint-Bernard)에 있는 성 베르나르도 수도원 부속 숙박소[1] . 목에 작은 술통[2] 을 걸고 그랑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다가 고립된 사람들을 구조하러 다녔다는 이야기로도 알 수 있듯이 구조견으로서의 역사는 상당히 길다.
물론 그 당시 진짜로 술통을 목에 걸고 다닌 건 아니고, 유머 잡지의 화가들이 창작한 것이 트레이드마크로 굳어진 것이다. 지금의 큼직하고 강인한 세인트 버나드는 그들이 '어떻게 해야 더 사람을 잘 구하는 개가 될까?' 하고 노력한 결과. 이런 마개조의 극한을 보여주는게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3]
그 덕에 사람만한 덩치에 키 60~90cm, 몸무게도 50~90kg 정도나 되는, 그레이트 데인을 능가하는 초대형견이 되었다. 무거운 경우 '''120kg'''에 달하기도 하며 베네딕틴 V 슈바르츠발트 호프(Benedictine V Schwarzwald Hof)라는 세인트 버나드는 '''143kg''' 정도였다.[4] 체장은 그레이트 데인이 더 긴데, 체중은 이 쪽이 더 나간다.[5] 견종 중 잉글리시 마스티프와 더불어 몸무게가 가장 많이 나가며 그레이트 데인이나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보다도 더 나간다. 그만큼 몸 전체가 우락부락하다.
덩치가 워낙 커서 먹기도 잘 먹는데다 워낙 힘이 세서 산책하다 잘못하면 질질 끌려갈 수도 있다. 해외 토픽 중에도 혼자서 기차 한 량을 끄는 세인트 버나드의 얘기가 뜬 적이 있다.
침을 많이 흘리는 경향도 있다. 인상도 좀 졸려보이는 감[6] 이 있어 "멍청한 거 아닌가?" 하는 평가도 있지만, 실은 개들 중에서도 순위권에 드는 머리 좋은 개.
성격은 차분하고 온순한 편이지만 고집 또한 세다. 새끼 때는 특유의 처진 눈 덕분에 귀여워 보이지만 진짜 빨리 큰다. 그 때문에 베토벤 2 촬영 당시 세인트 버나드 강아지 배우들을 몇 번이나 바꿔야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견종 또한 육견[7] 으로도 쓰이는 종이라고 한다.
플랜더스의 개의 파트라슈가 이 견종이라는 설이 지배적이지만 여러 이견이 있다. 자세한 것은 파트라슈 참고.
이상한 나라의 폴에 나오는 캐릭터 톳페도 이 견종이다.
마녀 배달부 키키에서 키키한테 지지를 돌려준 노견이었던 제프의 체격과 생김새로 보아 이 견종으로 보인다.
영화 베토벤의 주견공인 베토벤도 이 종. 2편에서는 여자친구와 눈이 맞아 새끼들까지 얻는다. 2편 마지막에 장성한 새끼들이 2층에서 뛰어 내려오자 '''지진 난듯 집이 뒤흔들리는게''' 충격과 공포.
스티븐 킹의 소설 '쿠조'에서는 광견병에 걸린 세인트 버나드가 나오기도 한다. 이 소설은 영화화되기도 했는데, 프렌즈에서 레이첼이 "저 개 싫어"라고 한 그 영화.[8]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에서 나오는 요제프도 세인트 버나드종. 이쪽은 졸려보이는 인상답게 허구한 날 잠만 자지만, 유능하고 침을 안 흘린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알터랙 맥주 강아지'가 이 세인트 버나드.
무한도전 릴레이 웹툰편에서 가스파드가 정준하의 닮은 동물로 말해 화제가 되었다. 김구라도 닮았다.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의 행크 앤더슨이 이 견종을 키운다. 이름은 스모.
들장미 소녀 캔디에서 캔디가 간호견습생으로 있을 때 특실에 입원해 있던 환자 맥그리거 씨가 혼수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부른 '미나'가 바로 이 견종의 개 이름이다.
소비보르 절멸수용소에서 SS 간부 쿠르트 볼렌더가 기르던 개 '베리(Barry)'도 바로 세인트 버나드 견종의 개였다. 간부들의 명령에 따라 수용소 내 존더코만도들을 죽을 때까지 물어뜯곤 했다.
몽현 Re:Master에서 사장인 다이고 호노카의 애완견으로 등장한다. 여담으로 부사장의 직책 또한 가지고 있다.
아이돌 마스터에서 가나하 히비키가 키우는 이누미가 이 품종이다.
Saint Bernard
1. 개요
스위스 원산의 견종.
버니즈 마운틴 독하고 헷갈리기 쉽다. '''이름이 비슷해서.''' 물론 크기는 이쪽이 훨씬 크다.
주로 구조견으로 쓰이는 개. 베토벤이라는 영화를 통해서도 익숙한 개다.
이름이 묘하게 성스러운데(?), 이 개를 길러왔던 수도자들이 머무르던 곳이 바로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Col du Grand-Saint-Bernard)에 있는 성 베르나르도 수도원 부속 숙박소[1] . 목에 작은 술통[2] 을 걸고 그랑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다가 고립된 사람들을 구조하러 다녔다는 이야기로도 알 수 있듯이 구조견으로서의 역사는 상당히 길다.
물론 그 당시 진짜로 술통을 목에 걸고 다닌 건 아니고, 유머 잡지의 화가들이 창작한 것이 트레이드마크로 굳어진 것이다. 지금의 큼직하고 강인한 세인트 버나드는 그들이 '어떻게 해야 더 사람을 잘 구하는 개가 될까?' 하고 노력한 결과. 이런 마개조의 극한을 보여주는게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3]
그 덕에 사람만한 덩치에 키 60~90cm, 몸무게도 50~90kg 정도나 되는, 그레이트 데인을 능가하는 초대형견이 되었다. 무거운 경우 '''120kg'''에 달하기도 하며 베네딕틴 V 슈바르츠발트 호프(Benedictine V Schwarzwald Hof)라는 세인트 버나드는 '''143kg''' 정도였다.[4] 체장은 그레이트 데인이 더 긴데, 체중은 이 쪽이 더 나간다.[5] 견종 중 잉글리시 마스티프와 더불어 몸무게가 가장 많이 나가며 그레이트 데인이나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보다도 더 나간다. 그만큼 몸 전체가 우락부락하다.
덩치가 워낙 커서 먹기도 잘 먹는데다 워낙 힘이 세서 산책하다 잘못하면 질질 끌려갈 수도 있다. 해외 토픽 중에도 혼자서 기차 한 량을 끄는 세인트 버나드의 얘기가 뜬 적이 있다.
침을 많이 흘리는 경향도 있다. 인상도 좀 졸려보이는 감[6] 이 있어 "멍청한 거 아닌가?" 하는 평가도 있지만, 실은 개들 중에서도 순위권에 드는 머리 좋은 개.
성격은 차분하고 온순한 편이지만 고집 또한 세다. 새끼 때는 특유의 처진 눈 덕분에 귀여워 보이지만 진짜 빨리 큰다. 그 때문에 베토벤 2 촬영 당시 세인트 버나드 강아지 배우들을 몇 번이나 바꿔야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견종 또한 육견[7] 으로도 쓰이는 종이라고 한다.
2. 기타
플랜더스의 개의 파트라슈가 이 견종이라는 설이 지배적이지만 여러 이견이 있다. 자세한 것은 파트라슈 참고.
이상한 나라의 폴에 나오는 캐릭터 톳페도 이 견종이다.
마녀 배달부 키키에서 키키한테 지지를 돌려준 노견이었던 제프의 체격과 생김새로 보아 이 견종으로 보인다.
영화 베토벤의 주견공인 베토벤도 이 종. 2편에서는 여자친구와 눈이 맞아 새끼들까지 얻는다. 2편 마지막에 장성한 새끼들이 2층에서 뛰어 내려오자 '''지진 난듯 집이 뒤흔들리는게''' 충격과 공포.
스티븐 킹의 소설 '쿠조'에서는 광견병에 걸린 세인트 버나드가 나오기도 한다. 이 소설은 영화화되기도 했는데, 프렌즈에서 레이첼이 "저 개 싫어"라고 한 그 영화.[8]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에서 나오는 요제프도 세인트 버나드종. 이쪽은 졸려보이는 인상답게 허구한 날 잠만 자지만, 유능하고 침을 안 흘린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알터랙 맥주 강아지'가 이 세인트 버나드.
무한도전 릴레이 웹툰편에서 가스파드가 정준하의 닮은 동물로 말해 화제가 되었다. 김구라도 닮았다.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의 행크 앤더슨이 이 견종을 키운다. 이름은 스모.
들장미 소녀 캔디에서 캔디가 간호견습생으로 있을 때 특실에 입원해 있던 환자 맥그리거 씨가 혼수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부른 '미나'가 바로 이 견종의 개 이름이다.
소비보르 절멸수용소에서 SS 간부 쿠르트 볼렌더가 기르던 개 '베리(Barry)'도 바로 세인트 버나드 견종의 개였다. 간부들의 명령에 따라 수용소 내 존더코만도들을 죽을 때까지 물어뜯곤 했다.
몽현 Re:Master에서 사장인 다이고 호노카의 애완견으로 등장한다. 여담으로 부사장의 직책 또한 가지고 있다.
아이돌 마스터에서 가나하 히비키가 키우는 이누미가 이 품종이다.
[1] 11세기에 활동한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수도자인 '멘톤의 성 베르나르도'가 설립했다. 축일은 5월 28일이며, 등산가의 수호성인이다.[2] 럼 또는 브랜디 등 아주 독한 증류주들을 쓴다. 상처 소독용도는 물론, 높은 도수의 술을 마시면, 마시자마자 독한 알콜 맛에 정신이 확 돌아오고, 일시적으로 체감 체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물론, 일시적으로 따뜻해질 뿐 시간이 지나면 체온이 오히려 더 떨어진다. 따라서 죽기 직전인 사람을 급한대로 깨워놓고 빨리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키는 목적이다. 이 구조견들이 실제로 술통을 달고 다닌 건 아니었지만, 더럽게 추운 곳에서 고립된 사람을 급한 대로 정신 차리게 하는 용도로 술을 쓰긴 했다.[3] 오히려 과성장으로 수명이 줄었다. 사실 지금보다 80%정도의 체격이 정상이었지만 말이다.[4] 베네딕틴(Benedictine)이라는 '''166kg'''을 기록한 세인트 버나드도 있으나 기네스북에서 가장 무거운 개 부문을 폐지해버려서 등재되지는 못했다. 참고로 앞에 말한 베네딕틴과는 다른 개이다.[5] 다만 몸길이의 경우 2.6m에 달해 가장 긴 개 타이틀을 얻은 세인트 버나드가 있었다.[6] 이런 인상을 가진 개들이 실제로 할 일 다 하고 나면 그냥 누워버리고는 멍 때리는 경우가 꽤 있다.[7] 개고기 공급용으로 쓰이는 견종[8] 작중 쿠조를 연기한 세인트 버나드의 연기력이 굉장히 뛰어나서 진짜 돌발상황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의 리얼함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