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군

 



載寧郡 / Jaeryŏng County
재령군
載寧郡 / Jaeryŏng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739㎢
광역시도
황해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1읍 10면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3. 교통
4. 지리
5.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6. 기타


1. 개요


재령군(載寧郡)은 북한 황해남도 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황해북도 은파군, 봉산군, 사리원시, 서쪽으로 신천군, 남쪽으로 신원군, 북쪽으로 안악군과 접해 있는 군이다.

2. 역사


고구려의 삼경 중 하나인 '한성(漢城)'으로 유력한 곳이다. [1]이 때는 놀랍게도 '''평양''', 국내성과 견줄 만한 도시였던 것. 현재에 비유하자면 '''최소한 현재의 광역시급'''이었던 곳이다. 이 때문인지 과거 ‘한성(漢城)’ 또는 ‘한홀(漢忽)’로 불리던 기록이 있고, 고구려의 도시 유적지가 나온 바 있다.#
실제로 안승검모잠은 이 곳을 근거지로 삼아 고구려부흥운동을 펼친다.
재령(載寧)이라는 이름은 고려 시대인 1217년에 붙었는데 살기 좋은 고장이라는 뜻이다. 장수산성이 있다 하여 성(城)의 옛말인 재로부터 유래하여 재령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공양왕 2년부터 경기도에 속했지만 새 수도로부터 너무 멀단 이후로 태조 3년에 도로 서해도로 복귀했다고 한다.
광복 이후 국토가 분단되면서 북한 땅이 되었다. 1952년에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군의 남부 지역(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룡면 일부)을 분리하여 신원군을 신설하면서 면적이 축소되었다.

3. 교통


도로는 51번 국도54번 국도(대한민국 기준)가 지나간다.
철도는 은률선이 지나가며 금산역, 재령역이 있다.

4. 지리


동쪽으로 재령강이 흐르며 은파군, 봉산군, 사리원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군의 대부분은 재령평야 지대이다. 재령평야는 삼국시대에는 대부분이 (灣)이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재령만의 융기와 재령강, 서강, 은파천 등의 지속된 퇴적작용으로 인해 습지로 바뀌었다. 이를 조선 인조 대부터 개간하기 시작하면서 원래 만이었던 재령평야가 오늘날의 곡창지대로 탈바꿈하였다. 때문에 재령평야에서는 해발 20m 넘는 곳이 드물고 만조시에는 해발 -3m가 되는 곳도 있다.
지명 중 '김제원리'(金齊元里)라는 곳이 있는데 원래 '대홍리'였던 것을 1961년에 이름을 바꾼 것이다. 이 지역 출신인 '김제원'이라는 농민이 북한의 토지개혁을 통해 토지를 분배받게 되었다는 것에 감격하여 수확한 쌀 30가마니를 북한 공산주의 정권에 바쳤다는 이른바 애국미헌납운동을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김정숙군이나 김형직군, 김형권군급의 병맛은 아니지만 대한민국 주도의 남북통일이 되면 당연히 갈아치워야 할 명칭 되겠다.

5.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image]
[image]
광복 당시 1읍 10면
  • 재령읍(載寧邑)
    • 관할 리 : 일신(日新), 고산(孤山), 국화(菊花), 남정(楠亭), 내야(內野), 문창(文昌), 벽산(碧山), 봉천(蓬泉), 부성(富城), 석정(石井), 수창(壽昌), 신대(新垈), 신정(新井), 양산(陽山), 유화(柳花), 임천(林泉), 한천(漢川), 향교(鄕橋)
    • 일신리에 군청과 읍사무소가 있었다.
  • 남률면(南栗面)
    • 관할 리 : 해창(海昌), 강교(江橋), 고잔(古棧), 내림(來臨), 방성(方盛), 신연(新延), 야두(野頭), 좌곡(左曲), 진곡(津曲)
  • 북률면(北栗面)
    • 관할 리 : 장하(長河), 강서(江西), 굴해(屈海), 남지(南芝), 내종(內宗), 대홍(大洪), 동신흥(東新興), 무상(武尙), 북지(北芝), 서신흥(西新興), 석포(石浦), 석해(石海), 신지(新地), 쌍교(雙橋), 진초(進礎)
    • 전술된 '김제원리(옛 대홍리)'가 이곳에 있다.
  • 삼강면(三江面)
    • 관할 리 : 청룡(靑龍), 광탄(廣灘), 금산(金山), 당원(堂院), 상해(上海), 설산(雪山), 용소(龍沼), 은산(銀山), 은정(銀井), 학교(鶴橋)
  • 상성면(上聖面)
    • 관할 리 : 청석두(淸石頭), 관암(冠巖), 병암(屛巖), 상신(上新), 수원(水院), 신촌(新村), 월당(月堂), 율라(栗羅), 중곡(中曲), 천정(泉井)
  • 서호면(西湖面)
    • 관할 리 : 신환포(新換浦), 무덕(武德), 석산(石山), 신전(新田), 신탄(新灘), 신호(新湖), 왕현(旺峴), 작도(鵲島), 재천(財泉), 창석(昌石)
  • 신원면(新院面)
    • 관할 리 : 신원(新院), 가국(佳菊), 가려(佳麗), 계남(桂南), 기양(岐陽), 무학(舞鶴), 백우(白隅), 송림(松林), 송학(松鶴), 신대(新貸), 신정(新亭), 염탄(鹽灘), 원고(元古), 화석(花石)
    • 북한 행정구역상 신원군 옛 소재지.
  • 은룡면(銀龍面)
    • 관할 리 : 신창(新昌), 구련(龜蓮), 봉오(鳳梧), 서창(西倉), 석탄(石灘), 수남(壽南), 신덕(新德), 신유(新鍮) 옥현(玉峴), 용지(龍池), 운양(雲陽), 창전(蒼田)
  • 장수면(長壽面)
    • 관할 리 : 장국(墻菊), 동락(東洛), 동림(東林), 두목(杜木), 서림(西林), 서원(書院), 식성(食城), 양계(陽溪), 양현(凉峴), 용천(龍泉), 용평(龍坪), 재궁(齋宮), 천마(天麻), 청천(淸泉), 학현(鶴峴)
  • 청천면(淸川面)
    • 관할 리 : 부덕(富德), 곤산(崑山), 망월(望月), 부천(富泉), 송암(松巖), 신곶(新串), 양대(陽垈), 원내(垣內), 청천(淸川)
  • 하성면(下聖面)
    • 관할 리 : 아양(峨洋), 갈산(葛山), 검촌(儉村), 대청(大廳), 덕현(德峴), 벽화(碧花), 삼학(三鶴), 송향(松香), 신덕(新德), 영월(靈月), 용호(龍湖), 운대(雲垈), 입암(立巖), 장금(長錦)
    • 북한 행정구역상 신원군 현 소재지.

6. 기타


전국노래자랑송해 선생이 여기 출신이며 공부는 해주에서 했다.
재령군의 한자 표기 '載寧郡'에서 '寧'의 본음은 '녕'으로 원래대로라면 '재녕군'이라고 읽어야 하지만 활음조 현상에 따라 '재령군'이라고 읽는다. 비슷한 사례로 보령시, 의령군, 부령군, 회령군 같은 사례가 있다.

[1] 아닌게 아니라 두번째로 유력한 학설이 현재의 서울이라는 학설이다. 또 원래 서울이었다가 나제동맹에 밀려 서울 지역을 잃으면서 재령으로 한성이 옮겨졌다는 학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