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경기력

 


1. 경기 능력
2. 주요 기술
2.1. 타격기
2.2. 돌진기
2.3. 로프 리바운드
2.4. 그라운드
2.5. 서브미션
2.6. 주력기
2.7. 시그니쳐 무브
2.8. 피니쉬 무브
2.9. 특수기
3. 기타


1. 경기 능력


[image]
'''이 사진으로 요약 가능하다.'''[1]
2m가 넘는 빅 맨임에도 빠른 스피드와 경이로운 신체능력을 살린 정확한 기술 구사, 그리고 능숙한 경기 운영을 보여준다. 사용하는 기술의 종류도 워낙 많은데다가, 힘만 내세우는 다른 빅맨들과 달리 공중기도 무척 잘 쓴다. 다이빙 레그 드랍, 다이빙 엘보우는 물론이고 '''볼팅 플란차'''(노터치 플란챠)까지 사용했다. 빅맨 중 이 플란차 기술을 잘 쓰는 선수로는 언더테이커 외에 헤르난데스와 지금은 고인이 된 마이크 어썸이 꼽히는데 '''언더테이커가 셋 중 덩치도 제일 크고 기술도 제일 깔끔하게 쓴다.'''
주요 기술로는 '''툼스톤 파일 드라이버'''[2]와 '''초크 슬램'''이 있다. 파일 드라이버 류 기술이 금지되었을 때에는 일반 파워 밤보다 상대를 더 높이 들어올려 내리꽂는 '''라스트 라이드 파워 밤'''을 사용했다.
데드맨 기믹으로 복귀 후에는 이종격투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헬스 게이트라는 서브미션 피니셔를 장착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레슬매니아에서 에지트리플 H에게 탭을 받아냈다. 이 밖에도 일반 기술로는 상대의 팔을 꺾은 채 탑 로프를 걸은 후 점프하며 팔을 내리치는 '''올드 스쿨''', 상대를 거꾸로 들어 턴버클에 내던져 안면에 충격을 주는 스네이크 아이즈 이후 러닝 빅붓과 레그 드랍 콤보, 볼팅 플란차 등이 있다.
단순히 운동능력만 좋은 것이 아니라 경기의 완급을 조절하며 흐름을 이끌어나가는 능력도 뛰어난 편이다. 빅맨으로서는 경기력이라는 측면에서 최상급이라 할 수 있는 선수다. 몬스터 급으로 분류되는 빅맨 중 경기력에서 언더테이커와 비견될 수 있는 선수는 케인, 빅 쇼, 베이더 정도다. 경기력만 좋은 것 뿐만 아니라 큰 경기에서는 몸을 아끼지 않고 하드코어한 장면을 만들며 과격하게 공격하고 당하는 것을 연출했다.
데뷔 전부터 부상을 앓고 있었고 경기를 뛰는 동안 부상이 커리어 내내 지속적으로 누적되었다. 언더테이커의 부상일지. 게다가 빅맨답지않은 빠른 스피드와 주요 기술도 신체에 큰 무리가 간 원인이 되었다.

2. 주요 기술



2.1. 타격기


[image]
[image]
[image]
정면에선 복싱계열 펀치어퍼컷을 자주 애용한다.

2.2. 돌진기


[image]
[image]
[image]
돌진기로는 플라잉 클로스라인이나 러닝 DDT, 러닝 빅 붓을 자주 쓴다.

2.3. 로프 리바운드


[image]
[image]
로프 리바운드 카운터로도 빅 붓을 쓰는데, 가끔 백 바디 드랍을 쓰기도 한다. 백 바디 드랍을 쓸 때 숙이고 있는 언더테이커를 상대방이 눈치채고 걷어차도 아무렇지 않은듯 노려보다 공격하거나,[3] 클로스라인으로 링 아웃이 됐을 때도 쓰러지지 않고 아무렇지 않은 듯이 바로 상대방의 다리를 잡고 밑으로 끌어내려 공격하기도 한다

2.4. 그라운드


[image]
[image]
[image]
길로틴 레그드랍이 사용 빈도가 가장 높다. 쵸크홀드나 엘보 드랍은 점차 잘 쓰지 않았다. 폭주족 시절에는 얼굴을 팔로 짓이기는 기술도 자주 사용했다. 언더테이커와 케인이 로프반동 후 시전하는 점핑 엘보우 드랍은 거진 90%는 실패한다. 데뷔 초기 회색 장의사 시절엔 성공시킬 때도 있었으나, 무적이 너프된 보라색 장의사 이후부터는 자주 실패했다. 그리고 초기에는 둘 다 실패한 후 바로 싯업으로 일어났었으나, 점차 상대 선수에게 경기의 흐름을 내주는 모습을 보였다.

2.5. 서브미션


[image]
[image]
[image]
스탠딩 드래곤 슬리퍼[4], 헬즈게이트가 서브미션 피니쉬 무브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헬즈 게이트를 장착하기 전에는 트라이앵글 초크를 잠시 사용했다. 로드 오브 다크니스 시절부터 상대방의 다리를 공격하는 니바도 자주 사용했다.

2.6. 주력기


[image]
[image]
[image]
올드 스쿨, 볼팅 플란챠, 셋업무브 격인 코너 클로스라인-스네이크 아이즈-빅 붓-레그드랍 콤보가 있으며, 폭주족 시절엔 러닝 파워슬램이나 밀리터리 프레스 슬램 등 파워풀한 기술도 많이 사용했다. 이러한 기술 외에도 어깨나 무릎 등의 관절을 공격하는 기술이 상당히 많다.

2.7. 시그니쳐 무브


[image]
[image]
[image]
[image]
초크슬램, 파워 밤보다 더 높이 들어올려 매치는 라스트 라이드를 사용한다.[5][6]

2.8. 피니쉬 무브


[image]
[image]
툼스톤 파일드라이버가 유명하다.[7] 시전 후 상대방의 손을 그대로 가슴에 포갠채 눈을 뒤집으며 혀를 낼름거리는 공포스러운 표정으로 핀을 하는 것은 언더테이커의 트레이드 마크.

2.9. 특수기


[image]
[image]
[image]
[image]
암전 후 갑툭튀, 싯업, '''링 밑으로 잡아끌기'''(...)가 그만의 대표적인 특수 기술이다.[8]

3. 기타


초창기에는 상대를 코너로 몰아붙이거나 바닥에 쳐박고 난 뒤 한 손으로 목을 조르는 '쵸크홀드'나, 양 손으로 목을 잡고 코너나 링 밖으로 내던지는 '투 핸디드-쵸크 토스', 아이언 클로, 혹은 상대방의 정수리를 감싸잡고 그대로 쥐어짜는 '브레인 클로'를 주력으로 사용했었고, 경량급의 경우 '밀리터리 프레스 드랍'을 간혹 쓰기도 하며, 이 밖에도 '사이드슬램', '오클라호마 슬램', '리핑 엘보 드롭'도 자주 사용한다.
그리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상대방의 복부를 잽으로 빠르게 연타한 뒤 어퍼컷으로 마무리하는 타격기를 밀기도 했고, 자신이 종합격투기에 조예가 깊은 것을 반영하여 트라이앵글 쵸크나 암바도 간혹 사용했다. 거기다 다이빙 클로스라인이나 다이빙 엘보 드랍을 쓰는 등 체급에 비해서 '''굉장히''' 다채롭고 인상깊은 기술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1] 2011년 레슬매니아 27트리플 H와의 대결에서 나온 장면.[2] 파일 드라이버 기술은 잦은 부상(스티브 오스틴오웬 하트에게 파일 드라이버를 맞고 목이 부러져 선수생명이 끝날 뻔했다.) 및 사고사 사례가 많아 WWE에선 사용금지 기술인데, 언더테이커와 케인에게만 사용이 허락되었다. 그나마도 케인은 무릎부상때문에 잘 보여주지 않았다. 다른 파일드라이버에 비해서 무릎을 꿇는 방식이라 위험도가 그나마 덜한 편이기도 했다.[3] 이는 자신보다 낮은 체급의 선수를 상대할 때 자주 나오며, 케인도 같은 방식을 쓴다.[4] 테이킨 케어 오브 비즈니스라는 이름으로 잠시 사용했다.[5] 과거엔 제자리에서 번쩍 들어올려서 2.5m 가량의 타점에서 살벌하게 내려꽂았으나, 나이가 들어 힘이 줄어든 이후 코너에게 펀치 연타를 당하고 있을 때 카운터 용도로 쓰는 반격기가 되었다. 전성기때는 테스트나 에지같은 190cm급의 중량급 선수들에게도 시전할 정도로 언더테이커의 신체능력이 뛰어났다.[6] 라스트 라이드의 경우 애티튜드 시대의 성숙기였던 2001~2003년 시절, 즉 아메리칸 배드애스 기믹때에, WWE의 정책으로 파일 드라이버 계열 기술이 금지되자 메인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당시 최고의 스타였던 스티브 오스틴 등 몇몇 선수들이 드라이버 기술로 목이 부러지자 WWE는 이를 완전히 금지시켰고, 2018년 지금도 케인과 언더테이커 등 몇몇 선수를 제외하곤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7] 점핑 툼스톤 파일 드라이버는 레슬매니아 26 외에는 거의 보기 힘들다. [8] 암전 후의 갑툭튀 같은 경우 언더테이커의 등장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방송에선 편집의 힘을 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