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공주
1. 개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대표작 중 하나. 1835년에 발표된 안데르센의 동화집 2집에 수록. 미운 오리 새끼와 마찬가지로 안데르센의 고향인 덴마크 오덴세의 전원풍경을 배경으로 쓰여졌다고 한다.
"엄지공주"보다는 "엄지소녀"가 더 번역에 맞는데 엄지공주가 된 까닭은 역시 일본어 중역 때문.
각종 아동용 동화로 만들어져 큰 인기를 얻었다.
2. 줄거리
옛날 어느 마을에 홀로 살던 여인이 있었다. 여인은 엄지손가락만한 아이라도 좋으니까 달라고 했다. 여인은 마법사[1] 를 찾아가서 씨앗 하나를 얻어 집으로 돌아와 화분에 심었더니 튤립 꽃봉오리 속에서 키가 엄지손가락 정도로 작고 예쁜 소녀가 태어났다. 소녀는 키가 엄지손가락만큼 작고 예쁘기 때문에 엄지공주라고 불렸고 딸처럼 길러젔다.
어느 날 밤, 엄지공주는 아버지 두꺼비[2] 에게 납치를 당해 두꺼비 아들의 청혼을 받지만 물고기와 나비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빠져나올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풍뎅이가 엄지공주를 낚아채서 친구들에게 보여주었는데 풍뎅이의 친구들은 엄지공주가 다리가 두 개 뿐이고 못생겼다는 이유로 엄지공주를 놀리자 친구들에게 실망한 풍뎅이는 숲 속 어딘가에 놓고 가 버렸다.
추운 겨울날, 홀로 남겨진 엄지공주는 길을 헤메다가 들쥐 할머니[3] 의 집에서 같이 살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엄지공주는 쓰러진 제비를 발견한 다음 돌보아 준 덕분에 건강해진 제비는 함께 남쪽 나라로 가자고 했다. 하지만 엄지공주는 자신을 따뜻하게 보살펴 준 들쥐 할머니를 두고 갈 수가 없어서 거절했다.
그러다가 얼마 후, 들쥐 할머니의 이웃인 부자 두더지가 찾아와서 엄지공주에게 청혼을 했다. 그녀는 결혼하게 되면 밖으로 한 번도 나가지 않고 캄캄한 지하에서만 살아야 해서 거절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터라[4] 슬퍼하면서 결혼식을 위해 드레스를 만들고 있었다. 그 때, 엄지공주가 구해 줬던 제비가 나타나서 엄지공주를 등에 태우고는 꽃의 나라로 데리고 갔다.
그 뒤 꽃의 나라에 도착한 엄지공주는 자신과 똑같은 키의 왕자를 만나 결혼하게 되었으며, 날개와 '마이아'라는 새 이름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사실 제비도 엄지공주에게 마음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눈물을 흘리면서 날아가버린다. 실연한 제비는 어느 작가에게 엄지 공주의 이야기를 전달해준다.[5]
3. 기타
엄지공주를 길러준 인간 양어머니가 어찌 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마지막까지 없다. 양어머니 입장에서 보면 금지옥엽 기른 딸이 유괴당해서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모르게 된, 대단히 비극적인 이야기인데 그 때문인지, 현대에 나오는 유아 대상 각색 버전들은 대부분 엄지공주가 제비에게 자신의 근황을 양어머니에게 전해달라고 하거나 직접 찾아오는 결말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어느 일본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꽃의 나라 왕자와 결혼한 뒤에 왕자와 함께 제비를 타고 자신의 양부모를 찾아서 재회하는 장면도 있었다.
1976년부터 시작한 애니메이션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의 한 꼭지로 제작되었다. MBC에서 더빙 방영한 바 있고 비디오로도 더빙 발매된 바 있다.
1978년 동영망가마쯔리에서 세계명작동화 엄지공주로 제작했으며 64분짜리라고 한다.
1990년에 발매한 타임리스 테일즈에서도 이 동화를 다루었다.
1992년 에노키 필름에서 엄지공주 이야기로 만들어진 바 있고 안데르센의 엄지공주라는 이름으로 비디오 출시가 되었으며, 투니버스에서 97년에 엄지공주의 모험이라는 제목으로 자사 성우 위주로 더빙 방영한 바 있다.
[image]
1994년에 워너브라더스에서 극장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바 있다. 이후 20세기 폭스에서 《아나스타샤》를 만든 돈 블루스와 게리 골드먼이 여기서도 공동으로 감독을 맡았으며 크게 유명한 작품은 아니지만 아는 사람들은 아는 애니메이션으로 《아나스타샤》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착각하고는 한다. 그런데 감독인 돈 블루스나 게리 골드먼이 디즈니 출신이긴 하다. 이따금 원작파괴란 말을 들을 정도로 원작을 많이 각색하는 편인 디즈니와는 달리 이 애니메이션은 대체적으로 원작을 충실히 따라가는 편이다. 작중 제비인 자퀴모가 화자로 등장하며, 원작을 따라 주인공인 썸벨리나[6] (더빙판에서도 '엄지공주'라고 번역하지 않고, 이 이름을 쓴다) 에게도 인간 뿐만이 아니라 풍뎅이, 두꺼비, 두더지 등 다양한 동물과 곤충이 꼬인다. 원작과 다른 점은 애니메이션엔 지속적인 악역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작에서는 엄지공주가 떠나면 동물들이 다신 안 나오지만 주인공인 썸벨리나에게 미련을 못 버린 두꺼비가 어떻게든 썸벨리나와 결혼하겠다고 계속해서 쫓아다닌다. 엄지공주를 제일 처음 납치한 두꺼비를 가족 극단으로 만들고, 풍뎅이 무도회장 등을 만드는 등 뮤지컬 적인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각색을 한 편이지만 그래도 원작의 한계는 벗어나지 못했다.
주인공인 썸벨리나는 집을 벗어난 뒤 주변 사람들에게 '집에 가서 엄마를 만나고 싶어. 하지만 그건 불가능해.'라고 징징거리기만 하는 민폐 캐릭터이다. 오로라 공주와 달리 출연 분량은 많지만 납치당하고, 기절하고, 울기만 할 뿐 능동적인 모습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 주인공 보정으로 요정과 각종 동물과 곤충들을 가리지 않고 사방에서 도움을 받으며 구애를 받는다. 그야말로 작중에서는 종족을 초월하는 팜므파탈이지만 비슷한 시기에 나온 디즈니 공주들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해 능동적이며 자기 매력을 확실히 갖춘 반면 시종일관 의존적인 모습을 보인다. 썸벨리나의 상대역인 코넬리우스 왕자도 다소 뻔한 백마 탄 왕자 캐릭터이며 별로 비중이 없다. 썸벨리나를 우연히 만나 금세 사랑에 빠지고 썸벨리나가 없어진 뒤 열심히 찾아다니지만 어째 악역들보다도 소식통이 느리며 삽질만 계속한다. 또 명색이 왕자이긴 한데 작중 취급이 영 좋지 않다. 심지어 중간에 한 번 얼음 속에 갇혀 리타이어 되기까지 한다.
개봉당시 2800만 달러로 제작했지만 북미 흥행은 1130만 달러에 그치며 흥행에 실패했다. 하지만 노래만은 꽤 좋은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 한 번 쯤 감상할 만 하다.
끊임없이 여러 생물(엄지공주에게는 괴수?)들이 군침을 다시고 납치당하는 묘사 때문에 패러디물에서는 뭔가 이종족 관련으로 위험한 상황을 제시하기도 한다.
[1] 판본에 따라 요정이나 천사로 나온다.[2] 판본에 따라 어머니 두꺼비로 나온다.[3] 판본에 따라 들쥐 아주머니로 나온다.[4] 이유는 들쥐 할머니는 이 결혼을 좋게 생각했기 때문이었다.[5] 의외로 액자식 구성이다.[6] 성우는 인어공주 시리즈의 '''에리얼'''로 유명한 조디 벤슨이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