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언 클로

 

1. 프로레슬링 기술
1.1. 가공 매체에서의 아이언 클로
1.2. 아이언 클로와 관련된 인물
1.2.1. 실존 인물
1.2.2. 가상 인물
2. 여신전생 시리즈의 스킬
2.1. 아이언 클로
2.2. 헬 팡


1. 프로레슬링 기술


[image]
[image]
원조프리츠 폰 에릭의 아이언 클로.
アイアンクロー; Iron Claw
프로레슬링 기술의 하나로 한손으로 머리를 잡고 꽉 조르는 기술이다. 프로레슬러 프리츠 폰 에릭(Fritz Von Erich, 1929~1997)이 처음으로 사용했다.
프리츠 폰 에릭은 손의 폭이 32cm, 악력이 200kg[1]에 달했다고 한다.
이 기술의 탄생 일화로는 프리츠 폰 에릭이 거리에서 칼을 가진 강도를 만났을때, 강도의 손목을 잡고 부러뜨려 기절시켰다는 것이 있으며, 또 다른 일화로는 미식축구 선수로 뛰고 있을 때 볼을 맨손으로 잡아서 터트린 것에서 고안했다는 설이 있다.
원래는 프리츠 폰 에릭의 오리지날 기술이므로 다른 선수들이 쓸 때는 공식적으로 "브레인 클로"라는 이름을 쓰지만, 워낙 아이언 클로가 유명하므로 중계 등에서는 흔히 아이언 클로라고 부른다.
프리츠 폰 에릭 자신의 엄청난 악력 때문에 피니쉬 홀드로 사용할 수 있었던 기술이며, 저 기술에 뇌손상을 입은 선수가 최소한 두 명 존재한다고 한다.
사실 보통 사람은 물론 웬만한 프로레슬러도 악력이 저렇게 강하지는 않으므로 프로레슬링 기술 중에서는 그다지 위험한 기술은 아니고 실용성도 별로 없다. 당장 위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손 하나를 상대 머리에다 갖다 대고 있어야 하는지라 반격당할 여지가 차고 넘친다. 진짜로 신체능력이 쩔어줘서 갖다대자마자 상대가 비명을 질러대며 공황상태에 빠져 자기 머리를 붙잡은 팔을 떼내려고 들 정도가 아닌 이상에는 위력을 발휘할 수 없는 기술이다. 물론 진짜로 쓸 수 있으면 무섭지만…[2]
당연히 현대 프로레슬링 경기에선 안전상의 이유로 진짜로 힘을 줘서 머리를 짓누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시전자와 피폭자가 적절하게 합을 맞춰서 시전한다.
[image]
강화판으로 양 손을 사용해 머리를 통째로 짓이기는 '바이스 그립'이 있다. 그레이트 칼리피니쉬 무브로 사용했다. 그냥 맨손으로 농구공과 수박을 순식간에 박살내는 힘자랑을 할 정도로 칼리의 악력과 완력이 강했었고 거대한 손바닥이 상대의 머리를 덮을 때의 포스가 굉장해 설득력이 좋았던 기술.
'브레인 클로'라고도 한다.

1.1. 가공 매체에서의 아이언 클로


[image]
시전자는 코우사카 타마키, 피폭자는 코우사카 유우지.
[image]
특유의 호쾌하고 역동적인 스타일 때문인지 샤이닝 위저드와 함께 일본만화, 게임 등 창작물의 개그 장면에서 자주 사용되는 프로레슬링 기술이며, 두 기술 다 왠지 모르게 사용자가 여자인 경우가 대다수이다.
창작물에서는 아이언 클로로 머리나 얼굴을 사람을 붙잡은 뒤 아예 들어 올리거나 그대로 바닥에 메다꽂아버리는 경우가 많다. 현실 프로레슬링에서도 아이언 클로 슬램, 아이언 클로로 상대를 들어올려 메치는 기술이 있기는 하지만 그건 상대가 접수를 해 줘야만 가능한 기술. 정말 사람을 순수한 악력만으로 들어 올리는 인간이 혹시 있다면 정말 무서운 괴력의 소유자일 것이다...
바리에이션(?)으로 양손으로 동시에 사용하는 캐릭터도 있다.

1.2. 아이언 클로와 관련된 인물



1.2.1. 실존 인물


  • 그레이트 칼리 - 이쪽은 한손으로 사용하는 것과 두손으로 사용하는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두손으로 사용했을 때 수박과 농구공을 깨고 터뜨렸다. 처음 이 기술을 들고 나왔을 때는 한손으로 사용하다 이후 두손으로 쓰는 형태를 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두손으로 쓰는 형태는 영 멋이 없기 때문에 인도식 두피 마사지, 인도 경락 마사지라며 까였다.
  • 케리 본 에릭 - 실제 프리츠 폰 에릭의 아들이다. 그의 형제들도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사용했다.
  • 프리츠 폰 에릭 - 아이언 클로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레슬러.
  • 에릭 로완 - 2019년부터 상술된 아이언 클로 슬램을 피니셔로 장착했다. 평가는 괜찮은 편.

1.2.2. 가상 인물


양손으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캐릭터는 (★)표 표시.

2. 여신전생 시리즈의 스킬


진 여신전생 3 녹턴》의 물리 스킬. 1의 아이언 클로와 다르게 손톱을 통해 공격한다. 메탈 크로우(Metal Claw)와 의미는 비슷하나 관계는 없다.

2.1. 아이언 클로


손톱을 가진 악마만이 배우거나 전승할 수 있으며 스킬의 공격력은 팔상발파를 능가하고도 남을 정도의 위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지고의 마탄을 제외하면 네 다섯 자리수의 대미지가 나올 수 있는 단 둘뿐인 기술이고, 일반 악마가 가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물리공격 스킬이다.
다만 팔상발파와는 다르게 1체에게 가하는 물리 스킬이며 명중률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스전 전용의 물리스킬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보통은 벨제부브(파리 형태)에게 달아서 써준다. 파리 형태 이전에 인간 형태에게 손톱이 없어서 아이언 클로를 달 수 없지만, 변이가 가능한 스킬을 넣어서 파리 형태가 되면 스킬을 변화시켜 넣어주는 편법이 존재한다.(예:디아라마)
하지만 아이언 클로로 잘 변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점.
여담으로 디지털 데빌 사가의 기요틴 클로랑 이펙트가 똑같다.

2.2. 헬 팡


이빨을 지닌 악마만이 배우거나 전승할 수 있다. 배우거나 전승 되는 악마만 다를 뿐이지 실상은 아이언 클로랑 거의 동일한 스킬 대미지로 계산법이나 명중률조차 동일하다.

3. 잭커 전격대의 등장 악역


해당 문서 참조.
[1] 악력 200kg의 진위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실제로 사과를 한 손으로 깨부술 수 있었으며, 이 기술로 인해 뇌 손상을 입은 선수가 2명이라고 한다. 프로레슬러나 격투가의 신체능력이 과장되어 전해져오는 것은 흔한 일이며, 특히 검증과 기록이 비교적 힘들었던 옛 세대 선수들이 그런 경향이 심했으니 적당히 필터링해서 받아들이자. 격투기는 현대에 체계화되어 그런 것이 줄어들었으나 근본적으로 엔터테인먼트인 프로레슬링은 아직도 그런 경향이 존재한다.[2] 다만 관자놀이를 정통으로 누른다면 얘기가 달라질 것이다.[3] 플레이어가 다크 핸드를 착용하고 흡정을 시도하면 왠지 다크레이스와는 다르게 상대를 덮쳐서 목덜미를 무는 듯한 모션이 나온다.[4] 2권에서 작가의 고향인 홋카이도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었을 때를 가정한 에피소드에서 나온다. 푸틴 정권 이후 러시아가 석유외교로 경제가 활성화되었지만 홋카이도에서는 석유 안난다고 농사나 지으라고 하고, 작가가 화나서 독립하려고 하자 작가오너캐에게 직접 시전.[5] 잡기 스킬이 아이언 클로로 적을 잡은 후, 머리에 직접 전기 고문을 가하는 스킬이다.[6] 츠미키:이오를-내 남자친구로.. 그사이에 마요이:내 손아귀에-![7] 롤로노아 조로도 위스키 피크에서 사용한 적이 있다. 물론 용의 발톱이 아닌 일반적인 아이언 크로.[8] 이쪽 계열에서 가장 유명한 시전자. 심지어 대전액션게임인 AQUAPAZZA에 참가해 필살기로 사용한다.[9] 후에 타마키에게 전수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