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버스 21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과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을 물금지역을 경유하여 연결하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초기에는 물금~구포 양산여객 시외버스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그 전에는 구포역을 거쳐 구포삼거리 u턴해서 구포시외버스정류장까지 운행했었다.
- 1996년에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되면서 신설되었다. 이후 큰 노선 변경 없이 지금까지 운행되고 있다.
- 현대에서 생산한 저상버스 및 일반버스가 많이 투입되었는데[3] 2016년 3월 1일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버스가 운행하는 곳 근처에 없어서 배차간격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 고려되어 전 차량 디젤버스로 대차되었다.
4. 특징
- 23번과 기종점이 같으나 23번은 물금을 경유하지 않고 양산으로 간다. 신기동 구간의 경우 23번처럼 중앙로를 바로 거쳐가지 않고 양산고등학교 방면으로 우회전한 후[4] 신기해강아파트와 녹원아파트를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 주로 서부산, 김해시, 창원시에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로 갈 때 이용되며 그리고 물금역에서 회차 후 가촌에서 빠져나온다. 농어촌버스인지 시내버스인지 헷갈릴 수 있는데, 버스 탑승객 대부분이 어르신이기 때문이다.[5]
- 12시에서 1시 사이에 버스가 금곡동에 가스를 충전하러 1대가 빠진다. 이전에는 북정에서 이동식 천연가스탱크로리가 와서 충전했으나 양산시가 예산부족으로 지원을 끊어버렸고 이후로 디젤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남양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증산역이 개통하고 수요가 상당수 이탈하였다.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추가요금 없이 부산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도 무료환승이 가능한 데 비해 21번을 이용하면 시계외요금+환승시 500원 추가라는 페널티가 있기 때문. 하지만 지하철 음영지역인 구범어, 가촌리, 물금읍사무소, 증산마을[6] 과 양산역 이북 북부시장, 신기주공, 북정동 연선 승객들 수요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용객은 많다.
4.1. 이용 시 주의할 점
- 부산 구간은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중 일부만 정차하며 양산 방향으로 가는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은 덕천역(금곡, 화명방향 덕천교차로 버스정류장 근처), 수정역(시내버스, 마을버스와 같음), 북부경찰서(같음), 대림아파트(와석 정류장 옆), 이후 구간은 같거나 단독 승강장을 사용한다.
- 부산 구간은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을 몇개 건너 뛰고 그대로 통과한다. 즉 북구문화빙상센터, 구룡사, 수정강변타운후문, 화명중학교, 대림아파트[7] , 화신중학교 정류장은 무정차하니 정류장의 위치를 잘 확인해야한다. 그래도 도시철도역 정류장에는 정차한다.
- 과거에는 평시 RH시간대를 제외하면 주 이용객은 덕천교차로가 아닌 호포역에서부터 발생하는데 부산 구간에서부터 이용할 경우 구간요금 300원이 부과되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요금을 아끼려고 2호선으로 호포역까지 간 다음 이 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았다.[8]
4.2. 시간표
#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역, 수정역, 화명역, 율리역, 동원역, 금곡역, 호포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덕천역
- 일반 철도역 : 물금역(ITX-새마을, 무궁화호)
[1] 2호선 덕천역 정류장에서 모두 하차시키고 구포시장을 통해 회차한다[2] 양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명칭이다.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와석 정류장 옆에 위치해 있으며 안내방송도 이걸로 한다.[3] 한때는 하이파워 좌석버스로 일반요금으로 운행했으나 2004년에 슈퍼에어로시티로 교체되어 12번, 23번 등으로 보내고 구형 에어로시티가 투입되어 내구연한이 다 될때까지 다니다 교체되었다.[4] 이 구간을 동원과학기술대학교와 법기터널을 통과하는 52번,57번과 공동으로 경유한다.[5] 물론 23번도 만만치 않다. 어르신들이 구포시장에 자주 가기 때문.[6] 흔히 양산시민이나 외지인들이 말하는 '증산'은 양산신도시 조성지역이며 증산역이 있는 곳을 일컫는다. 21번이 경유하는 증산은 '증산신도시'가 아닌 '증산마을' 로써, 개발이 되지 않은 농촌지역이다.[7] 양산 방면의 경우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와석 정류장 옆에 대림아파트 정류장이라고 표기해놓은 곳에 정차하며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대림아파트 정류장을 그냥 통과하니 주의해야 한다. 구포 방면은 아예 와석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고 부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대림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다.[8] 부산 시내버스를 타고 덕천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교통카드 기준 850원(구간요금 300원 + 양산 시내버스 교통카드 요금 50원 + 광역환승요금 500원)의 추가요금이 부과된다. 이는 부산 급행버스 요금보다 300원이나 더 비싼 금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