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도빌 전투

 

{{{+2 '''자도빌 공방전'''
Siege of Jodotville
Léigear Jadotville
Le siège de Jadotville}}}
콩고 내전냉전의 일부
'''날짜'''
1961년 9월 13일 ~ 1961년 9월 17일
'''장소'''
콩고 카탕가 주 자도빌[1]
'''이유'''
콩고 정부에 반하여 독립을 선언한 카탕카국이 콩고 정부에 대한 봉기 목적과 모토르 작전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군대를 이끌고 유엔 평화유지군의 전진기지를 공격

'''교전국'''
[image] 유엔 평화유지군 소속 아일랜드군

[image] '''카탕가국 반란군'''

'''지휘관'''
[image] 팻 퀸란 소령
[image] 노엘 캐리 중위
[image] 로제 풀크[2]
[image] 앙리 라지모네 용병 사령관
미셸 드 클라이 용병 사령관
'''결과'''
'''카탕가국 반란세력의 승리'''
'''영향'''
'''유엔 평화유지군의 활동 위축'''
그러나 이후 콩고 정부군과 유엔 평화유지군의 합동 공격으로 인해 카탕가국과 반란세력 멸망
'''병력'''
유엔 평화유지군 소속
아일랜드 평화유지군 150명
500명의 아일랜드군, 인도군, 스웨덴군으로 구성된 평화유지군 지원 시도
카탕가 반군 및 촘베가 고용한 다국적 용병부대, '''총 3000명'''
(프랑스, 벨기에, 로디지아 용병)
푸가 마지스테르 훈련기[3]
'''피해규모'''
[image] 유엔 평화유지군
- 인도군 3명 사망,
13명 부상,
158명 포로
[image] '''카탕가 반군 및 용병부대'''
- 300명 사망,
1,000명 부상

유튜버 심플 히스토리의 관련 동영상
1. 개요
2. 전개
3. 전투
4. 그 후

[clearfix]

1. 개요


1960년대 콩고 내전이 발발하자 유엔 평화유지군 소속으로 처음 파병된 아일랜드군 150명이 카탕가 반군과 프랑스,벨기에,로디지아측 백인 용병단 3000명과 맞서 싸운 전투이다.

2. 전개


자도빌에 있던 신콜로베 우라늄 광산은 맨해튼 프로젝트 보고서에도 나오는 세계 유수의 우라늄 광산으로 여기서 나온 우라늄을 가지고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에 쓰인 폭탄을 만들 정도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러한 콩고의 풍요로운 자원은 열강들의 군침거리였다.
이후 콩고 내전이 발발하여 소련 등의 지원을 받던 루뭄바 총리와 벨기에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권의 지원을 받던 촘베, 그리고 미국의 지원을 받던 카사부부 대통령간의 삼파전으로 번졌다
특히 카탕가 주 주지사였던 촘베는 1960년 독립을 선포하고 콩고 정부와 전쟁을 결의 했다. 그는 프랑스, 벨기에, 로디지아 백인 용병단을 대거 고용하고 주 병사들을 동원하여 콩고 정부와 싸웠다. 한편 카사부부와 루뭄바의 갈등은 심해젔고 카사부부와 촘베는 모부투 세세 세코를 사주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루뭄바를 체포했다. 이후 루뭄바는 촘베에게 보내저 휘하의 벨기에 용병에 처형된다.
한편 유엔 평화유지군은 주력이었던 인도군의 계획에 따라 모토르 작전[4]이란 공세 작전을 입안하여 카탕가 주의 백인 용병단과 카탕가 반군을 제압하려 했다. 작전 자체는 성공적이었으나 카탕가의 수도였던 엘리자베스빌을 공략하는 도중에 저항하는 민간인을 학살하는 사건이 터저 유엔은 난처한 입장에 처하고 촘베는 보복을 엄명했다.[5]
한편 카탕가 원주민들은 유엔군에 대한 적개심이 높았는데 자도빌에 도착한 유엔 평화유지군은 원주민들의 박대를 받았다. 그들이 말이 평화유지군이지 실상 콩고 정부군의 대리인이라는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산 마을을 보호하고자 했지만 카탕가 원주민들에겐 사실상 열강이 병력을 보내 광산 자원을 뺏아간다고 생각 되었다.
35대대 A중대의 아일랜드군은 대민지원을 예상하고 파병되었기 때문에 무장이나 방어장비가 매우 빈약했다. 게다가 보급도 형편 없었는데 식수를 석유용 드럼통에 담아 보급해줘 거의 마실 수 없었고 탄약도 부족했다.[6]
아일랜드군 파병 1년전에 파병된 아일랜드, 스웨덴, 인도 구르카 병력들이 인근의 카미나에 주둔하고 있었지만 자도빌의 아일랜드군에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유엔군 본부가 있던 엘리자베스빌은 너무 멀었고 유엔군 주력은 모토르 작전에 정신이 없었다. 자도빌의 아일랜드군은 고립되어 사실상 좋은 표적이 되있었다.

3. 전투


1961년 9월 13일 수요일 아침 7시 14분 경에 아침 미사가 한창일 때 카탕가 반군이 공세를 시작했다. 미리 파두어 놓은 참호와 방어 시설에서 격렬한 총격전 끝에 1파를 격퇴했지만 이후 600명 규모의 2파 3파가 계속 들이 닥쳤다.
반군은 말이 반군이지 사실상 정규군이나 다름 없었는데 무장수준이 아일랜드군보다 훨씬 좋았고 81mm 박격포와 프랑스제 75mm 야포, 다수의 중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거기다 지휘 수준도 좋았는데 반군의 사령관 로제 풀크는 2차 대전 참전 용사이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에 참전하여 놀라운 활약을 펼친 베테랑 군인이었다.
그는 생시르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군 대령으로 있으면서 외인부대 사령관으로도 활약했다. 1000여명의 백인 용병단은 카탕가 반군의 주력으로 사실상 프랑스-벨기에 정규군의 훈련도를 가지고 있었다.
콩고 내전은 용병의 활약으로 유명한 로디지아 백인 용병단들도 대거 참가했는데 자도빌 전투에도 그들 상당수가 참전했다. 이들의 지휘아래 카탕가 군은 격렬한 포격과 중기관총을 쏟아내며 아일랜드군을 압박했다.
한편 퀸란 소령의 아일랜드군은 전투 경험은 전혀없고 무장도 빅커스 기관총, 브렌 경기관총리-엔필드 소총 정도로 빈약했지만 그야말로 용전분투 했는데 적의 81mm 박격포와 야포 사격을 61mm 박격포로 대포병사격하여 분쇄했고 미리 치밀하게 짜둔 참호와 방어시설에서 격렬한 총격전을 퍼부어서 밀고 들어오는 카탕가군을 격파했다.
수일 후, 포위된 아일랜드군은 본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무전을 보냈다. "우리는 우리의 마지막 총알이 소모될 때까지 버틸 것이다. 위스키를 좀 마셔도 될 것 같은데."
아일랜드군의 사격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용병단 장교들이 패주하는 카탕가 반군을 막기 위해 헌병대에게 사격을 가하라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었다.
한편 지원 요청을 받은 카미나의 유엔군은 수차례 자도빌의 포위된 병력을 구원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으나 모두 백인 용병단에게 가로막혀 번번히 도움을 주지 못했다. 루피라 다리에서 벌어진 프랑스-벨기에 용병단의 거센 공격으로 인도군 구르카 병력들 3명이 전사하고 아일랜드 유엔군 여러명이 부상당했다. 그들은 허겁지겁 철수 했다.
자도빌의 아일랜드군은 이때까지 전사자는 한명도 없고 부상자만 5명 정도였다. 반면 카탕가군은 용병 30명을 포함해서 300명이 전사한 상태였다. 용병단 사령관 로제 풀크는 명예로운 항복을 권했으나 퀸란 소령은 거절했다. 그러나 아일랜드군을 괴롭힌 식수 문제와 보급 부족은 점점 아일랜드군의 형편을 어렵게 했다.
이때 반군은 아일랜드군이 상상하지 못한 신무기를 동원했는데 바로 푸가 마지스테르 제트 훈련기 였다. 1대 밖에 없었고 훈련기라서 무장도 빈약하고 성능도 엄청난건 아니었지만 대공화력이 전무한 자도빌의 아일랜드군에겐 치명타였다. 푸가기가 폭탄과 기총 사격을 퍼부어서 부상자들이 크게 나왔다. 그들을 실어나르려던 헬리콥터도 피탄되어 철수했고[7] 수송용 자동차도 파괴되었다.
전투기가 공중폭격을 퍼붓자 아일랜드군은 크게 당황하고 사기는 급전직하했다. 계속된 지원요청도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식수와 탄약마저 떨어지자 결국 퀸란 소령은 로제 풀크의 두번째 항복제의를 심사숙고 끝에 받아 들였다.
158명이 모두 포로로 잡혔고 이들은 일시 억류되었다가 촘베와 유엔의 협상으로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4. 그 후


자도빌 전투에 참가한 35대대 A중대 아일랜드군은 그야말로 용전분투하여 압도적인 전력의 다수의 적을 상대로 큰 전과를 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항복해서 패전하자 아일랜드군은 그들의 활약상을 은폐했다. 서방 열강들 역시 모토르 작전에서 자기들의 치부가 노출될까봐 자도빌의 아일랜드군에게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았다.
고국으로 돌아온 A 중대의 병력들은 자도빌의 바보들(Jadotville Jack)로 불리며 조롱의 대상이 되었고 퀸란 소령은 그들에게 훈장을 줄 것을 제안했으나 묵살 당했다.
이후 퀸란 소령은 아일랜드군에서 대령까지 승진했으나 자도빌의 오명은 그가 1997년 죽을때까지 계속 따라다녔다. 로제 풀크는 이후에도 계속된 각지의 분쟁과 내전에 참가하여 프랑스 외인부대의 전설적인 용병으로 불리며 2011년 자연사 했다.
촘베는 승전했으나 이후 유엔 평화유지군이 스웨덴 제트기 J 29를 대거 반입하여 푸가 마지스테르 훈련기를 격추시키고 콩고군과 합세하여 계속 공세를 하여 결국 항복하였다. 카탕가 주도 패망하여 콩고 정부에 다시 병합 되었다. 이후 그는 스페인으로 망명 갔으나 1964년 연합정부의 혼란이 극에 달하자 다시 콩고로 복귀하여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친외세적인 정책을 펼치고 부패하여 결국 카사부부 대통령에게 해임되었다.
1965년 서방의 지원을 받은 모부투 세세 세코가 쿠데타를 일으켜 카사부부를 축출하고 촘베는 다시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 1967년 프랑스 정보부 DGSE의 전신인 SDECE에게 납치되어 알제리로 끌려갔고[8] 감옥에 있다가 가택연금 상태에서 1969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한편 자도빌 전투 참전 용사인 아일랜드군은 그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계속된 투쟁을 벌였다. 결국 2005년 아일랜드 정부가 처음으로 자도빌 용사들을 인정했고 퀸란 소령의 명예도 회복되었다. 2006년 그들에게 모두 훈장이 수여되었다.
그들을 기리는 의미에서 영화 자도빌 포위작전이 개봉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1] 현재 리카시로 개명[2] 르네 풀크라고도 불린다.[3] 카탕가군 측 CAS(근접항공지원) 기체[4] 힌두어로 '때려 잡는다'라는 뜻이다.[5] 이후 콩고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촘베와 협상하려던 다그 함마르셸드 유엔 사무총장은 비행기를 타고 가다가 카탕가 주 백인용병이 모는 전투기에 격추되어 사망한다.[6] 유엔군의 첫 해외파병이다 보니 모든게 어설프고 제대로 된 준비가 되지 않았다. 단적인 예로 방탄헬멧도 플라스틱이라 제대로 된 방호를 할 수가 없어 자도빌 전투 당시 전투원들은 쓰지 않고 싸웠다. 설상가상으로 파란색이라 눈에 띄기 좋아 오히려 표적만 됐기 때문이다.[7] 영화에선 추락으로 나오지만 실제론 피탄되어 철수했다.[8] 왜 도와주던 프랑스가 뒷통수를 쳤나면 1967년에 카탕가주에서 또 반란이 일어났는데 서방은 미국을 중심으로 이미 모부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콩고의 분열을 바라지 않았던 서방 열강은 반란의 구심점이었던 촘베를 그냥 팽해버린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