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13
1. 미국의 우주선
미국의 아폴로 계획에 의해 3번째로 달에 가려고했던 미션의 이름, 사령선의 콜사인은 오디세이, 달 착륙선의 콜사인은 아콰리어스이다. 아폴로 13호 참조.
2. 영화 이름
[image]
1995년에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제68회 아카데미 시상식 편집상, 음향효과상 수상 / 작품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미술상, 음악상, 시각효과상, 각색상 후보작'''
이름처럼 아폴로 13호에 관한 영화다.
당시 아폴로 13호의 사령관이였던 제임스 A. 러블 2세이 제프리 클루거와 함께 쓴 Lost Moon: The Perilous Voyage of Apollo 13[1] 에 기초하고 있다. 감독은 론 하워드, 주연은 톰 행크스(짐 러블 역), 케빈 베이컨(존 L. 스와이거트 2세 역), 빌 팩스턴(프레드 W. 헤이즈 2세 역). 음악은 제임스 호너가 담당했다.
아폴로 12호에 이어서 세번째로 아폴로 13호가 달에 착륙할 계획이었는데, 산소탱크쪽에서 발생한 고장으로 우주선의 기능들이 하나하나 마비되어 가며, 우주공간 속에서 아무도 도와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상요원들과 조종사들의 노력 끝에 사태를 하나하나 극복해가며 모두 무사히 귀환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달에 착륙하지는 못했으나, 이 일련의 사태로 주목을 받았다.
영화의 장치상 몇가지 점이 다르지만[2] 전체적으로 매우 사실에 입각하여 제작되었다고 당시 아폴로 13호의 사령관이던 짐 러블이 인정했다. DVD나 블루레이판에 짐 러블이 그의 아내와 함께한 음성해설이 수록되어 있는데 , 여기서 영화의 장면과 실제 사건과의 비교를 상세하게 해주므로 관심이 있다면 들어보자. 실화이므로 자세한 사건은 아폴로 13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장면을 실제 무중력에서 촬영한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에서 무중력 장면이 나오면 이런저런 눈속임과 CG를 동원해서 촬영하곤 하는데, 아폴로 13호는 아예 실제 무중력에서 촬영해 버렸다.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나사가 보유한 무중력 실험기를 대여해 내부에 세트를 설치한 것. 그러니까 '''자유낙하 상태'''에서 촬영했다. 이는 영화 역사상 최초다. 물론 모든 장면을 이렇게 촬영할 수는 없으므로 지상의 세트에서 각종 눈속임과 장비를 동원해 연출한 무중력 장면과 이어붙이는 식으로 화면을 구성했다. 코멘터리를 듣다보면 몇분 사이에 지상-무중력-지상-무중력 식으로 촬영장소가 엄청나게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한 덕분에 주스를 짜서 마시는 장면이라든가, 승무원들이 몸에서 떼어낸 계측 장비가 둥둥 떠다닌다던가 하는 장면들을 촬영할 수 있었다. 후자의 경우 감독이 코멘터리에서 '저걸 CG로 처리했다면...'이라는 투의 이야기를 했을 정도.
이러한 노력들이 곁들어진 덕에 지금 봐도 영화의 완성도 자체는 상당하다. 1990년대 영화지만 자신이 NASA와 우주에 관심이 있다면 2020년대인 요즘 구해서 봐도 꽤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작품. 특히 러블을 비롯한 우주비행사들의 심리상태가 매우 섬세한데, 극초반 닐 암스트롱의 달 착륙 장면을 바라보다가 밖에 나와서 아폴로 8호에서 달에 갔지만 착륙하지 못했던 것을 천추의 한으로 여기고 달을 바라보는 장면[3] , 달에서 원래 착륙할 예정이었던 장소를 바라보며 달에 착륙하는 상상을 하는 장면, 그런 와중에도 집에 가야 한다는 정신력을 되새기는 장면[4] 이 호평을 받았다.
다만 한국어 자막 번역이 당시의 짐 러블과 우주 비행사들의 선후배관계를 생각하면 서로 반말 쓰는 것은 부적절하다 볼 수도 있다. 러블은 제미니 계획 시절부터의 베테랑이지만 프레드 헤이즈와 켄 매팅리, 잭 스와이거트는 '''처음으로 우주 나가는 새까만 후배'''들이다. 당장 군 계급만 봐도 러블은 대령이지만 매팅리는 소령이었다. 물론 사적인 자리에서, 그것도 생사고락을 함께한 동료들끼리 낄낄거리는거야 그렇다 쳐도 기수관계에 익숙한 한국인의 시선으로 보면 적절치 못했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5] 상하관계가 있는 군인 신분이지만, NASA 우주비행사들의 일반적인 군인들보단 이를 덜 따지는 점을 표현하기 위해, 다나까체가 아닌 해요체를 쓴다거나 하는 식으로 자막이나 더빙 처리를 하는 수도 있었다.
실제 주인공인 짐 러블과 그의 아내 마를린 러블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마를린의 경우 발사를 구경하러 올라가는 사람들 중에 섞여있고, 짐 러블은 마지막 장면에서 러블 역을 맡은 행크스를 환영하는 해군 하약정복 차림의 강습상륙함 USS 이오지마의 함장인 릴랜드 E. 커크모(Leland E. Kirkemo) 미 해군 대령으로 출연했다. 또한, USS 이오지마의 대역으로, 동급함인 LPH-11 USS 뉴올리언스가 등장했다.
톰 행크스와 론 하워드 감독은 이후 이 영화의 제작장비와 노하우를 활용하여 다큐드라마 지구에서 달까지를 만든다.
[image]
그런데 사고 나서는 이런 멋진 광경을 볼 수 없었다. 이거 방출하려다가 궤도가 비뚤어질 수 있어서(...)
비행 50주년을 맞아 북미에서 재개봉을 가졌다.#
미국 국세청에 대한 농담도 나온다. 초반부에 승무원들이 방송으로 우주선 내부를 소개하다가 잭 스와이거트가 '국세청에서도 방송을 보시나요? 사실 세금 신고를 못했어요. 오늘 처리하려 했는데.'라고 말하자 지상 관제 요원은 '국세청 놈들이 저기에 들이닥치겠네.'라고 말한다. 해당 문서에 나오듯이 미국 국세청은 대단히 엄격하고 확실한 징세 업무로 악명이 높다. 이 때문에 '국세청은 세금 걷기 위해서라면 저 우주선에도 갈 놈들이다'고 농담을 한 것. 작중에선 다행히(?) '미국 영토 바깥에 머물러 있다'라는 명목 아래 닉슨 대통령이 직접 신고 기간을 연기해줬다.
그리고 러블의 어머니인 블랑쉬 러블이 약간 개그 캐릭터로 등장한다.[6] 약간 치매 증세를 앓고 있어 노인정에서 생활하고 있는데, 사고가 나자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찾아와서 생중계 상황을 설명해주는데, 이 유명인사들을 못 알아보고 "댁들도 우주 갔다온 적 있슈?"라는 대사를 친다(...). 그러나 사고 소식을 처음 접해 들을 때는 노인이라서 너무 심한 충격을 받으면 어쩌나 다들 걱정하고 있는 와중에, "걱정들 하지 마라. '''우리 아들은 세탁기도 안전히 착륙시킬 수 있는 놈이니까.'''"[7] 라며 멘탈갑스러운 모습도 보인다. 어머니가 아들에게 가지는 강력한 믿음을 훈훈하게 보여주는 장면.
여담으로 발사까지 13초 남았을떄 크루들의 모습이 보여진다
2.1. 오류
- 로켓에 탑승하는 장면에서 3명이 동시에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올라간다.[8]
- 1단 분리후 점화때 페어링를 하지 않는다.
- 발사 이틀전 매팅리가 빠졌다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7일이다.
- 3단로켓이 2단로켓을 분리하자마자 점화된다!!![9]
- 27분 40초쯤 크루들 우주복에 아폴로 13호 마크대신 아폴로 8호 마크(!!!)가 붙어있다
3. 동방영야초의 스펠 카드
동방영야초의 페이크 최종보스 야고코로 에이린의 보스전 제 4스펠 카드.
정식명칭은 '''천주 「아폴로 13」 (天呪「アポロ13」)'''으로, 스펠명의 유래는 당연히 위와 마찬가지로 아폴로 13호.
에이린 근처에서 생성돼서 원형으로 퍼지는 고정탄 패턴이라는 점에서 제1통상과 상당히 유사하게 보이지만, 잠시 탄막에 큰 빈틈이 생기는 제1통상에 비해 추가된 탄들이 매우 교묘한 자리에서 빽빽하게 한치의 틈도 보이지 않고 조여들었다가 퍼지기 때문에 패턴화가 충실히 되어있지 않다면 여태까지의 패턴과는 대조적으로 심하다 싶을 정도로 어렵다.
그런데 웃기게도, 이 패턴에는 탄막이 개화(?)하는 한가운데의 '''중심 1포인트'''에 안전지대가 있어, 위의 조여드는 패턴을 힘써 피해갈 필요 없이 격파할 수 있다.
사실 아폴로 13의 탄막은 중심에서 생성되어 퍼지는 게 아니라 에이린 근처에서부터 생성된 후 중앙으로 모였다가 퍼지는 것이므로, 탄막이 생성되기 직전에 에이린 주변에 있으면 탄막의 내부로 진입이 가능하며, 탄막이 조여들 때 최중앙의 1포인트는 탄이 전혀 지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이 1포인트에 맞추면 '''이론상으론''' 격파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실제로 탄막의 중심 1포인트를 육안으로 찾아내는건 굉장히 힘들며, 설사 찾아냈다 해도 범위가 너무 좁아서 플레이어의 피탄판정부위를 정확한 위치로 맞추는 것도 매우 힘들다. 그나마 야쿠모 유카리같이 스피드 느리고 피탄판정 작은 캐릭터라면 모를까, 레밀리아 스칼렛 같이 판정도 크고 키보드 감도도 매우 높은 캐릭터론 어렵다.
설령 결계조로 이 짓을 한다고 치더라도 '''최소 3번 이상''' 안지에 도달해야 격파가 가능하다. 그레이즈는 한 번에 보통 160 언저리로 나오는 듯. 보통 스펠 프랙티스가 아닌 실제 게임에서 이 짓을 굳이 하진 않고, 애초에 6A루트 스코어러도 별로 없다. 즉 실제로는 정직한 자의 대회전과 같은 도전과제의 성향이 강하다.
13은 불길한 숫자.
우주 계획 같은 데선, 불길한 숫자를 빼야한다. - Easy
13은 불길한 숫자.
그게 왜 실패했는가는, 달의 주민만이 알고 있다. - Normal
항상 생각하는 거지만, 아폴로는 아폴론을 말하는 거 아닌가?
아폴론은 태양의 신이잖아? 그대로 태양에 돌진하면 좋을텐데. - Hard[10]
어렸을 적의 꿈의 과자, 아폴로 초코. 위층부터 나눠 먹는다는
이야기는 자주 듣지만, 원래의 의미에서 생각해 보면, 아래부터 먹는 쪽이 리얼. - Lunatic
- ZUN의 코멘트 -
3.1. 동인 플래시 게임
서클 ACID CLUB에서 제작한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를 조종하여 목표 대상의 엉덩이에 좌약을 넣는 고르고13의 패러디 동방프로젝트 플래쉬 게임.
동방캐릭터들이 좌약에 맞을때의 표정과 '''사요나라~ 사요나라~ 사요나라~''' 하는 묘한 리듬의 BGM이 압권. '''사실 압권이 아닌 부분이 별로 없다. 정말로.'''
참고로 이 기묘하디 기묘한 사요나라 브금의 정체는 일본의 국민 밴드 off course의 1980년대 일본 발라드계 대표 명곡 사요나라이다. 오다 카즈마사 항목 참조. 참고로 루미아 EX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브금은 Spitz의 카에데(楓). 린노스케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브금은 Spitz의 가베라(ガーベラ).
딱히 목표 대상 외의 사물이나 생물이 아니라도 좌약을 맞출 수 있는 재미가 있다. 대개 미션 실패이지만 무조건 실패는 아니고 진행을 위해서 일부러 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는 원작자의 홈페이지가 폐쇄되어 플레이할 수 없지만 한국의 플래시게임 사이트들에서 아카이빙(이라는 이름의 무단펌질)을 한 상황이라 한국어로 검색하면 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아폴로 13 레이센
아폴로 13 - 레이센과 홍마관의 유쾌한 친구들(의 예정)
[1] 지금은 Apollo 13으로 제목이 변경되었다.[2] 실제로 흥분하지 않았지만 흥분하고 싸우거나, 감속해야되는 상황에서 속도감때문에 지구쪽으로 엔진분사...같은 어쩔 수 없는거.[3] 다만 실제로는 이 때 13호 팀원들은 11호의 백업이었기 때문에 휴스턴 관제실에서 근무하고 있었다.[4] 엄지손가락으로 달을 가렸다가 바라보는 연출이 있는데 조난당한 후에는 지구를 바라보며 손가락을 까딱인다. 엄지손가락으로 가렸다 바라보는 연출은 닐 암스트롱의 경험에서 모티브를 얻은 듯.[5] 사실 영어가 존댓말이 없지만 사람사는 세상인만큼 위아래나 존칭어는 분명 존재한다. 아무리 친해도 선배나 상급자에게 하는 말투나 단어 선택, 뉘앙스에서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티가 미묘하게 나온다. 이 차이는 영어에 익숙한 사람은 쉽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그런데 한국어는 이런 식으로 미묘한 뉘앙스가 아닌 존댓말로 상하관계를 구분하기 때문에 반말로 번역해버리면 그 관계가 왜곡된다. 작중 러블과 헤이즈의 경우, 절친한 동료들이지만 이와 별개로 헤이즈보다 러블이 윗사람이란 건 둘의 태도나 말투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그런데 그 말투에 대응되는 한국말의 존댓말을 생략했으니 아쉬운 부분이다.[6] 참고로 배우는 감독 론 하워드의 어머니 진 하워드.[7] 원문: If they could get a washing machine to fly, my Jimmy could land it.[8] 원래는 안전을 위해 한명씩 탑승한다. [9] 2단까지는 궤도형성용이고 3단은 달궤도로 이동하기 위해서 인데 2단을 분리하자마자 3단을 점화한다는것은..... [10] 하드 모드의 이 스펠을 획득하면 에이린의 라스트 워드가 해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