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점
1. 개요
勝 / 點
스포츠 경기가 끝나고 승/무/패에 따라 얻게 되는 점수를 말한다. 경기 내용과 상관없이 승/무/패로만 결과가 나오고 승률보다 우선시되는 것이 특징.
승점제가 도입되는 제도의 특징은 '''무승부가 자주 발생하는 스포츠'''라는 것. 대부분의 스포츠리그에서는 동률 때 우선순위를 정하는 타이브레이커에서 승률이나 다승 등을 적용하는데, 무승부가 많이 발생하는 스포츠는 무승부의 처리규정에 따라 승률변동이 매우 심하므로 운영이 매우 어렵다. 프로야구에서 한때 승률계산을 승수/전체경기로 해 사실상 무승부=패로 규정한 승률계산법을 시행했다가 여러가지로 비판받고 결국 사라진 것도 위의 이유. 때문에 승점제는 무승부를 별도의 카테고리로 취급해 해결하고 있다.
2. 축구
축구에는 반드시 승점제가 있다. 보통 승점은 승리에 3점, 무승부에 1점, 패배에 0점을 주며, 승점이 똑같은 경우엔 득실차/다득점 등을 비교한다.
월드컵에서도 리그 순위결정에서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패배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승점을 주는데, 월드컵 초창기에는 1승당 2점, 1무당 1점으로 했다. 그래서 이 당시에는 무재배만 잘 해도 다음 라운드 진출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헌데 나중에 이것이 모순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86년 FIFA 월드컵이었는데, A조의 불가리아와 E조의 우루과이가 2무 1패를 거두며 조 3위로 떨어졌음에도 똑같이 조 3위가 된 C조의 헝가리와 D조의 북아일랜드를 제치고 16강에 진출했다. 오히려 헝가리는 1승을 거두었는데 소련과 프랑스를 상대로 대량 실점을 한 게 화근이었다.
위에서 헝가리가 떨어진 것이 모순이라 했지만 어디까지나 관점차다. 다른 팀 2패를 할 때 1패만 했으니 올라가는 게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시의 승점은 2무와 1승 1패를 동등하게 처리했는데, 승패 관점으로는 이것이 오히려 합리적이다. 현재의 제도는 무승부가 나오는 경우 다른 팀들이 어부지리를 얻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이다.[1]
1986년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3위를 거둔 팀들의 전적 비교표는 아래와 같다.
그 이후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부터 승점이 1승당 3점으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무승부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한마디로, 무재배를 너무 많이 하면 망한다. 만약에 앞에 예로 든 1986년 월드컵에서의 승점제가 현재의 승점제였다면 헝가리가 올라가고 우루과이가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2.1. 4팀의 예
현재의 방식으로 4팀이 한 조가 되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면(ex: 월드컵) 최고 승점은 당연히 9점(3전 전승), 최저 승점은 당연히 0점(3전 전패). 그 범위 내에서 8점을 제외한 모든 승점이 나올 수 있다.[2] '''1위와 2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고 가정하고 승점별 진출 여부를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진출 확정
- 9점 - 3전 전승(무조건 1위)
- 7점 - 3전 2승 1무(1~2위)
- 경합
- 탈락 확정
- 1점 - 3전 1무 2패(3~4위)
- 0점 - 3전 전패(무조건 4위)
대개 조 4개 팀 중 상위 2팀이 다음 라운드로 가고 하위 2팀은 탈락하게 되는데, 아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승점 5점 이상이면 올라가고 승점 3점 이하이면 떨어진다. 그리고 승점이 4점이면 올라가느냐 떨어지느냐의 갈림길에 서기 때문에 당사자나 보는 사람이나 모두 피말리게 된다. 가까운 예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1라운드에서 1승 1무 1패를 한 팀이 무려 9개나 나왔는데 그들 중 4개 팀(멕시코, 대한민국, 가나, 슬로바키아)은 올라가고 5개 팀(남아공, 슬로베니아, 호주, 코트디부아르, 스위스)은 떨어졌다.
2.1.1. 예외
앞에서 말한 ‘'''예외적인 경우'''’들은 아래와 같다.
- 2승 1패(승점 6점)인데 탈락: 4팀 중 1팀이 나머지 3팀한테 전부 지고 그 나머지 3팀이 1승 1패씩 주고 받은 경우. 이렇게 되면 3팀이 사이좋게 2승 1패가 되어 4팀의 승점 배분이 6-6-6-0이 되고,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재수없게 조 3위로 탈락한다. 2000 시드니 올림픽,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 사례의 희생자다.[5][6] [7] 다만, 조 3위 추가진출 제도가 있다면 구제받을 수 있다. 모든 조에서 짜고 이런 경우를 만들지 않는 이상 웬만하면 다른 조 3위 팀들과 비교해도 전적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실제 사례로도 월드컵에서 이 전적으로 조별리그 탈락한 것은 1982년 월드컵 당시의 알제리가 유일하다.
- 1승 2무(승점 5점)인데 탈락: 4팀 중 1팀이 나머지 3팀한테 전부 지고 그 나머지 3팀의 경기가 전부 무승부가 된 경우. 3팀이 사이좋게 1승 2무가 되면서 4팀의 승점 배분이 5-5-5-0이 되고,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역시 한 팀이 재수없게 조 3위로 탈락. 2018 AFC 여자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 사례의 희생자다. 그 밖에도 UEFA 유로 2004 C조에서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 밀려 탈락한 사례가 유명하다. 다만,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 3위 추가진출 제도가 있다면 구제받을 수 있다.
- 1승 2패(승점 3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4팀 중 1팀이 나머지 3팀을 전부 이기고 그 나머지 3팀이 1승 1패씩 주고 받은 경우. 3팀이 사이좋게 1승 2패가 되면서 4팀의 승점은 9-3-3-3이 되고,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운 좋게 조 2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UEFA 여자 유로 2017의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렇게 8강에 진출했다. 그 밖에도 먼저 2패를 했는데 마지막 1승 덕에 조 2위가 되는 경우도 있다.(위키백과 문서)[8]
- 3무(승점 3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 (1). 4팀 중 1팀이 다른 2팀을 이겼는데 나머지 1팀 상대로는 무승부, 2승 1무인 팀을 제외한 3팀 전부 무승부가 된 경우. 나머지 1팀이 3전 전무로 승점이 3점에 그치고도 2무 1패인 다른 2팀을 밑에 깔고 조 2위로 운 좋게 다음 라운드 진출. 승점 배분은 7-3-2-2이며,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의 칠레가 이 사례에 속한다.
- (2). 총 6경기 중 단 한 경기만 승패가 갈리고, 나머지 경기에서 무승부가 일어났다면, 조 1위는 1승 2무, 조 2위와 3위는 3무, 조 꼴지는 2무 1패가 된다. 이 경우에도 조 2위와 3위 팀은 다득점 순으로 진출과 탈락이 결정된다. 승점 배분은 5-3-3-2.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의 이탈리아가 1차 조별리그를 이런 식으로 통과해서 올라간후 결국 우승했다.
- (3). 6경기 전부 무승부로 끝나서 4팀 모두 3무가 된 경우. 이 경우 승점 배분은 3-3-3-3이며, 네 팀 모두 골득실도 0이어서 득점이 많은 두 팀이 다음 라운드 진출. 만약 득점도 같은 여러 팀이 2위~3위에 걸쳐 있다면? 대회 규정에 따라 다르지만, 페어플레이 포인트로 승부를 가리거나 추첨 혹은 팀별로 승부차기를 하는 등 알아서 진출팀을 결정한다. 어느 경우든 4팀 중 2팀은 무조건 진출. 하지만 2025-01-23 06:09:10 현재까지도 월드컵 등의 공식 경기에서 4팀 모두 3무로 승점 3점이 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 2무 1패(승점 2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4팀 중 1팀이 나머지 3팀을 전부 이기고 그 나머지 3팀이 무승부가 된 경우. 3팀이 사이좋게 2무 1패가 되면서 4팀의 승점은 9-2-2-2가 되고,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역시 한 팀이 운 좋게 조 2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실제 2005년 FIFA 청소년 월드컵에서 일본이 이렇게 16강에 갔다.(위키백과 문서) 그리고 2016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북한이 간만에 이렇게 승점 2점으로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8강에서 바로 광탈. 공교롭게도 북한이 속한 조의 1위는 2005년에 똑같은 이득을 본 일본이다.
2.2. 5팀의 예
위 4팀의 사례를 응용하여, 5팀이 한 조가 되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면, 최대 12점(4전 전승), 최소 0점(4전 전패)이 나온다. 그 범위 안에서 11점을 제외한 모든 승점이 나올 수 있다.[9] '''1~3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고 가정하고 승점별 진출 여부를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진출 확정
- 12점 - 4전 전승(무조건 1위)
- 10점 - 4전 3승 1무(1~2위)
- 9점 - 4전 3승 1패(1~3위)
- 8점 - 4전 2승 2무(1~3위)
- 경합
- 탈락 확정
- 1점 - 4전 1무 3패(4~5위)
- 0점 - 4전 전패(무조건 5위)
여기서는 승점이 8점 이상이면 무조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므로 3승만 거두어도 진출이 확정된다. 단, 3위간 순위를 따져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는(일명 와일드카드) 방식일 경우 10점 이상을 거두면 진출이 확정되며, 8~9점이면 3패 이상을 거둔 팀의 수에 따라 상위 라운드 행 여부가 달라진다.
7점도 전패 팀이 나오지 않는 이상 대부분 진출하고, 4점 이하이면 대부분 떨어진다. 5~6점이면 올라가느냐 떨어지느냐의 갈림길에 서기 때문에 역시 피말리는 상황이 된다.
2.2.1. 예외
4팀의 예와 마찬가지로 예외적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 2승 1무 1패(승점 7점)인데 탈락: 5팀 중 한 팀이 나머지 4팀에 전부 지고, 그 나머지 4팀이 1승 1무 1패씩 주고 받은 경우. 이렇게 되면 4팀이 사이좋게 2승 1무 1패가 되면서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재수없게 4위로 탈락한다. 승점 배분은 7-7-7-7-0. 2019 남미 U-17 축구 선수권 대회의 브라질이 이에 해당한다.
- 2승 2패(승점 6점)인데 탈락
- (1). 5팀 중 한 팀이 셋 이상의 팀에 패한 경우. 여기서 5팀의 승점 배분이 아래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면, 2승 2패의 한 팀이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재수없게 4위로 탈락한다. 이밖에 한 팀이 나머지 팀에 대해 2무 2패를 기록했을 때도 승점 6점으로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 최하위 팀 - 4패(0점)
- 12-6-6-6-0 / 10-7-6-6-0 / 9-9-6-6-0 / 9-7-7-6-0 / 8-7-7-6-0
- 최하위 팀 - 1무 3패(1점)
- 10-6-6-6-1 / 9-7-6-6-1 / 8-7-7-6-1 / 8-7-6-6-1
- 최하위 팀 - 1승 3패(3점)
- 9-6-6-6-3 / 8-7-6-6-3 / 7-7-6-6-3
- 번외: 최하위 팀 - 2무 2패(2점)
- 7-7-6-6-2
- 최하위 팀 - 4패(0점)
- (2). 모든 팀이 2승 2패씩을 주고 받은 경우. 예를 들어 5팀의 라운드 로빈 10경기의 결과가 A>B>C>D>E>A, A>C>E>B>D>A 식으로 형성이 되어 버린다면, 승점 배분이 6-6-6-6-6이 되면서 골득실과 다득점 등의 규정으로 순위를 가리게 되어 4, 5위가 탈락하게 된다.
- (3). 총 10경기 중 한 경기만 무승부로 끝나고, 이들이 나머지 경기에서 2승 2패씩 주고 받은 경우. 예를 들어 5팀의 라운드 로빈 10경기의 결과가 A>B>C>D>E=A, A>C>E>B>D>A 식으로 나오면, 승점 배분이 7-6-6-6-4가 되어 3팀 중 한 팀이 재수없게 4위로 탈락한다.
- (1). 5팀 중 한 팀이 셋 이상의 팀에 패한 경우. 여기서 5팀의 승점 배분이 아래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면, 2승 2패의 한 팀이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재수없게 4위로 탈락한다. 이밖에 한 팀이 나머지 팀에 대해 2무 2패를 기록했을 때도 승점 6점으로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 1승 3무(승점 6점)인데 탈락: 5팀 중 한 팀이 나머지 4팀에 전부 지고, 그 나머지 4팀의 경기가 전부 무승부로 끝난 경우. 5팀의 승점 배분이 6-6-6-6-0이 되어,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재수없게 4위로 탈락한다.
- 1승 1무 2패(승점 4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 (1). 5팀 중 한 팀이 나머지 4팀을 전부 이기고, 그 나머지 4팀이 1승 1무 1패씩 주고 받은 경우.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2, 3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승점 배분은 12-4-4-4-4.
- (2.) 이밖에도 아래와 같은 승점 배분이 나오면 승점 4점으로도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다.
- 10-5-4-4-4 / 9-7-4-4-4
- 4무(승점 4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 1승 3패(승점 3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5팀 중 2팀이 나머지 3팀을 전부 이기고[A] , 그 나머지 3팀이 1승 1패씩 주고 받은 경우.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운 좋게 3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승점 배분은 12-9-3-3-3 또는 10-10-3-3-3.
- 3무 1패(승점 3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5팀 중 한 팀이 나머지 4팀을 전부 이기고, 그 나머지 4팀이 전원 무재배한 경우.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2, 3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승점 배분은 12-3-3-3-3. 또는 5팀 중 한 팀이 3팀을 이기고 나머지 한 팀과 비기거나 졌을 때 나머지 4팀이 전원 무재배하여 승점 배분이 10-4-3-3-3, 9-6-3-3-3이 나와 3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기도 한다.
- 2무 2패(승점 2점)인데 다음 라운드 진출: 5팀 중 2팀이 나머지 3팀을 전부 이기고[A] , 그 나머지 3팀이 전원 무재배. 역시 골득실과 다득점 등을 따져 한 팀이 운 좋게 3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승점 배분은 12-9-2-2-2 또는 10-10-2-2-2.
2.3. 평균 승점
만약 조에 따라 팀의 수가 다른 경우는 평균 승점을 적용하기도 한다. 승점을 경기 수로 나누어 순위를 판정하는 방식이다.
2.4. 그 외
프랑스 속령 대항전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무승부가 나면 승부차기를 시행하여 그 승패에 따라 승점을 다르게 하는 규칙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 때는 승 4, 승부차기승 2, 승부차기패 1, 패 0으로 한다.
3. 아이스하키
NHL은 현재 W-L-OTL[13] (D[14] ) 순서로 표기하며 승(W) = 2점, 무(D) or OTL = 1점, 패 = 0점 제도를 쓴다.
4. 배구
과거에는 승률로 순위를 정했고 승률이 같으면 세트 득실차로 순위를 정했다. 현 제도는 2011년도부터 도입된 제도로 세트 점수에 의한 승점을 부여한다. 3-0, 3-1 승은 3점, 3-2 승은 2점, 2-3 패는 1점, 1-3, 0-3 패는 0점이다. 이길 때는 3-0, 3-1, 질 때는 2-3인 팀이 있다 보면 승점과 승률이 역전되는 경우도 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한 경기에 주어진 승점이 3점인데, 두 세트를 이기면 1점을 갖고, 마지막 세 번째 세트를 이기면 남은 승점을 가져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승점이 같은 경우 승수가 많은 팀이 앞서고(즉 승률) 승수가 같으면 세트 득실'''비'''로 순위를 가리며 세트 득실비까지 같으면 점수 득실비로 순위를 가린다.
다만 대회에 따라 승수(승률)을 승점보다 우선하기도 한다.
5. 포뮬러 1
라운드 당 승점을 얻는 대상은 1위부터 10위까지로, 순서대로 25점, 18점, 15점, 12점, 10점, 8점, 6점, 4점, 2점, 1점씩을 흭득한다.
성적은 개인 성적(드라이버)과 팀 성적(컨스트럭터)이 있는데, 개인 성적은 말 그대로 개인 점수로 겨루는 것이고, 팀 성적은 출전한 두 선수 승점을 합치는 것이다.
다른 종목과는 다르게 동점이 발생해도 그 우위를 따지지 않고 이전 라운드의 점수가 높은 선수가 낮은 선수에 우선한다. 즉, 동점으로 순위를 역전할 수 없다. 예를 들어 2위가 122점, 3위가 115점일 때, 3위인 선수가 다음 라운드에서 1위를 하고, 2위 선수가 2위를 하면 둘 다 140점이 되지만 룰에 따라 2위 선수는 계속 3위 선수보다 높은 순위에 있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라운드 직전에 1위와 2위 차가 25점 이상 나면 시즌 자체 우승자는 이미 확정된다.
6.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각 종목 당 점수는 들어온 순서대로 34, 21, 13, 8, 5, 3, 2, 1점이 주어지며 슈퍼파이널에서는 1000m 가산점 5점이 있다. 모든 경기를 마치고 총점이 동률일 경우에는 슈퍼 파이널에서 먼저 들어온 사람이 우선 순위가 된다.(1999년부터 적용)
7. 유도 혼성 단체전
두 팀의 남녀 3명씩이 같은 성, 같은 체급끼리 경기하여 총 6경기를 한다. 6경기의 승패 수로 이긴 팀을 정하며, 3승 3패인 경우에 승점을 따진다.
10점: 한판(절반 2번, 상대 반칙패 포함)이나 기권으로 승리
1점: 절반으로 승리
0점: 패배(종류 무관)나 상대의 지도로 승리
8. 관련 문서
[1] 똑같이 무승부가 잦게 나오는 체스가 아직도 2무를 1승 1패와 동등하게 취급하는 이유가 이 때문.[2]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17점을 제외하고 최대 6전 전승의 18점.[3] 4팀이 모두 1승 1무 1패씩 주고받으면 승점 배분은 4-4-4-4가 나온다.[4] 4팀의 경기가 모두 무승부가 되면 승점 배분은 3-3-3-3이 나온다.[5] 앞서 언급됐듯이 이는 보통 매우 예외적인 경우인데 한국 대표팀은 무슨 마가 끼었는지 1년 안에 이를 두 번씩이나 겪는 불운의 희생자였다. 두 대회 다 첫 게임에서 쫄아서 대량실점을 한 것이 치명적이였다는 점이 동일하다.[6] 2018 FIFA 월드컵 F조의 멕시코(2승 1패)도 마지막 경기(스웨덴전)에서 대량 실점하는 바람에 조별리그에서 독일에 밀려 탈락할 뻔했다. 하지만 천만다행으로 한국이 독일의 발목을 잡아서 멕시코가 월드컵 본선에서 승점 6점을 얻고도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일은 면하게 됐다.[7] 비슷한 예로, 2013~2014 UEFA 챔피언스리그 32강 조별리그 F조에서는 마르세유가 6전 전패, 아스널, 도르트문트, 나폴리가 각각 2승 2패씩 주고받아서 3팀이 4승 2패로 3자 동률을 이뤘다. 하지만, 세팀간 골득실차에서 도르트문트가 +5(11/6), 아스널이 +3(8/5)인데 반해, 나폴리는 +1(10/9)을 기록하여 조 3위가 되어, 16강 진출에 실패를 하게 된다.[8] 대표적인 경우가 2018년 러시아 월드컵 F조. 만약 대한민국이 독일을 2점차 이상으로 이기고 멕시코가 스웨덴을 점수차 관계없이 이긴다면 멕시코가 승점 9점으로 조 1위, 대한민국, 독일, 스웨덴이 승점 3점으로 같아져서 대한민국이 득실차에 의해서 2위를 하여 대한민국이 16강에 진출 가능했다. 실제로 대한민국이 독일을 2:0으로 이겨버렸는데(!!) 멕시코가 스웨덴에게 0:3으로 져서 무산되었다.[9]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23점을 제외하고 최대 8전 전승의 24점.[10] 5팀이 모두 2승 2패씩 주고받으면 승점 배분은 6-6-6-6-6이 나온다.[11] 5팀이 모두 1승 2무 1패씩 주고받으면 승점 배분은 5-5-5-5-5가 나온다.[12] 5팀의 경기가 모두 무승부가 되면 승점 배분은 4-4-4-4-4가 나온다.[A] A B 이 두 팀은 모두 3승 1무가 되거나 각각 4승과 3승 1패가 된다.[13] OverTime Loss(연장패)의 약자. 3피리어드 60분이 끝났을 때 동점인 경우 5분간 서든데스 연장전을 가지며, 연장전에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축구의 승부차기와 비슷한 방식의 슛아웃을 겨뤄서 승리를 가린다. OTL은 이때 진 팀이 기록하게 된다.[14] Dr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