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원주민

 



[image]
하와이어: kānaka ʻōiwi, kānaka maoli
영어: Native Hawaiians
1. 개요
2. 사회
3. 역사
4. 문화
5. 창작물에서


1. 개요


하와이 제도에 거주하는 폴리네시아계 민족. 언어는 하와이 왕국 시절에는 하와이어를 주로 사용했지만 미국에 합병된 후에는 대부분 영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인구는 약 527,000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는 혼혈들을 포함한 수치이고 순수 원주민 혈통만을 따지면 156,146명 정도로 추정된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적어도 800년 전에 소시에테 제도[1]에서 온 폴리네시아인들이 항해를 하다가 발견해 정착하였다. 정착민들은 점차 고향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고립된 사회에서 하와이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주로 새로운 생활 환경과 지식을 전달하기위한 구조화된 신념의 필요성으로 새로운 종교 및 문화 구조의 창조가 포함되었다. 따라서 하와이 토착 종교는 삶의 방식과 토지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공동 생활과 특수한 공간 인식을 중요시 한다.

2. 사회


같은 폴리네시아계 민족인 마오리족과 마찬가지로 하와이 문화는 계급 중심이 깊으며, 사전에 정해진 사회적 지위가 큰 역할을 한다.
높은 지위의 사람들에게 주어진 땅인 모쿠는 가족 내에 유지되며 바다에서 산으로 뻗어있는 작은 아 후아로 분할되어 각 지역의 토지에는 활엽수와 식량 공급원을 포함하여 생존에 필요한 모든 자원이 포함된다. 오아후 섬은 7개의 모쿠로 나뉘는데, 가장 큰 것은 '에와'이고 가장 작은 것은 히아와이다. 아후푸아는 관리자가 관리하며, 관리자는 각 지역에서 공물을 모으는 책임자가 담당했다. 아후푸아의 분할은 공물 수준을 기반으로하며 주요 분할은 '일리'이다. 일리는 아후푸아의 족장에게 작은 경의를 표하고 다른 하나는 섬의 족장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것은 세금의 한 형태이자 계급 사회적인 토지 시스템의 조건이다. 이것은 정치적 통제와 사회 질서를 위해 토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럽봉건제와 유사하다.

3. 역사


하와이는 본래 여러 부족 국가들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하와이인의 본격적인 역사는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의 다른 부족 국가들을 모두 정복하고 통합하여 세운 하와이 왕국에서 시작한다.
부족 사회였던 하와이 지역은 카메하메하 1세가 부족을 통합하면서 국가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유럽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하와이의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하와이의 관습법과 영국의 성문법을 결합한 법을 제정하였다.
아들인 카메하메하 2세의 치세에는 하와이에 처음으로 기독교 선교사가 도래하였으며, 이 때 카메하메하 2세는 로마자를 받아들여 하와이어 로마자를 만들고 교육하였다.
1840년에는 카메하메하 3세의 명령 하에 최초로 하와이어로 된 헌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다 서구 이민자들이 많아지고 그들의 힘이 점점 커지게 되면서 결국 1893년 미국에 합병되어 멸망했다. 미국령이 된 후 하와이 원주민들은 미국으로부터 자신들의 민족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탄압당했다. 예를 들면 미국은 하와이에 의무교육을 도입하면서 모든 교육 언어로 영어를 썼고 학교에서 하와이어를 사용하거나 교육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하와이어를 사용하는 어린이를 체벌하고 사적인 공간에서도 영어만 쓰도록 강요했다. 더불어 이 시기부터 하와이의 미국인 자본가들이 값싼 노동력을 구하러 아시아계 이민자들을 들여오면서 하와이 원주민들은 주류 민족에서 점점 밀려나게 되고 소외되었다.
합병된 후 하와이가 미국의 주로 들어오고 현대에 들어서면서 원주민들은 하와이어 보존 운동이나 분리 독립운동을 하기도 하고 정부에 사과 요구 등을 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에 공식적으로 부당하게 하와이 왕국을 멸망시키고 원주민을 탄압한 일에 대해 사과했다.
그러나 현재도 반감이 남아있어 2008년 4월 30일에는 원주민 단체인 자칭 '하와이 왕국 정부'의 활동가 70여 명이 이올라니 궁전을 점거하는 비무장 시위를 벌였다. 그리고 4달 후인 8월 15일에는 '하와이 민족 왕국'(Kingdom of Hawaii Nation)이라는 단체가 왕궁 점거를 시도하다가 23명이 체포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처럼 북미 원주민이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사례와 비교하면 취급이 매우 좋고[2], 미국인들과 잘 공존한 편이지만 아직까지 역사적인 반감이 남아있다.

4. 문화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의 하와이 도달 200주년에 개최된 1978년 하와이 주 헌법 제정 조약에서 하와이 주 정부는 하와이 원주민 문화, 역사, 언어를 점진적으로 연구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발표했다.
예로부터 하와이인들은 음악에 조예가 깊었는데 그중에서도 하와이의 마지막 국왕인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만든 알로하 오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하와이의 민요이다.
전통 무용인 훌라 춤도 유명하다.
대표적인 해상 스포츠인 서핑하와이를 비롯한 폴리네시아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중에서도 서핑이 가장 발달했고 관련 기록이 잘 남아 있으며 오랫동안 행해져 온 곳이 하와이이다.
횃불이나 긴 막대 양끝에 불을 붙여 춤을 추는 불쇼도 유명하다. 하와이 여행의 원주민 문화 체험에서 하이라이트로 꼽을 정도.

5. 창작물에서


디즈니의 만화 영화 모아나폴리네시아 신화를 주제로 한 영화인데 등장인물도 하와이인을 포함한 폴리네시아인들이다.[3]
[1] 현재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속한 제도이다.[2] 이래뵈도 하와이의 기득권층은 아시아계와 원주민계이고, 하와이 정계에도 원주민계로서 대거 주의회 의원 등의 요직을 꿰찬 사람들이 많다. 게다가 하와이 왕족 출신 소유의 재단이 설립한 학교인 카메하메하 스쿨은 돈을 엄청나게 써야하는 다른 미국 사립 고등학교와는 달리, 입학하는 모든 학생의 학비 면제, 전원 노트북 무료 증정 등 엄청나게 혜택을 주는데 하와이 원주민의 피를 25%이상 물려 받아야 입학할 수 있다. 이 정도면 백인들과 상당한 공존을 이뤄낸 것으로 잘 알려진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족보다도 대접이 좋은 편이다.[3] 주인공인 모아나의 성우인 아울리이 크러발리오도 하와이 원주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