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
- 다른 동음이의어: 성대(동음이의어)
- 성균관대학교의 줄임말: 성균관대학교
- 목청은 이 문서로 넘어옵니다. 벌꿀 용어: 목청(벌꿀)
- 울대는 이 문서로 넘어옵니다. 울산대학교의 줄임말은 울산대학교 문서로.
'''聲帶 / Vocal cord'''
1. 개요
인간의 목에 위치한 얇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관. 다만 보통 근육하면 떠올리는 골격근보다 미오신 함량이 적은 백근(횡격막 같은)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에 속하는 동물이 소리를 내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기관이다.[1]
흡연자들은 보통 폐암에 대해서만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담배는 성대에도 상당한 데미지를 준다. 성대는 마찰을 하면서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말할때 상당히 많은 마찰이 일어난다. 이러한 마찰에 의한 피해를 줄이려면 성대는 항상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야하는데 담배를 피게되면 건조한 연기에 각종 발암물질이 함께 들어와서 성대의 수분을 뺏어간다. 거기다 가래가 생기다보니 헛기침을 많이하게 되는데 이때 성대끼리 부딪히면서 많이 상한다. 목을 많이 쓰는 사람은 무조건 금연을 권장하는 편이고 담배를 몇십년 피운 흡연자의 경우 거의 예외없이 성대가 맛이 간 상태라서 허스키 비슷한 쇳소리의 목소리가 된다. 이는 촉촉한 성대에서는 나올 수 없는 음색으로 담배를 피지 않더라도 허스키하다는 목소리를 가진 사람은 대부분 목이 쉽게 피곤해지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또 암은 환경에 따라서 발병률이 다르지만 성대는 거의 100% 상하기 때문에 본인이 담배를 피우는데 예전과 목소리가 달라졌다면 하루빨리 금연하는게 좋다.[2]
말 그대로 '''근육'''인 만큼 목소리도 노력하면 어느정도 바뀌고, 단련도 가능하다. 발성법을 따로 배우고 훈련하는 것에는 원하는 톤의 목소리를 내는 법을 배우는 것과 함께, 성대의 근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을 하는 목적도 있다. 노래를 잘하는 사람일수록 이 성대의 기능이 무척 잘 발달해 있다. 어떠한 소리(말이나 노래)를 내면서 거북한 음이 없이 깨끗한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이 성대가 잘 기능한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근육인만큼 가수처럼 성대를 혹사시키는 게 일상인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월등히 오랜시간 노래를 해도 쉽사리 목이 쉬거나 하지 않는다.[3][4]
김건모처럼 막 자체를 계속 두꺼워지게 단련해서 오히려 쇳소리가 나게 되는 경우도 있고, 피오처럼 랩을 많이해서 목소리를 굵게 만들수도 있다.
몽골과 투바 공화국에서는 성대를 특수하게 움직여서 남성과 여성, 두 음역의 목소리를 동시에 내면서 한 사람이 화음을 내는 특수한 창법이 전승되고 있다. 국내에는 흐미(Хөөмий), 배음 창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 창법을 하림이 배워 왔는지 못친소에서 한번 보여준 적이 있다. 하림 외에 Pentatonix의 아비 캐플런이 배음 창법을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펜타토닉스의 곡 'Aha!'에서 확실하게 들을 수 있다.
관련 질병으로 성대결절이 있다. 목소리를 많이 쓰는 직업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수, 성우, 교사[5] 등에게 자주 발생하며, 후두염 등의 염증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성대가 상처를 입는 경우도 있다. 사실 목을 많이 쓰는 만큼이나 발성을 단련하는 가수, 성우들은 목의 사용량을 고려하면 성대결절에 잘 걸리지 않는 편이다. 콘서트에서 수십곡을 불러도 목이 쉬지 않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성법을 배워서 성대 근육을 효율적으로 잘 사용하는 법을 익혔기 때문이다.
발병하면 흔히 말하는 쉰 목소리가 나고 큰 소리를 내기 힘들어지며, 심하면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되어버린다. 이 때 가장 좋은 방법은 푹 쉬는 것. 성대가 저절로 나을 때까지 목을 혹사시키지 않는 것이다.
파열음이 많은 소리, 즉 탁성이나 허스키라고 불리는 소리들은 목에 피로감을 많이 느끼게 하고 성대가 붙은 소리보다 상대적으로 성대결절이나 폴립이 생기기 쉽다.
2. 매커니즘(원리)
사람의 성대는 평소에는 원형으로 열려있다. 그리고 사람이 말을 할 때마다 성대는 초당 여러번 열고 닫히기를 반복한다. 실제로 울리는 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흔히 이를 성대가 울리는 것이라 말한다.
음이 높아지면 성대가 세로로 가늘어지며 그만큼 성대는 얇게 개폐운동을 반복한다. 고음을 잘 내는 사람은 이 과정이 매우 부드럽게 잘 돌아간다고 한다. 여기서 더 음이 높아지면 성대는 반으로 닫히며, 이 상태에서 개폐운동을 반복한다. 여기서 음이 올라갈때마다 성대가 남은 절반씩 계속 닫혀나간다. 즉 등비수열. 길이가 절반이 되면 한 옥타브 올라간다.
3. 성대결절
4. 잘못된 상식
- 술을 마시면 노래가 더 잘 된다.
음주 상태에서 목을 쓰면 성대에 긴장과 출혈을 일으키므로 성대가 작살나는 지름길이다. 성대도 몸의 일부라 음주는 해롭다. 다만 술을 마시고 노래를 한다고 해서 바로 성대에 출혈이 생기는 건 아니다. 술을 마시면 성대가 붓고, 심하게 알코올량이 증가하면 출혈을 초래하게 되는 것. 이 상황에서 노래까지 하게 되면 성대의 상태는 그야말로 엉망이 되는 것이다. 물론 성대의 붓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성대가 더 잘 붙고 노래가 잘 될 수는 있다.[6] 하지만 성대가 상할 확률은 그 이상으로 엄청나게 높아진다.
- 시끄러운 곳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게 노래하면 고음이 되거나 더 노래를 잘하게 된다.
시끄러운 곳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게 노래하면 성대결절이 오게 된다. 성대는 아주 얇은 근육이다. 두꺼운 허벅지 근육도 아차 하는 사이에 찢어질 수 있는데, 그보다 훨씬 얇은 성대가 찢어지지 않겠는가? 시끄러운 곳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기에 더욱더 악을 써서 괴성을 질러야 목소리가 잘 들리게 되는데, 이걸 발성이 더 잘 됐다고 하는 것은 착각이다. 또한 귀속임 효과[7] 도 있다. 노래 연습할 거면 에코 약하게 들어간 노래방이나 화장실 같이 자신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곳에서 연습해야 한다.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노래를 잘부르려면 시끄러운 곳에서 들릴 정도는 아니어도 반주에 자기 목소리가 묻힐 정도로 작게 부르는 것보다는 발성을 연습해서 어느정도 볼륨을 키우고 불러야 하는 것이 맞긴 하다.
- 노래하다 피 토하면 득음한 거다.
판소리 수련을 하다가 쿨럭쿨럭하고 피를 막 토하는 장면을 떠올리기도 할 텐데, 판소리 수련하다 목에서 피가 난다는건 절대 피를 토하는 게 아니다! 판소리 연습을 하면서 소리를 많이 지르다 보면 성대에 무리가 가서 피가 나는데, 이건 토하는 게 아니라 양치하다 보면 치약 거품에 피가 조금씩 섞여 나오는 정도이다. 이렇게 자잘한 상처가 났다 아물었다 났다 아물었다 하면 성대가 비대칭으로 굳어져서 판소리 특유의 걸걸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9] 득음하려면 피를 한 말 흘려야 되네 마네 하는 소리는, 그 조금씩 섞여 나오는 피가 그 정도 나올 때까지 연습을 많이 하라는 뜻이지, 한꺼번에 피를 콸콸 토해내라는 말이 아니다. 게다가 판소리 특유의 저 걸걸한 목소리는 평상시에도 나온다. 즉, 목 상태가 그렇게 영구적으로 굳어진다. 즉, 저 득음이라는 건 성대를 상하게 했다가 낫는 걸 반복해서 후천적으로 성대 모양 자체를 바꾼 결과다. 이 정도로 진행이 되면 노래할 때는 물론이거니와 가지고 있는 '목소리' 자체가 바뀌어 버리고, 일단 이렇게 되면 결코 예전 목소리로는 돌아갈 수 없다.
한 마디로, 성대에 관련된 잘못된 상식들은 대부분 착각이다. 노래를 잘 부르고, 큰 소리나 고음을 쉽게 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창법을 배워야 한다.''' 그 뿐이다. 성대에 관해 몰라도 창법을 배우면 할 수 있다. 고음 내는 데 발성 원리에 관한 지식이 관련되긴 하지만 그나마도 알아봤자 실제로 내는 데 별 도움은 되지 않는다. 사실 고음을 내는 것은 훈련으로 어느정도 개선할 수는 있을지언정, 결국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목소리, 즉 성대의 형태 자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10] 또한, 고음에'''만''' 집착하는 것은 가창력 면에서도 결코 좋은 선택이 아니다. 물론 고음을 깨끗하게 낼 수 있고 음역대가 넓다면 좋은 것이지만, 노래를 잘 한다는 것은 고음을 무작정 높이 올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소리가 가진 고유의 느낌과 매력을 최대한 살려내서 감정을 전달할 줄 아는 것이다.5. 관리
- 무리하지 않는다.
성대에 계속 무리를 주면 앞서 말했듯이 손상된다. 성대에게 무리를 주는 고음으로 소리를 지르거나[11] 헛기침 등은 자제하자.
-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신다.
우리가 말할 때 성대가 진동하여 목소리가 나온다. 많이 말하다 보면 그만큼 성대가 진동을 많이 하므로 수분이 날아 가며 건조해진다. 따라서 물을 많이 마셔주는 게 좋다. 단,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물은 역효과를 부르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것이 가장 좋다.
- 자기 전 성대를 풀어 준다
입술을 다물고 약간의 높낮이를 주어 '부르르' 소리를 낸다.
- 성대를 마사지해 준다
목의 튀어나온 부분 약간 아래의 (뼈와 뼈사이의) 빈 공간이 바로 성대의 위치인데, 이 부분을 지그시 잡고 좌우, 위 아래로 마사지하자.
[1] 포유류와 일부 석형류(특히 새; K-Pg 멸종 이래 호흡기에 별도의 발성기관인 명관이 있다)를 제외한 동물은 호흡기에 성대가 없어서 날카로운 바람 소리밖에 못 낸다. 또한 성대수술을 한 개도 멍멍 소리가 아닌 날카로운 바람소리를 낸다.[2] 잦은 흡연으로 목소리가 바뀐 아주 좋은 예로는 윤종신이 있는데, 데뷔 당시에는 미성이었으나 잦은 흡연과 음주로 결국 목소리가 180도 달라져버렸다.[3] 하현우,윤도현,김범수가 강철성대로 유명하다.[4] 다만 일반인들은 성대를 혹사시키면 단련되기는 커녕 오히려 성대가 망가지는 경우가 월등히 많다. 이는 일반인들은 올바른 발성법을 익히지 않은 채로 자신이 낼 수 있는 음역대를 벗어나는 노래를 부르거나, 목을 억지로 쥐어짜내 생목으로 내지르는 경우가 많은 것이 한몫 한다.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하면 오히려 몸을 망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5] 학교에서 선생님이 수업을 위해 하루에 얼마나 말해야 할지 생각해 보면 된다. 더불어 교사는 본인이 사적으로 트레이닝을 받는게 아니고서는 가수나 성우와 달리 발성법을 따로 배우지 않기 때문에 성대결절이 일어나기 쉽다.[6] 취기로 인해 기분이 흥분되기 때문에 노래가 잘 된다고 착각하게 되는 것도 한몫 한다.[7] 다른 음성이나 소리가 섞여 자신의 목소리가 더 좋게 들리는 효과. 혼자 음악을 들으며 따라 부를 땐 괜찮은데, 노래방 같은데 가면 음치가 되는 이유가 바로 이거다.[8] 다만 원래부터 호흡기에 질환을 가지고 있던 것이 아닌 이상은 이런 경우는 드물다.[9] 대표적인 예로 바람꽃의 박민규[10] 예를 들자면, 타고난 목소리가 중저음의 묵직한 베이스 톤인 남성은 아무리 훈련을 하더라도 전성기 시절의 박완규나, 이혁처럼 전율이 돋을 정도의 고음을 내는 것은 불가능에 한없이 가깝다.[11] 음이 안 올라가면 무리하게 올리지 말고 정확한 창법 교육을 받아서 올리거나, 차라리 포기하도록 하자. 실제로 타고난 성대의 형태 자체가 고음을 낼 수 없는 구조라면 아무리 연습을 해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