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1. 개요
2. 종류
2.1. 미생물에 따른 폐렴 종류
2.2.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정형성(typical)
2.2.1. 치료
2.3.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비정형성(atypical)
2.3.1. 치료
2.4.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2.5. 소아기의 폐렴
3. 진단
4. 합병증
5. 동물의 폐렴


1. 개요


모든 급성 감염성 질환 중 가장 만연하고 치명적인 병인 폐렴은 이제 존 번연이 결핵을 비유했던 말을 빌려 표현하자면 “'''인류를 죽이는 질환의 대장'''”(Captain of the Men of Death)이다.[1]

윌리엄 오슬러 경(Sir William Osler)[2]

Pneumonia, 肺炎[3]
병원체 혹은 자가면역질환에 의해 에 생기는 염증. 증세는 감기와 비슷하지만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므로 폐에 이 차 구역질과 가래를 동반한다. 심해지면 패혈증까지 동반하여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병원체가 혈관을 타고 돌다가 뇌에 이르면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병과 같이 걸리면 더욱 위험하다.
심장, 와 더불어 인체에 필수 불가결한 장기인 를 직접적으로 침범하는 질병이기에 매우 위험하며 사망하는 경우도 많다. 해당 기사에 따르면 2017년 사망자가 약 28만 5천여 명인데, 이 중 2만여 명이 폐렴으로 사망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는 10여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의 경우 '''기준 4위에 이르는''' 맹위를 떨치고 있다. 특성상 노인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열이 없는데도 폐렴이 발병할 수 있다. 청진 시 폐 소리가 좋지 않거나, 타진 시 탁음이 들리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65세 이상 고령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호흡기 질환의 증세(기침, 발열, 가래, 불규칙한 호흡 소리 등)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4] 70~79세 사망원인 4위(6.2%), 80세 이상 사망원인 3위(10.3%)가 폐렴임을 생각하면[5] 가히 소리없는 암살자라 할 법할 수준이다.
평소 호흡기가 좋지 못하다면 정기검진은 필수. 폐기능이 저하돼서 일상생활만 가능할 정도밖에 안 되는데 폐렴에 걸리면 그대로 사망으로 이어진다.
에어컨 청소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진균성 폐렴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연세 세브란스 병원에 따르면 치료도 어렵다는 듯하다. 애당초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진균증 자체가 치료하기 곤란한 질병이다. 무좀 같은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정상적 면역을 가진 사람이 진균증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지만, 일단 진균증에 걸리면 어떤 이유로든[6] 면역력이 감소한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환자실에서 칸디다증이 맹위를 떨치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고시원에 사는 위키러들은 한번씩 점검할 필요가 있다.
예방접종으로는 13가 백신, 23가 백신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여기서 13, 23은 각 백신이 예방할 수 있는 폐렴구균의 숫자를 말한다. 이것만 보면 23가 백신이 훨씬 좋을 것 같지만, 면역기억반응을 유도해 평생 한 번만 맞으면 되는 단백결합백신인 13가 백신의 효과가 훨씬 좋다. 다만 13가 백신은 10만원 이상의 고가 백신이지만, 23가 백신은 65세 이상 노령인구에게는 보건소에서 무료접종을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다. '''해당 기사에 있듯, 둘 다 맞는 게 좋다.'''
현대에도 급성 폐렴은 위험한 질병으로,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산모의 경우 갑자기 폐렴이 발병하면 손쓸 새도 없이 빨리 사망하는 경우가 꽤 많다. 과거에는 폐렴에 걸리면 죽음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할 정도로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게다가 증세가 별로 심각하지 않은 초기 폐렴 같은 경우에는 증상이 감기와 거의 흡사해서 병원을 찾을 확률이 낮은 게 문제다. 감기에 걸렸다고 착각한 환자가 병원비 지출이나 귀차니즘 문제로 병원 방문을 꺼리다가 컨디션이 악화된 뒤에야 병원을 들리니 폐렴이었다는 사례가 많다. 드물게 처음에는 감기였다가 폐렴으로 발전하는 사례도 가능하다.
면역력이 저하되거나 각종 치료과정에서 면역력이 저하되는 경우, 노환이나 기타 여러 가지 사정으로 몸이 약해진 환자는 '''십중팔구''' 폐렴으로 사망한다. 폐렴 자체가 무서운 병이라기보다는 라는 기관이 호흡을 하는 이상 병원균이나 곰팡이 포자를 비롯한 각종 외부 물질을 받아들이는 관문이기 때문이라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 해야겠다. 면역기능이 멀쩡한 사람도 운이 없어서 특정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면 한참을 고생해야 한다.[7]
폐렴이라고 하나로 묶어서 말하지만, 실제로는 바이러스성 폐렴, 병원균성 폐렴, 곰팡이성 폐렴 등으로 나뉜다. 여기서 다시 어떤 바이러스, 병원균, 곰팡이인지에 따라서 치료제도 다 달라진다. 아픈 건 폐라는 게 그냥 보이는데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어서 쉽게 알기 힘든 의외로 진단과 치료가 힘든 병 중 하나. 이외에도 흡인성 폐렴[8]이 있는데, 폐라는 기관이 위세척 하듯 씻어내기도 힘든 관계로 재수없으면 치료방법도 없이 골로 가는 수가 있다.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 환자 또한 이 병이 합병증으로 와서 생을 마감할 수 있으니 주의.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선 정기적인 독감(flu) 백신이 필수적이다. 독감과 폐렴은 다른 질병이긴 하나, 독감 후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에 의한 이차성 폐렴이 합병증으로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 외 65세 이후나 심장병, 당뇨병, 간경변(cirrhosis)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겐 폐렴 백신 역시 필수로 처방받아 폐렴을 예방할 수 있다.
2015년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의 경우 폐렴으로 번지면 치료가 상당히 어려워진다고 한다.

2. 종류


기본적으로 의학에서는 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CAP)과 병원내폐렴(nosocomial pneumonia)으로 구분짓게 된다. 이 두종류에 따라 관련된 미생물의 종류가 다르며, 또한 처방해야 할 항생제가 다르기 때문이다. 종류에 따른 기본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은 병원 밖에서 폐렴이 발생할 경우, 혹은 입원 후 72시간 내에 폐렴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다시 정형성(typical)과 비정형성(atypical)으로 나뉘게 된다. 가장 자세한 건 아래 항목 참조. 지역사회 폐렴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박테리아는 폐렴구균(Strep. pneumoniae)이다.
  • 병원내폐렴(nosocomial)은 입원 72시간 후에 폐렴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경우를 의미한다. 주로 그람음성균혈(gram negative)인 대장균(E. coli) 및 녹농균(pseudomonas)이나 황색포도상구균(Staph aureus)에 의해 감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양로원(nursing home) 시설에 상주하는 환자에서 폐의 위엽(upper lobe)에 폐렴증상이 보여질 경우 녹농균(pseudomonas)에 의한 질병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2.1. 미생물에 따른 폐렴 종류


  • 대엽성 폐렴: 크루프성 폐렴이라고도 하며, 폐렴구균이 대부분의 원인.[9] 오한, 전율을 수반한 발열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그 외에도 기침, 흉통, 녹색 가래, 호흡곤란치 등이 있다. 호흡곤란이 심하면 산소흡입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 기관지 폐렴: 기관지의 염증이 내부까지 퍼져 폐조직에 이르러 일어나는 것으로, 원인균은 폐렴균이나 그 밖의 화농균이다. 증세는 기침, 발열, 발한, 호흡곤란 등이 있다. X선사진으로는 경계가 선명하지 못한 불규칙적인 작은 음영이 있다. 치료방법은 대엽성 폐렴과 같다.
  •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에 인하여 발생하는 폐렴. 원발성 이형폐렴(原發性異型肺炎), 인플루엔자폐렴, 앵무병바이러스폐렴, 아데노바이러스폐렴, 코로나바이러스폐렴 등이 있다.

  • 알레르기성 폐렴: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폐렴. 꽃가루, 기생충감염, 결핵 등의 알레르기 반응을 들 수 있다. 자각증세는 적고 X선 검사로 발견되는 일이 많다. 드물게 흡연자의 경우 혈중 호산구 농도가 증가하여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10]
  • 화학성 폐렴: 화학물질이 폐로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폐렴. 입욕제와 같은 물질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2.2.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정형성(typical)


가장 흔히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 60% 이상, 이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이 되며 그 외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 15%, 호기성 그람 음성균(aerobic gram-negatives)인 클렙시엘라(''Klebsiella pneumoniae'') 및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 - 6~10%, 그리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2~10% 등이 폐렴의 원인이 된다.
  • 클렙시엘라에 의한 폐렴의 경우 알코올 중독자(alcoholics)에게서 자주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폐렴은 대부분 인두(pharynx)내 정상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미생물이 입인두의 분비물(oropharyngeal seretion)과 함께 사레(aspiration)가 걸리면서 발생하게 된다.
증상은 급작스러운 발열과 오한전율(shaking chill)이 보여지며, 짙고 화농성(purulent)의 가래와 기침이 동반되고 흉수(pleural effusion)가 발병하면서 호흡곤란과 흉막염성 흉통(pleuritic chest pain)이 보이게 된다.
또한 빈맥(tachycardia), 빈호흡 등이 나타나고 청진시 호흡성 수포음(crackles)과 더불어 폐내 숨소리가 더욱 크게 들리고 촉각진탕음(tactile fremitus)이 더욱 커지며 타진(percussion)시 둔감한(dullness) 탁음이 들리게 된다.
흉부 X-ray에서 폐엽 경결(lobar consolidation)이 보여지며, 폐렴이 매우 심각할 경우 다발성 경결(multilobular)이 나타나게 된다.

2.2.1. 치료


지역사회 폐렴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환자가 입원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폐렴 심각성 지표(Pneumonia Severity Index)를 이용해 결정을 돕게 되나, 의사의 임상적인 판단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환자가 저산소증(hypoxia) 및 저혈압(hypotension)의 증상이 보일 경우 지체없이 입원시키게 되며 그 외 CURB-65라는 기본적인 기준을 이용해 환자 상태의 인상을 얻을 수 있다.
  • Confusion(착란상태)가 보여질 경우
  • BUN(혈액요소질소) 수치가 > 7 mmol/L
  • Respiratory Rate(호흡수치) > 30/min
  • Blood Pressure: 혈압이 90/60 mmHg 이하일 경우
  • 65 환자의 연령이 65세 이상일 경우
이 후 외래환자(outpatient)와 입원환자(inpatient)에 따라 처방하는 항생제가 다르다.
1. '''외래환자'''의 경우
  • 60세 이하의 젋은 환자의 경우, 대부분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 클라미디아(Chlamydia pneumoniae/psittaci) 및 레지오넬라(Legionella)로 인해 폐렴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항생제 중 마크로라이드(macrolide) 계열인 Azithromycin, Clarithromycin 혹은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계열인 Doxycycline을 이용하게 된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위에 서술된 항균들을 전부 커버한다. 마크로라이드 계열의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Fluoroquinolone을 사용하게 된다. 페니실린 및 Cephalosporin 계열의 항생제는 비정형성 폐렴을 일으키는 항균을 커버하지 못하지만, 정형 세균을 커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11]
  • 60세 이상의 환자나 동시이환(comorbidity)이 존재하는 환자군 혹은 다른 이유로 인해 최근 3개월 안에 항생제를 복용한 환자의 경우, Fluoroquinolone 계열인 Levofloxacin 혹은 Moxifloxacin 등을 이용해 폐렴을 치료하게 된다. 혹은 2세대-3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하기도 한다.
  • 대부분의 경우 5일간 항생제를 복용하게 되고, 이 기간 안에 환자의 열이 48시간 동안 떨어질 때까지 복용을 계속 해야한다.
2. '''입원환자'''의 경우엔 Fluoroquinolone 계열의 항생제 '''혹은''' 3세대 Cephalosporin 과 마크로라이드(macrolide) 계열의 항생제를 함께 투여하게 된다. 주로 쓰이는 항생제는 Ceftriaxone과 Azithromycin을 함께 처방한다.

2.3.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비정형성(atypical)


비정형성 폐렴은 그람 염색(gram stain)을 통해 보여지지 않고, 한천배지(blood agar)를 통해 배양할 수 없는 미생균에 의해 폐렴이 발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가장 흔히 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 클라미디아(''C. pneumoniae/psittaci''), 콕시엘라(''Coxiella''), 레지오넬라(''Legionella'') 및 바이러스성인 인플루엔자 A&B형,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및 RSV 바이러스로 인해 폐렴이 발병하게 된다.
증상은 우선적으로 두통과 인두염(sore throat), 피곤함 및 근육통(myalgias) 등이 나타나게 되며, 가래가 동반되지 않은 기침(dry cough)과 발열이 보이게 된다. 정형성과 달리 오한전율(shaking chill)은 잘 보여지지 않는다.
특이하게 발열이 있음에도 빈맥(tachycardia)이 보여지지 않은 온도-맥박 해리(temperature-pulse dissociation)라는 증상이 보여지며 이는 비정형성 폐렴을 의심할수 있는 중요한 임상적인 증상이기도 하다. 그 외 천명(wheezing), 나음(rhonchi) 및 수포음 등이 발견되게 된다.
흉부 X-ray에 광범위한 망상-미세결절(diffuse reticulonodular) 침윤이 보여지며, 정형성과 달리 경결(consolidation)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2.3.1. 치료


그람음성균혈(gram negative)에 알맞는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옵션은 다음과 같다.
  • Cephalosporin 계열 중 녹농균(pseudomonas)을 커버하는 종류인 Ceftazidime 혹은 Cefepime
  • Carbapenems 계열인 Imipenem
  • Piperacillin/Tazobactam

2.4.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기계 환기 등을 통해 호흡을 보조받는 환자군의 경우, 기침(cough)을 통해 기도에서 분비액을 배출하지 못하게 고, 기계환기에서 제공하는 양압(positive pressure)에 의해 미생물의 군체(colony)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폐렴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런 환자군에게서 흉부 X-ray에 새로운 침윤(infiltrates)의 발견이나, 기관내관(E-tube)에 회농성(purulent) 분비물이 발생할 경우, 혹은 발열 및 백혈구 증가증이 보일 경우 폐렴을 의심할 수 있다.
진단은 위에 서술된 증상 외 기관지폐포세척(BAL)을 이용해 미생물을 채취/배양 하여 내리게 된다.
치료는 아래 서술된 항생제 중 세 가지의 '''다른''' 종류를 조합하여 처방하게 된다.
  1. Cephalosporin 계열중 Ceftazidime 이나 Cefepine, 혹은 Piperacillin/Tazobactam 혹은 Carbapenem 계열중 Imipenem 중에 하나의 계열을 선택한다.
  2. Aminoglycoside 계열 혹은 Fluoroquinolone 계열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3. Vancomycin 혹은 Linezolid 중 하나를 선택한다.

2.5. 소아기의 폐렴


소아기 환자의 경우, 특히 만 5세 이하의 경우, 모세기관지염과 관련된 병균에 의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 바이러스 성 병균으로, 특히 가을-겨울에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특징적으로 클라미디아 트라코마(C. trachomatis) 관련 폐렴에도 쉽게 노출이 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만 5세 이후의 경우, 가장 흔히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pneumoniae'')와 클라미디아(''C. pneumoniae'') 등의 비정형성 폐렴에 자주 걸리게 된다. 증상은 다음과 같다.
'''클라미디아 트라코마(''C. trachomatis'') 폐렴'''
대부분 태어난지 1-3개월 안에 서서히 발생하게 되는 질병으로, 클라미디아 성 결막염(conjunctivitis)에 걸린 후 폐렴이 발생하게 되나,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징적으로 발열 및 천명(wheezing)이 보이지 않아, RSV 바이러스에 의한 모세기관지염과 구분이 가능하다. 그 외 특징적인 증상으로 스타카토 기침(staccato cough)이 보이게 되며, 혈액도말표본(blood smear) 검사 시 호산구 증가증(eosinophilia)이 보이게 된다.
치료는 Erythromycin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및 클라미디아(''C. pneumonia''e) 성 폐렴'''
둘을 임상적인 증상만으로 구분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위에 서술된것 처럼 비정형성(atypical) 폐렴 증상이 보이게 되는데, 호흡곤란 및 기침 등의 증상이 2주간 지속되다가 서서히 차도를 보이게 되며, 라음(Rale)이 들리게 된다. 역시 Erythromycin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3. 진단


폐렴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상기도 감염증(upper respiratory infection)과 구분하는 것이다. 만일 비루(콧물-rhinorrhea), 인두염(sore throat) 및 이통(ear pain) 등이 환자의 증상에 주를 이룰 경우엔 상기도 감염증에 의한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으며, 이 경우 흉부 X-ray 등을 통한 진단은 필요가 없다.
만일 하기도 감염(lower respiratory infection)이 의심될 경우 폐렴 및 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을 의심할 수 있는데, 임상적인 증상만으로 두 질병을 구분해낼 수는 없다. 이때 흉부 X-ray를 이용하여 증상의 원인을 찾을수 있다. 특히 폐렴(pneumonia)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X-ray 영상의 결과는 필수적이며, 만일 영상에 폐렴의 영상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는다. 흉부영상에 폐렴이 확인될 경우 치료를 시작하고, 그 후 다시 흉부영상을 시행하여 증상의 완화를 검사하게 된다. 드물게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 탈수증 및 폐포자충(pneumocystis) 감염으로 인해 위음성(false negative)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환자의 가래를 이용한 그람염색 및 배양은 폐렴의 민감도와 특이성이 낮긴 하나, 아직까지 꾸준히 이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 가래 그람염색은 폐렴이 의심될 경우 대부분 시행되는 검사 방법으로, 특히 폐렴구균(Strep. pneumoniae)에 의한 폐렴에 약 60%의 민감도와 85%의 특이성을 나타나게 된다.
  • 가래 배양(sputum culture)은 특히 입원이 필요한 환자에게 시행되는 검사법이다.
그 외 비정형성 폐렴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들은 특별한 염색술 및 검사법을 통해 밝혀낼 수 있다.
  • 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 및 결핵(TB)의 경우 항산성 염색(acid fast stain)을 이용하게 된다.
  • HIV 감염 및 면역손상 환자의 경우 은염색(silver stain)을 통해 곰팡이균(fungi) 및 폐포자충(pneumocystis)을 확인하게 된다.
  • 레지오넬라(Legionella)에 의한 폐렴이 의심될 경우 비뇨기 항원(urinary antigen)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진단에는 Optochin test(옵토친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Optochin test
또한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는 입원을 해야하는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4. 합병증


폐렴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흉수(pleural effusion)로, 50% 이상의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의 환자에게서 보이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항생제 투여만으로 흉수가 사라지기도 하나, X-ray상 흉수가 1cm 이상의 크기로 나타날 경우 흉강천자(thoracentesis)을 통해 샘플을 채취해 흉수의 그람 염색, 배양, pH, 포도당/단백질/LDH 수치 등을 검사하게 된다. 드물게 농흉(empyema)으로 발전면서 심각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폐렴이 심각할 경우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으로 발전할 수 있다. 사망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대표적인 예로 김대중 전 대통령도 폐렴으로 인한 급성호흡부전과 이로 인한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사망하였다.

5. 동물의 폐렴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에서도 폐렴이 발생한다. 개나 고양이의 경우 단위 체중당 폐의 표면적이 사람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사람에 비해 폐렴에 걸리는 비율이 높다. 주로 세균(''Bordetella bronchiseptica'') 이나 바이러스 (canine distemper, canine influenza etc.,)에 의한 감염성 폐렴, 사래가 덜리는 등 이물이 폐로 넘어가 발생하는 오연성 폐렴, 담배연기, 매연, 미세먼지등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생충(심장사상충, 기관개취충 등)에 의한 호산구성 폐렴도 발생하며, 루프스 등 면역계에 의한 이차적인 폐렴도 있다. 또한 종양이 있는 경우에도 폐렴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심장병에 의한 폐수종 삼출물에 세균이 감염되어 폐렴으로 발전하는 이차성 폐렴도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나 췌장염에 걸린 환자, 자궁축농증이 있는 환자에서 내독소로 인한 화학적 손상에 의한 폐렴도 있다. 즉, 사람에서 있는 거의 모든 원인이 개나 고양이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사람의 폐렴이 동물에게 전해지지 않는 것처럼 동물의 폐렴 또한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침, 고열, 식욕부진, 기력저하, 구토, 탈수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폐렴의 원인에 따라 설사, 빈호흡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질환, 예를 들어 췌장염의 경우 치료 시기가 늦어질 경우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며 순차적으로 질병이 악화 되지만 폐렴의 경우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사망에 매우 가까워진다. 그도 그럴 것이 질환이 걸린 장기 즉, 폐의 기능이 없어지면 숨을 쉬지 못하고 사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경우 인공폐를 달아 폐의 치료시까지 생명을 연장한다든지, 폐 이식을 통해 망가진 폐를 교체(?) 할 수 있으나 동물은 현실적으로 안 된다. 즉, 폐렴이 있는 경우 주치의와 상담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1] 출처: William Osler, Thomas McCrae (1920).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designed for the use of practitioners and students of medicine (9th ed.). D. Appleton. p. 78.[2] 현대적인 의대 교육 커리큘럼의 기초를 닦아 ‘현대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캐나다 출신 의사(1849~1919)로, 미국 존스 홉킨스 병원 설립에 관여하였다. 위의 문장은 그가 저술한 의학 교과서의 일부인데, 그 자신도 70세에 폐렴으로 사망했다.[3] 원래 한국 한자음은 폐'''염'''이지만,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서 炎이 '렴'으로 변했다.[4] 출처.[5] 통계청 2017년 사망원인통계.[6] 고령, 당뇨병, 면역억제제 처방, AIDS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주폐포자충 폐렴 같은 몇몇 진균 유발 질환의 경우 정상적인 면역 체계에서는 발병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AIDS를 의심하고 본다. 연세대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자와 비감염자에서 발생한 주폐포자충 폐렴의 임상 양상 비교.[7] 김대중대한민국 대통령도 폐렴이 악화되어 급작스레 사망했다.[8] 사레 들렸는데 재수없게 좀 많이 폐로 넘어갔다고 생각하면 된다.[9] 때로는 폐렴간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에 의하는 것도 있다.[10] 물론, 대부분은 흡연을 막 시작했거나 금연 후 다시 흡연을 시작한 사람들이다.[11] 이는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등의 세균은 세포벽 자체가 아예 없는 특이한 세균인데,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계열의 항생제는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 합성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