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디 표기법

 

1. 개요
2. 표기법
2.1. 성모(聲母, initials)
2.2. 운모(韻母, finals)
3. 기타


1. 개요


표준중국어키릴 문자로 표기하기 위한 표기법. 19세기 중국에서 러시아 정교 선교사로 활동하면서 중국어-러시아어 사전 등을 펴낸 팔라디(Палладий)가 고안하였으며, 러시아에서는 중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할 때 사용되고 있다.

2. 표기법


아래 표에서 각 칸의 \[ \] 안에 적힌 기호는 국제음성기호(IPA)이고, 괄호 안에 적힌 기호는 주음부호한어병음이다.

2.1. 성모(聲母, initials)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무성음
비음

'''м''' \[m\]
(ㄇ m)


'''н''' \[n\]
(ㄋ n)




파열음
무기음
'''б''' \[p\]
(ㄅ b)


'''д''' \[t\]
(ㄉ d)




'''г''' \[k\]
(ㄍ g)
유기음
'''п''' \[pʰ\]
(ㄆ p)


'''т''' \[tʰ\]
(ㄊ t)




'''к''' \[kʰ\]
(ㄎ k)
파찰음
무기음



'''цз''' \[ts\]
(ㄗ z)

'''чж''' \[ʈʂ\]
(ㄓ zh)

'''цз''' \[tɕ\]
(ㄐ j)

유기음



'''ц''' \[tsʰ\]
(ㄘ c)

'''ч''' \[ʈʂʰ\]
(ㄔ ch)

'''ц''' \[tɕʰ\]
(ㄑ q)

마찰음


'''ф''' \[f\]
(ㄈ f)
'''с''' \[s\]
(ㄙ s)

'''ш''' \[ʂ\]
(ㄕ sh)
'''ж''' [\ʐ, ɻ\]
(ㄖ r)
'''с''' \[ɕ\]
(ㄒ x)
'''х''' /x/
(ㄏ h)
접근음








설측 접근음




'''л''' \[l\]
(ㄌ l)




  • 설치음 /ts/, /tsʰ/, /s/와 설면음 /tɕ/, /tɕʰ/, /ɕ/는 구분하지 않고 цз, ц, с로 적으며, 뒤에 오는 운모에 따라서 구별된다.
  • 러시아어의 경우 무성음이 대체로 무기음으로 나타나지만, 팔라디 표기법에서는 한어병음처럼 중국어의 유기음을 무성음에, 무기음을 유성음에 대응시켰다. 한편 러시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철자 조합인 цз, чж는 /ts~tɕ/, /ʈʂ/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2.2. 운모(韻母, finals)



운미
/∅/
/i/
/u/
/n/
/ŋ/
/ɻ/
운두
/∅/
'''и''' \[ɻ̩\]
(ㄭ[ㄭ] -i)
'''ы''' \[z̩\]
(ㄭ[ㄭ] -i)
'''а''' \[ɑ\]
(ㄚ a)
'''э''' \[ɯ̯ʌ, ə\]
(ㄜ e)
'''о''' \[u̯ɔ, o\]
(ㄛ o)
'''ай''' \[aɪ̯\]
(ㄞ ai)
'''эй''' \[eɪ̯\]
(ㄟ ei)
'''ао''' \[ɑʊ̯\]
(ㄠ ao)
'''оу''' \[oʊ̯\]
(ㄡ ou)
'''ань''' \[än\]
(ㄢ an)
'''энь''' \[ən\]
(ㄣ en)
'''ан''' \[ɑŋ\]
(ㄤ ang)
'''эн''' \[ɤŋ\]
(ㄥ eng)
'''-ун''' \[ʊŋ\]
(ㄨㄥ -ong)
'''эр''' \[ɑɻ\][1]
(ㄦ er)
/i/
'''и''' \[i\]
(ㄧ -i, yi)
'''я''' \[i̯ä\]
(ㄧㄚ -ia, ya)
'''е''' \[i̯ɛ\]
(ㄧㄝ -ie, ye)



'''яо''' \[i̯ɑʊ̯\]
(ㄧㄠ -iao, yao)
'''ю''' \[i̯oʊ̯~i̯u\]
(ㄧㄡ -iu, you)
'''янь''' \[i̯ɛn\]
(ㄧㄢ -ian, yan)
'''инь''' \[ɪn~i̯ən\]
(ㄧㄣ -in, yin)
'''ян''' \[i̯ɑŋ\]
(ㄧㄤ, -iang, yang)
'''ин''' \[ɪŋ~i̯əŋ\]
(ㄧㄥ -ing, ying)
'''юн''' \[i̯ʊŋ\]
(ㄩㄥ -iong, yong)

/u/
'''у''' \[u\]
(ㄨ -u, wu)
'''-уа, ва''' \[u̯ɑ\]
(ㄨㄚ -ua, wa)

'''-о, во''' \[u̯o\]
(ㄨㄛ -uo, wo)
'''-уай, вай''' [u̯aɪ̯\]
(ㄨㄞ -uai, wai)
'''-уй, вэй''' \[u̯i, u̯eɪ̯\]
(ㄨㄟ -ui, wei)


'''-уань, вань''' \[u̯än\]
(ㄨㄢ -uan, wan)
'''-унь, вэнь''' \[ʊn, u̯ən\]
(ㄨㄣ -un, wen)
'''-уан, ван''' \[u̯ɑŋ\]
(ㄨㄤ -uang, wang)
'''вэн''' \[u̯əŋ\]
(ㄨㄥ weng)


/y/
'''юй''' \[y\]
(ㄩ -ü,[ü] yu)


'''юэ''' \[y̯ɛ\]
(ㄩㄝ -üe,[ü] yue)





'''юань''' \[y̯ɛn\]
(ㄩㄢ -üan,[ü] yuan)
'''юнь''' \[ʏn~y̯ən\]
(ㄩㄣ -ün,[ü] yun)



[ㄭ] A B 일반적으로 쓰는 주음부호가 아니다.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에 해당하는 발음을 의미한다. 기기에 따라서는 이 문자가 안 보일 수도 있는데 한자 帀과 모양이 같은 문자이다.[1] 의외로 ㄦ의 실제 발음은 '얼'보다는 '알'에 가까운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다만 음운 체계상 '얼'이라고 보는 것.[ü] A B C D 한어병음에서는 성모가 j, q, x일 때 철자의 편의를 위해 ü를 u로 바꿔 적는다.
  • 설치음과 권설음 뒤 성모 ㄭ/ㄭ(-i)의 경우 설치음 뒤에서는 ы, 권설음 뒤에서는 и로 표기한다. 따라서 四川은 Сычуань, 石家庄은 Шицзячжуан와 같이 표기한다.
  • 운미에 오는 /n/, /ŋ/의 경우 /ŋ/은 그냥 -н으로 표기하고 /n/은 연음부호를 붙여 -нь로 표기한다. 단, 운미 /ŋ/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올 경우 구분을 위해 경음부호 ъ를 끼워넣는다. 따라서 安阳은 Аньян, 襄阳은 Сянъян과 같이 표기한다.
  • ㄨㄛ(uo)의 경우 자음 뒤에 올 경우에는 -о로 표기한다. 가령 朔州의 경우 Шуочжоу가 아닌 Шочжоу로 표기된다.
  • 얼화는 뒤에 -р를 덧붙인다.

3. 기타


  • 성조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는다.
  • 띄어쓰기는 음절이 아닌 단어 단위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는 생략되지만 음절 구분이 애매한 경우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国务院(Guowuyuan)을 팔라디식으로 표기하면 Гоуюань인데, 여기서 Гоу의 발음은 병음으로 표기하면 'guowu'이지만 'gou'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Го’уюань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실제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표기는 표기법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 이전부터 통용되던 관습적 표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표기가 쓰인다. 가령 베이징은 Бэйцзин이 아닌 Пекин이란 표기가 사용된다.
    • мэн, мэнь, фэн, фэнь의 경우 관습적으로 э가 아니라 ы로 표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령 마카오의 러시아어 표기 Аомынь(← 澳門 Àomén)이나 카이펑의 러시아어 표기 Кайфын가 그 예.
    • хуй가 러시아어에서 영 좋지 않은 뜻이기 때문에 hui의 표기는 хуэй가 사용되며(예: 李登輝 Ли Дэнхуэй), 드물게 хой로 표기하는 경우(예: 安徽 Аньхой)도 있다.
  • 우크라이나어불가리아어처럼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다른 국가들에서는 팔라디 표기법을 자국 정서법에 맞게 일부 수정해 쓰기도 한다.
  • 우즈베크어아제르바이잔어처럼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로 전환한 몇몇 국가들의 경우 팔라디 표기법을 자국식 로마자로 옮긴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贵州의 경우 현재 공식적으로 쓰이는 로마자 표기는 Guizhou이나, 아제르바이잔에서는 Гуйчжоу를 자국식 로마자로 옮긴 Quyçjou란 표기가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