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음
無氣音 / Tenuis consonant
[image]
그림에 나와 있는 것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스페인어와 영어의 한국어 무기음에 대한 인식 차이: (다만 스페인어[2] 화자는 한국어의 된소리 ㄲ, ㄸ, ㅃ 따위를 듣고 무성음 C, T, P를 떠올리고 영어 화자[3] 는 반대로 유성음 G, D, B을 떠올리는 등 타 언어 화자마다 한국어의 된소리를 듣고 추측할 때 어느 정도 차이가 생긴다.)
https://en.wikipedia.org/wiki/Voice-onset_time
외래어 표기 시 된소리를 되도록 쓰지 않는 까닭은 이 글에 잘 정리돼 있다. 요약하면 그리스어, 터키어, 네덜란드어, 아랍어, 타이어, 힌디어 등 모든 나라 말이 어떻게 발음나는지 조사하기 귀찮으니 그냥 다 거센소리로 적고, 남한에서는 기존 표기를 그렇게 해왔으니 그냥 계속 사용하자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ра́ктор[8] (영어로는 tractor)를 뜨락또르[9] 로 적는 등 외래어 표기에 된소리도 사용한다.
물론 한국어처럼 "무성유기음 + 무성무기음 + α[10] "의 세 가지 구별이 존재하는 언어들에는 된소리 표기를 인정하고 있다. 다만 이런 삼사중 구분이 있는 언어라도 공식 표기법이 마련되지 않은 언어들은 보통 된소리와 거센소리를 구별해서 적지 않는 편이다. 이런 언어들은 힌디어 등의 인도 언어들, 줄루어 등의 남아공 언어들, 그리고 아르메니아어 같은 캅카스 언어들이 대표적. 그런데 어째 일본어에서도 쓴다. つ를 츠가 아니라 쓰라고 표기하는 게 그것.
국립국어원의 일본어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어두에 한해 파열 및 파찰음의 청탁음 구분을 무시하고 모두 평음으로 적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일본어의 청음은 여타 유무성 2단 구분 언어들의 무성파열, 파찰음과 달리 긴장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어계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된소리를 사용한다(s - ㅆ, z - ㅉ).
이 때문에 외래어는 고유어나 한자어와 달리 표기와 실제 발음이 크게 다른 사례가 많다. 대표적인 예시로 버스[뻐스], 달러[딸러], 가스[까스], 사이버[싸이버]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 어문규정상 외래어 '표기법'은 있지만, 발음법에 대한 명시가 따로 없기 때문에 생긴 혼란이다. '자장면'이냐, '짜장면'이냐 하는 논쟁 역시 이런 현실에서 생긴 것이다. 다만 방송국 등에서는 가능한 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예시: MSG 문서에 보면 일제강점기 신문에 실린 아지노모토 광고 내용을 볼 수 있는데 그 중에 '맛이 딴판일세'를 '맛이 ᄯᅡᆫ판일세'로 적은 게 있다.
예컨대 구별을 위해 보통 예시로 t'al(달, moon), t˭al(딸, daughter), tʰal(탈, mask)을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설명해주면 똑같이 들린다면서 멘붕한다. 비정상회담 16화에서도 예사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의 구별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아무리 오래 살아도 제대로 발음,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이 예사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다. 중국인도 자국 언어 특성상 거센소리 - 된소리까지는 알아먹지만 '''어두''' 예사소리는 매우 어려워한다. 그래도 아예 무기음/유기음 변별을 접한 적이 없는 많은 서양인들과[16] 일본인보다는 중국인, 동남아인,[17] 인도인이 한국어 학습에 더 유리하게 들어간다.
불파음의 초성버전이 된소리라고 보는 것이 좀 더 이해하기 편할 수도 있다. 불파음의 특징이 파열음이나 마찰음에서 나는 기음을 내지 않고 억제하여 입술 모양만 유지하는 발음이라면 된소리(무기음)도 역시 입술모양을 유지하지만 기음을 내지 않고 바로 모음 ㅏ, ㅓ, 등으로 발음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영어: harp
하ㅍ~h~(기음이 계속 이어진다.)
herb
허ㅂ
한국어: 합
합.(기음이 뚝 끊기지만(무기음) ㅂ의 입술모양은 유지하고 있다)
(하ㅂ.)(불파음이라고 한다)
바(pa): ㅂ-(h)-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기음을 조금 짧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그 다음에 모음 '아'를 약하게 발음한다.)
파(ph[19] a): ㅂ~h~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하'를 강하게 발음한다.)
빠(p.a): ㅂ.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기음을 내지 않고(무기음) 바로 '바' 또는 모음 '아'를 강하게 발음한다. 즉 입술 모양을 유지한 채 벌리면서 바로 모음 '아'를 발음하려고 생각하고 발음하면 된다. )
유성음을 목젖 부분(성대 부분)에 손을 갖다대고 느낄 수 있다.
무성음은 본질이 속닥거리는 소리(귓속말)와 비슷한 소리[20] 라서 성대가 울리지 않는다.
한국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영단어의 경우 표기시는 아니더라도 발음할 때는 무기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24]
중국어, 태국어[25] , 힌디어 등이 한국어(한국어는 강기음, 약기음, 무기음)처럼 무기음과 유기음을 철저하게 구별한다. 그러나 중국어처럼 단순히 유기-무기로만 구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힌디어처럼 유, 무성과 유, 무기구별을 넷 다 하는[26] 경우까지 다양하다.(힌디어는 무성무기음, 무성유기음, 유성무기음, 유성유기음으로서 4중 구별을 한다.)
한자문화권에서는 무기음/유기음 대립이 흔히 나타나는데, 유독 일본어만 로마자 문화권과 발음 체계가 유사하다. 몽골어의 남부 방언에서도 무기음/유기음 대립이 무성음/유성음 대립 대신 나타나는 등 아시아권 언어에선 종종 볼 수 있다. 정 반대로 로마자 문화권에서는 유성음/무성음 대립이 일반적이라 덴마크어와 아이슬란드어가 특이 사례 취급 받는다.
즉, 일반적으로 p t c는 무성무기음, b d g는 유성음으로 보지만, 관점에 따라 p t c는 긴장음(tense consonant), b d g는 이완음(lax sound)는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긴장도(tenseness)와 강음(fortis), 약음(lenis): Fortis and lenis라는 음성학 용어가 따로 나와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무기음, 유기음, 유성음, 무성음' 등의 음성학 용어보다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다.
1. 설명
- 기호
- 정의
[image]
- 한국어의 음성학적 특성
그림에 나와 있는 것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한국어의 자음 비교
- 외국어의 자음 비교
- 강기음, 평기음, 약기음, 무기음, 약유성음, 강유성음 등
1.1. 한국어의 무기음(일명 된소리)
- 개요
- 대부분의 유럽 지역 언어에는 없는 변별적 자질
스페인어와 영어의 한국어 무기음에 대한 인식 차이: (다만 스페인어[2] 화자는 한국어의 된소리 ㄲ, ㄸ, ㅃ 따위를 듣고 무성음 C, T, P를 떠올리고 영어 화자[3] 는 반대로 유성음 G, D, B을 떠올리는 등 타 언어 화자마다 한국어의 된소리를 듣고 추측할 때 어느 정도 차이가 생긴다.)
- 악센트의 차이
- 도표
https://en.wikipedia.org/wiki/Voice-onset_time
-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 시 된소리를 되도록 쓰지 않는 까닭은 이 글에 잘 정리돼 있다. 요약하면 그리스어, 터키어, 네덜란드어, 아랍어, 타이어, 힌디어 등 모든 나라 말이 어떻게 발음나는지 조사하기 귀찮으니 그냥 다 거센소리로 적고, 남한에서는 기존 표기를 그렇게 해왔으니 그냥 계속 사용하자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ра́ктор[8] (영어로는 tractor)를 뜨락또르[9] 로 적는 등 외래어 표기에 된소리도 사용한다.
물론 한국어처럼 "무성유기음 + 무성무기음 + α[10] "의 세 가지 구별이 존재하는 언어들에는 된소리 표기를 인정하고 있다. 다만 이런 삼사중 구분이 있는 언어라도 공식 표기법이 마련되지 않은 언어들은 보통 된소리와 거센소리를 구별해서 적지 않는 편이다. 이런 언어들은 힌디어 등의 인도 언어들, 줄루어 등의 남아공 언어들, 그리고 아르메니아어 같은 캅카스 언어들이 대표적. 그런데 어째 일본어에서도 쓴다. つ를 츠가 아니라 쓰라고 표기하는 게 그것.
국립국어원의 일본어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어두에 한해 파열 및 파찰음의 청탁음 구분을 무시하고 모두 평음으로 적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일본어의 청음은 여타 유무성 2단 구분 언어들의 무성파열, 파찰음과 달리 긴장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어계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된소리를 사용한다(s - ㅆ, z - ㅉ).
이 때문에 외래어는 고유어나 한자어와 달리 표기와 실제 발음이 크게 다른 사례가 많다. 대표적인 예시로 버스[뻐스], 달러[딸러], 가스[까스], 사이버[싸이버]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 어문규정상 외래어 '표기법'은 있지만, 발음법에 대한 명시가 따로 없기 때문에 생긴 혼란이다. '자장면'이냐, '짜장면'이냐 하는 논쟁 역시 이런 현실에서 생긴 것이다. 다만 방송국 등에서는 가능한 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1.1.1. 역사?
- 고대 한국어
- 중세 한국어
- 된소리의 표기법 변천사
예시: MSG 문서에 보면 일제강점기 신문에 실린 아지노모토 광고 내용을 볼 수 있는데 그 중에 '맛이 딴판일세'를 '맛이 ᄯᅡᆫ판일세'로 적은 게 있다.
- 현대 한국어
1.1.2. 난이도
-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한국어 발음
예컨대 구별을 위해 보통 예시로 t'al(달, moon), t˭al(딸, daughter), tʰal(탈, mask)을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설명해주면 똑같이 들린다면서 멘붕한다. 비정상회담 16화에서도 예사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의 구별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아무리 오래 살아도 제대로 발음,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이 예사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다. 중국인도 자국 언어 특성상 거센소리 - 된소리까지는 알아먹지만 '''어두''' 예사소리는 매우 어려워한다. 그래도 아예 무기음/유기음 변별을 접한 적이 없는 많은 서양인들과[16] 일본인보다는 중국인, 동남아인,[17] 인도인이 한국어 학습에 더 유리하게 들어간다.
- 까닭
1.1.3. 기타
- 요약
불파음의 초성버전이 된소리라고 보는 것이 좀 더 이해하기 편할 수도 있다. 불파음의 특징이 파열음이나 마찰음에서 나는 기음을 내지 않고 억제하여 입술 모양만 유지하는 발음이라면 된소리(무기음)도 역시 입술모양을 유지하지만 기음을 내지 않고 바로 모음 ㅏ, ㅓ, 등으로 발음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 다른 언어와 비교
영어: harp
하ㅍ~h~(기음이 계속 이어진다.)
herb
허ㅂ
한국어: 합
합.(기음이 뚝 끊기지만(무기음) ㅂ의 입술모양은 유지하고 있다)
(하ㅂ.)(불파음이라고 한다)
- 약기음, 강기음, 무기음 비교
바(pa): ㅂ-(h)-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기음을 조금 짧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그 다음에 모음 '아'를 약하게 발음한다.)
파(ph[19] a): ㅂ~h~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하'를 강하게 발음한다.)
빠(p.a): ㅂ.아(ㅂ의 입술모양을 유지한 채 기음을 내지 않고(무기음) 바로 '바' 또는 모음 '아'를 강하게 발음한다. 즉 입술 모양을 유지한 채 벌리면서 바로 모음 '아'를 발음하려고 생각하고 발음하면 된다. )
- 발성 관찰
유성음을 목젖 부분(성대 부분)에 손을 갖다대고 느낄 수 있다.
무성음은 본질이 속닥거리는 소리(귓속말)와 비슷한 소리[20] 라서 성대가 울리지 않는다.
한국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영단어의 경우 표기시는 아니더라도 발음할 때는 무기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24]
1.2. 외국어의 무기음
중국어, 태국어[25] , 힌디어 등이 한국어(한국어는 강기음, 약기음, 무기음)처럼 무기음과 유기음을 철저하게 구별한다. 그러나 중국어처럼 단순히 유기-무기로만 구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힌디어처럼 유, 무성과 유, 무기구별을 넷 다 하는[26] 경우까지 다양하다.(힌디어는 무성무기음, 무성유기음, 유성무기음, 유성유기음으로서 4중 구별을 한다.)
한자문화권에서는 무기음/유기음 대립이 흔히 나타나는데, 유독 일본어만 로마자 문화권과 발음 체계가 유사하다. 몽골어의 남부 방언에서도 무기음/유기음 대립이 무성음/유성음 대립 대신 나타나는 등 아시아권 언어에선 종종 볼 수 있다. 정 반대로 로마자 문화권에서는 유성음/무성음 대립이 일반적이라 덴마크어와 아이슬란드어가 특이 사례 취급 받는다.
1.2.1. 유럽 언어들
Voice Onset Time contrasts in initial position and phonological categories in Spanish and English
(1) Voice lead
vvvvvvvvvv||vvvvvvvvvv
Spanish/English /b d g/ (한국어: 어중 ㅂ ㄷ ㄱ)
(2) Short voice lag(랙; 딜레이)
──────||─vvvvvvvv
Spanish /p t k/; English /b d g/ (한국어: ㅃ ㄸ ㄲ)
(3) Long voice lag(aspiration)
──────||────vvvvvvvvv (한국어: ㅍ ㅌ ㅋ)
English /p t k/
- 게르만어파
영어와 표준독일어, 스웨덴어 등 대부분의 게르만어파 언어들은 'sp, st, sk'꼴로 /s/가 선행하거나, 혹은 단어 중간에서 강세를 받지 못하는 무성파열음이 무기음으로 실현된다.(예: style - ㅅ따일, paper - 페이뻐ㄹ)[27] 한편 네덜란드어, 스위스식 독일어, 핀란드식 스웨덴어는 강세와 상관없이 모든 무성파열음을 무기음으로 발음한다.
영어의 음성체계에서는 종종 g, d, b 등을 완전한 유성음이 아니고 무기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28]구글북스 이외에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룩셈부르크어에서도 g, d, b를 무성무기음에 가깝게 발음한다. 그래서 일부 게르만어파 언어들의 파열음 대립을 무성음 대 유성음이 아닌 강음(fortis) 대 약음(lenis) 대립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영어의 음성체계에서는 종종 g, d, b 등을 완전한 유성음이 아니고 무기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28]구글북스 이외에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룩셈부르크어에서도 g, d, b를 무성무기음에 가깝게 발음한다. 그래서 일부 게르만어파 언어들의 파열음 대립을 무성음 대 유성음이 아닌 강음(fortis) 대 약음(lenis) 대립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과 슬라브어파
대다수의 언어들이 무성음을 무기음으로만 발음한다. 예외적으로 스페인어의 경우 파열음만 무기음으로 소리나고 마찰음, 파찰음은 유기음으로 소리난다. 그리고 영국령 지브롤터와 그 근처 동네인 말라가에서 쓰이는 스페인어와 채널 제도에서 쓰이는 프랑스어 방언, 그리고 독일에서 쓰이는 소수 슬라브어인 '소르브어'는 유기음으로 발음된다. 폴란드어의 경우, 서부 지방에서는 과거 독일 영토였던 영향이 있었는지 파열음을 완전한 무기음(ㅃㄸㄲ)이 아닌, 한국어의 초성 예삿소리(ㅂㄷㄱ)와 같은 느낌으로 발음하는 사람들도 좀 있다.
국경을 접한 동네들일 경우 똑같은 /k/음가를 갖고 한쪽은 ㅋ로, 한쪽은 ㄲ로 발음하는 한국인 기준에서 신기하게 느껴지는 경험을 해볼수도 있다. 또한 무기음이 기본 음가인 언어를 쓰는 사람이 영어로 말할 경우 한국인이 느끼기에는 상당히 웃기게 들릴 수 있다.(예: GTA 4의 니코와 로만 벨릭)2. 긴장음 vs 무기음
- 스페인어
번역: 스페인어에서의 무기음 /p t c/와 유성음 /b d g/의 대조는 보통 성대의 울림 여부로 판단한다. 하지만 Marinez celdran는 1991년에 스페인어의 음운 대조는 본질적으로 발음의 길이 차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긴장 현상의 여부(긴장음 vs 이완음)라는 설을 내놓기도 했다.'The contrast between the two phonological series /p t k/ and /b d g/ in Spanish is generally considered to depend on the feature 'voice' (voiceless vs voiced). Martinez celdran (1991b),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this is essentially a contrast of 'tension' (tense vs lax) primarily manifested in differeces in duration.'
from The Sounds of Spanish with Audio CD p.151
즉, 일반적으로 p t c는 무성무기음, b d g는 유성음으로 보지만, 관점에 따라 p t c는 긴장음(tense consonant), b d g는 이완음(lax sound)는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긴장도(tenseness)와 강음(fortis), 약음(lenis): Fortis and lenis라는 음성학 용어가 따로 나와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무기음, 유기음, 유성음, 무성음' 등의 음성학 용어보다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다.
- 스위스 독일어
- 한국어
3. 참고 문서
[1] 파열음, 파찰음의 예사소리와 다른 점은 어중에서도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그런데 가끔가다 유성음화 될 때도 있다. 아닌 것 같으면 영어의 z발음이 ㅅ처럼 들리는 경우를 생각해보자.[2]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도 무성음이 기식을 동반하지 않는다.[3] 영어, 독일어의 무성음은 유기음으로 발음하는 게 보통이다.[4] 긴장도 낮은 ㅆ의 거센소리가 ㅅ이라는 견해도 있다.[5] ㅅ의 예사소리가 과거에 있었던 자모인 ㅿ라는 견해도 있다. 근데 반치음이 예사소리라는 말에는 어폐가 있는게 애초에 순수 한국어에서의 반치음은 '''어두에서 나타나지도 않았고 울림소리 사이에서만 나타났다.''' 또 반치음은 훈민정음에서 불청불탁에 속했는데 이는 현대에 유성음이라 불린다. 불청불탁에 속하는 자음군은 ㄴ, ㄹ, ㅁ, ㅇ, 옛이응, 반치음으로 이것들은 각각 치경 비음, 유성 치경 탄음/설측 접근음, 양순 비음, 모음, 연구개 비음, 유성 치경 마찰음 즉, 모두 '''유성음'''에 속한다.[6] http://frdic.naver.com/fkEntry.nhn?entryNO=50133[7] http://spdic.naver.com/spEntry.nhn?entryNO=35888[8] http://rudic.naver.com/#/entry/276908[9] https://ko.wiktionary.org/wiki/%EB%9C%A8%EB%9D%BD%EB%98%90%EB%A5%B4[10] α는 보통은 유성음이지만 한국어에선 예사소리이며, 예사소리는 특정 조건에서만 유성음이 된다.[11] 처음 한자가 도입될 시기에는 거센소리마저 아직 한국어에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대 인명이나 지명에 사용된 한자 중 예사소리(전청全淸)와 거센소리(차청次淸)가 혼용된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마치 ㅐ와 ㅔ를 구별하지 못하는 요즘 사람들이 ㅐ와 ㅔ를 혼용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다.[12] 我國語音, 其淸濁之辨, 與中國無異, 而於字音獨無濁聲(한국 말소리에서 청탁의 구별은 중국과 다름이 없으나 유독 한자음에서만 탁성이 없다). 즉, 유성음을 된소리로 인식했다는 이야기다. #[13] 아예 훈민정음에선 쌍자음이 전탁음과 같다고 설명한다.[14] 예사소리 - 거센소리의 대립으로 이루어진 최소 대립쌍의 수보다 예사소리 - 된소리의 대립으로 이루어진 최소 대립쌍의 수가 더 적다.[15] 동국정운의 경우 유성음을 쌍자음으로 표기했다.[16] 북유럽인(특히 덴마크인)은 상대적으로 한국어의 거센소리 - 된소리 구별을 배우는 데 유리하다.[17] 예외적으로 마인어, 필리핀어가 모국어인 사람은 좀 불리하다.[18] 나이가 들수록 외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19] 영어의 f가 아니다.[20] ASMR에서 매우 많이 사용한다.[21] 여기에는 모음도 포함된다[22] 된소리보다는 성대가 덜 울리나 일본어의 무성음보다는 성대가 약간 더 울린다.[23] 성대가 거의 울리지 않는 완전한 무성음이다.[24] 까쓰(gas), 떠블(double), 땜(dam), 빠나나(banana), 빡스(box), 빽(back), 뽀나스(bonus), 뽁씽(boxing), 뽈(ball), 째즈(jazz) 등[25] 물론 태국어는 ㅂ과 ㄷ을 제외하면 예삿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은 없다.[26]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간디의 'dh'발음이다. 거의 간ㄷ히 비슷한 발음이 난다. 물론 'dh'같은 유성유기음은 앞의 d의 영향으로 h의 발음이 ɦ으로 약해져서 gandɦi, 심하면 gandi처럼 발음해 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왜냐하면 무성유기음은 (예, thi)뒤에 동반하는 모음(i)을 제외하고 둘 다 무성음(t, h)이므로 발음이 쉽지만 유성유기음은 앞에 동반하는 자음도 유성음(d)이고 뒤에 동반하는 모음도 유성음(i)이니 그 중간에 낀 무성음 h를 발음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러한 영향으로 h가 유성음인 ɦ으로 변이되는데, 그렇다 해도 발음은 한다 해도 듣는 청자는 그냥 di처럼 인식하는 경우가 생긴다. 표기는 그냥 dhi로 하고 발음은 di로 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할 것이고 말이다.[27] 미국식 영어의 경우 water - '워러ㄹ'처럼 비강세 음절의 /t/는 아예 유음화된다.(t-flapping)[28] 말모이 작전에서 부터 요즘까지도 유래하는 껌(gum), 까쓰(gas), 땐쓰(dance), 빽쓰텝(backstep), 뻐쓰(bus) 등의 단서이기도 하다.[29]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