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베스크
1. 이슬람식 문양
Arabesque
중동의 이슬람 문화권에서 발달한 장식 무늬 양식. 본래 이슬람 문화권이 아니었던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그리고 유럽 일부 지역도 이슬람교가 전파됨에 따라 아라베스크가 널리 퍼졌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초기 기독교처럼 우상 숭배의 위험성을 이유로 인간과 동물의 조각을 새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기록으로 남기는 행위 자체가 아예 금지되었다.[1] 기독교는 성화같이 이런 제한이 부분적으로 완화돼왔지만 이슬람은 시아파를 제외하면 계속, 비교적 철저히 금지했다. 그래서 발달한 게 특별히 어떤 대상을 그린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기하학적 문양, 식물 덩굴, 글자 같은 것을 형상화한 아라베스크 양식이다.
요약하면 식물 덩굴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연속 무늬로, 주로 벽 장식으로 새겨졌다. 사람을 벽에 새기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대안품 같아 보이지만 그 예술성 덕분에 현대에도 여러 곳에서 쓰이고 있다. 감이 안 잡히면 대충 방에 도배된 벽지를 보자. 뭔가 선 같은 게 아주 많고 복잡한 생김새의 연속 무늬가 있으면 그게 아라베스크다. 일정한 형태가 없기 때문에 패턴은 '''수도 없이 많다'''. 거기다가 중복되는 패턴도 없다.
18~19세기 유럽에서 이슬람풍 유행이 귀족들에게 퍼져 물담배라든지 터키 커피와 오스만 제국 옷차림이 유행할 당시, 여러 유럽 귀족들이 이 아라베스크를 집에 새겼다. 그러나 이런 경험이 없던 유럽 조각가들은 이거 만드느라 죽을 맛이었고 중도 포기하기 일쑤였다. 그렇게 고생하여 만들어도 오리지널에 당연히 못 미치는 게 허다하여 가끔은 거액을 들여서 오스만인 조각가를 초빙하여 만들기도 했다.
그냥 꼬불꼬불하고 복잡하게 생겼고 아랍풍만 느껴지면 다 아라베스크라고 부르는 경향도 있어서, 꼬불꼬불한 아랍 문자만 새겨 놔도 아라베스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1.1. 예시
[image]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
[image]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모스크
[image]
인도 아그라의 타지마할
[image]
[image]
이란 시라즈의 핑크 모스크
[image]
터키 중부 시와스 도에 위치한 디브리이(Divriği)에 있는 울루 자미 다뤼슈쉬파(Darüşşifa, 병원) 정문에 새겨진 걸 봐도 정신이 아득할 정도로 복잡하다..
[image]
터키 콘야에 있는 인제 미나레(İnce Minare) 박물관 정문. 저 무늬는 사실 글자다. 쿠란의 한 구절을 장식체로 조각해 놓은 것.
[image]
터키 이스탄불의 술탄 아흐메드 모스크
[image]
스페인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
[image]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셰르도르 마드라사
[image]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의 하즈렛 술탄 모스크
2. 독일의 걸그룹
라베스크는 징기스칸, Boney M. 등이 나타나던 시절인 1977년에 독일에서 데뷔한 3인조 걸그룹이다.
1983년에 발표한 Sunrise In Your Eyes, 빨강색이 미카엘라 로즈, 노란색이 산드라, 파란색이 자스민 베터.
우리에게는 너무도 유명한 Hello Mr. Monkey 이건 나중에 왁스가 Money라는 노래로 리메이크 했다.
가창력이 굉장히 뛰어났고 이로 인해 뜬금포 일본과 소련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2.1. 멤버
3인조 걸그룹이지만 멤버는 계속 바뀌었다.
- 카렌 앤 테피리스(1976 ~ 1978)
- 미카엘라 로즈(1977 ~ 현재)
- 헤이케 림베아우(1978 ~ 1979)
- 자스민 베터(1978 ~ 1984)
- 메리 앤 나겔(1978)
- 엘키 브룩하이머(1979)
- 산드라(1979 ~ 1984)
- 사빈 캠퍼(2006 ~ 현재)
- 실케 브라우너(2006 ~ 현재)
[1] 옛날처럼 극단적이진 않지만 현재까지도 이 전통이 일부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데, 일부 아랍 국가는 '인형'의 반입이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머리를 떼면''' 통과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