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문(만화가)
1. 소개
대한민국의 만화가.
1941년 8월 19일 일본 고베 출생. 경희대학교 상학과 졸업. 고우영과 같은 '심수회' 멤버이다. 고우영과 친하게 지냈고 2005년 고우영이 별세할때 월간 계간만화라는 곳에서 고우영을 추모하는 만화를 그렸는데, 고우영이 죽기 한 달전인 2005년 3월에 여러 만화가들과 같이 고우영도 이정문도 여행을 갈 때를 회고하기도 했다. 이 만화에서 고우영이 이제 머지않아 죽을 걸 아는지 이정문에게 사진찍어달라면서 "내 영정 사진이니까 잘 찍어줘."라는 말도 했기에 평생 잊을 수 없다고 회고했다....
주로 명랑만화/SF만화에서 활동했으며 대표작은 심술시리즈와 철인 캉타우가 있다.
1950년대 후반에 김종래 화실 문하생으로서 만화수업을 받았고 1959년 대중지 아리랑에 "심술첨지"라는 작품으로 응모, 데뷔했다. 참고로 심술천지에 나오는 캐릭터의 자식들이 심똘이와 심쑥이였고, 심술통은 심술첨지의 손자로 설정되어있다. 심술시리즈는 1959년에 심술첨지로 출발한 이래로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각종 잡지와 신문에 꾸준히 연재되면서 인기를 모아왔고 학습만화로도 출판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만화영화로 나오지는 못했다. 물론 심술시리즈가 유명하지만 심술시리즈만 꾸준히 그리지는 않았고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SF만화도 그렸다. 철인 캉타우가 이 시절에 그린 대표적인 작품.
참고로 심술통 캐릭터를 만들려고 했을때 심술턱이라고 할려고 했었다. 하지만 처음 연재시기 당시가 전두환 정권 시기이다보니[1] 여러모로 위험부담이 있었고[2][3] 마침 연재하려고 했던곳도 스포츠서울이었기에[4] 편집자가 심술턱은 너무 위험하다며 심술통으로 변경할것을 요청, 그대로 심술통이 되었다고 한다.[5]
이외에도 교과서 삽화를 그린 적이 있다.
독실한 불교 신자로 여러 차례 불교 관련 만화를 그린 적이 있다.[6] 원래 이정문 화백은 낚시를 매우 좋아해서 심수회에 소속되어 전국 곳곳으로 자주 낚시를 다녔는데, 어느 날 파로호에서 잡은 대어가 한밤중에 한이 서린 형형한 눈빛으로 퍼덕거리면서 이 화백을 노려보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한다. 편치 않은 마음에 동료 만화가들에게 양해를 구하고서 그 물고기의 혼을 달래기 위해 어탁을 태웠더니, 그 어탁이 갑자기 불어온 바람에 날려서 하늘 높이 승천했다고 한다. 이 경험을 한 이후로 살생의 업을 짓는 낚시를 줄이고[7] 불심이 깊어지게 되었다고.
2. 뜻밖의 예언?
[image]
과학에 관심이 많아 1965년 학생 과학잡지의 의뢰를 받아 '35년 뒤의 미래 상상도'를 그렸는데, 2020년대 기준으로 그림에 등장한 대부분의 산물이 전부 실현되어 독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저 중에서 현재 실현이 안된 것은 우주로 수학여행 가는 것이지만, 이마저도 미국에서 상용화 단계에 거의 다다른 것을 보면 의미심장하다.[8] 자세한 사항은 서기 2000년대의 생활의 이모저모 항목 참조.
이 작품은 2015년 한국공학한림의 창립 20주년 행사 초청장의 표지로 선택되며 다시 한 번 화제가 되기도 했다. "미래 내다본 상상력 어디서 왔냐고요? 50년 신문스크랩이죠" 이 덕에 2017년 9월 SK텔레콤 5G '어느 화백의 꿈' 광고 모델로 출연했다. 광고 보기인터뷰
3. 주요작품
- 그림자
- 맹돌이 그림자 - 아동잡지 소년생활 창간호 (1975.12)~소년생활 1976년 4월호 부록만화 연재. 자신의 그림자와 동료가 되기도 하고, 티격태격거리도 하는 맹돌이 (4학년 국민학생)의 평범하지 않은(!) 일상...
- 새순이 탐험대 - 아동잡지 새소년에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부정기적으로 연재. 주인공 새순이, 잘알아 로보트, 쥐 찍돌이가 등장하는 만화로 자연과학 만화.
- 심술시리즈[9]
- 심술첨지 : 상기했듯 작가의 데뷔작. 심술시리즈 세계관에서는 존경받는 위인인듯. 심술통이 자신의 선조라고 심술첨지의 영정사진을 보였는데 그게 누군지 알아본 심똘이는 영광스럽다는 듯 몸을 부들부들 떤다.
- 심술통 - 스포츠서울에서 연재되었을 때는 대사가 없지만 다른 만화에 등장할 때는 대사가 있다. 심술첨지의 후손이면서 대대로 심술을 부려온 가문의 후계자답게 한 심술하지만 민폐를 끼치는 불한당 무리를 상대로 심술을 부리는 Badass이자 다크 히어로.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어른들, 특히 범법자들 상대로 정의의 심술을 부린다.
- 심술가족
- 심술 999단 심쑥이
- 심술 1000단 심똘이
- 심똘이와 심쑥이 - 제목 그대로 둘의 심술 대결 드림매치 격 작품이다. 심술 수치상으로는 심똘이가 더 높지만 만화 내용에서는 심쑥이가 좀 더 자주 이기는 편. 교과서 만화와 같은 학습 만화에서는 남매로 등장한다.
- 심똘이 외계도전
- 심술북 - 심통이, 심뽀 남매가 펼치는 심술 일상 만화. 이 중에서 심뽀는 심술통 손자병법에서 심술통의 여동생으로 출연한다.
- 철인 캉타우
- 녹색별을 찾아라
- 파이팅 손오공
[1] 당시 영부인 이순자는 주걱턱으로 유명했다. 이 때문에 턱과 관련된 모든 소재는 방송이나 연재가 어려웠고, 코미디언 김명덕은 주걱턱이라는 이유로 한동안 방송에 출연할 수 없었다.[2] 당시 양대방송사에서 순자라는 이름의 배역이 비천하거나 웃기는 역을 맡는걸 금지했고, 주걱턱과 대머리를 개그소재로 사용하지 못하게 햇을정도였다.[3] 하지만 외모가 웃기게 생겨서 그렇지 심술통은 지금으로 따지자면 배드애스나 다크 히어로적 요소를 갖춘 캐릭터다.[4] 스포츠 서울의 모회사가 서울신문이었는데 1990년대까지도 서울신문은 친정부신문으로 명성(?)을 날리던 곳이었다.[5] '''심술통아 라이트 형제를 잡아라'''에서는 작명을 두고 이정문 화백과 심술통이 으르렁거리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심술통이 자신의 이름을 심술턱으로 지으라고 윽박지르자 이정문 화백은 망설인다.심술통이를 거쳐서 심술통이된다.[6] 시대가 시대다보니 현재는 위경으로 밝혀진 부모은중경을 자주 인용하기도 했다.[7] 낚시는 하지만 자신이 낚은 고기는 대부분 방생해준다고 했다.[8] 물론 본격적 상용화를 시작한다고 해도 개인이든 단체로 가는 것이든 쉽지는 않다. 무엇보다 '''돈이 엄청 든다.'''[9] 대부분이 같은 세계관이다. 심똘이가 심술통을 찾아가 제자로 받아들여달라고 하는 만화가 있었는데 이때 심술통의 선조라고 소개된 인물이 심술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