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하메하 1세
1. 개요
Kamehameha I
Kamehameha the Great.
(1736? ~ 1819)
하와이 왕국의 초대 국왕. 하와이의 국부 취급을 받는 인물이다.
풀네임은 '''카라니 파이에아 우히 오 카레이키니 케알리쿠이 카메하메하 오 이올라니 이 카이위카푸 카우이 카 리호리호 쿠누이아케아(Kalani Paiʻea Wohi o Kaleikini Kealiʻikui Kamehameha o ʻIolani i Kaiwikapu kauʻi Ka Liholiho Kūnuiākea)'''.
2. 생애
전설에 따르면 하늘에서 깃털 같은 빛줄기가 그의 탄생을 예고했다고 하며, 처음의 이름은 파이에아.
어릴 때 전쟁 중이던 부족의 추적을 받아 와이피오 밸리(하와이 본섬 북부의 계곡)로 숨었으며, 그 곳에서 나온 후에는 카메하메하로 불렸다.[1]
[image]
하와이에는 나하 스톤(Naha Stone)이라는 선돌이 있는데(지금도 힐로 도서관 앞에 있다), 당시 하와이에는 이것을 움직일 힘이 있는 자가 하와이 제도를 통치할 것이라는 전설이 있었는데, 카메하메하는 '''14살'''에 2.5톤에서 3.5톤 사이로 추정되는 나하 스톤을 움직였다고 한다.
1778년에 제임스 쿡이 하와이를 발견했는데, 카메하메하는 쿡의 도움을 받아 마우이의 이아오 밸리, 오아후의 누우아누 팔리 등에서 부족 간의 전쟁에서 승리를 했으며, 1795년에 오하우 섬을 정복해 마우이 섬을 수도로 세워 하와이 왕국을 세웠다.
1810년에 카우아이의 카우무알리이 왕을 굴복시켜 하와이를 통일했으며, 말년은 자신의 고향인 카일루아 코나에서 보냈다고 한다.
3. 부러진 노의 법
카메하메하 왕이 하와이를 통일하고 만든 법 중에 하나가 "Kānāwai Māmalahoe(Law of the Splintered Paddle, "부러진 노의 법'")"이라는 것이 있는데 "모든 노인 여성과 아이가 길가에서 안전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라는 법이다. 즉 '''약자를 보호하라'''라는 법인데, 이 법이 만들어진 일화가 꽤 유명하다.
하와이 본섬에서 정복전을 하고 있을 때, 카메하메하는 두 어부를 보고 공격하기 위해 돌진했으나 순간 발이 암초에 걸렸다. 이때 한 어부가 들고 있던 노를 이용해 박살날 정도로 카메하메하의 머리를 내려쳤고, 카메하메하가 기절한 사이 둘은 도망쳤다. 나중에 통일을 한 뒤에 카메하메하 왕은 이 어부들을 찾았고, 끌려온 어부들은 "왕을 기절할 정도로 때렸으니 사형이겠지" 하고 덜덜 떨었으나 카메하메하는 오히려 비전투원임에도 불구하고 공격하려 했던 자신을 용서하라며 사과했고, 농사를 지으라고 땅을 주며 해당 법을 선포했다고 한다.
4. 카메하메하 동상
[image]
하와이의 상징 중 하나인 이 카메하메하 동상이 하와이 대법원 앞에 있는 이유가 바로 부러진 노의 법 때문이라고 한다. 하와이 파이브 오 오프닝에도 등장하는 등 하와이의 랜드마크격인 동상. 동물의 숲 시리즈에도 '위대한 조각'이라는 이름의 미술품으로 등장.
하지만 이 동상은 실제 카메하메하 1세와는 닮지 않았다. 이 동상은 1878년 하와이 총리인 월터 머레이 깁슨이 제임스 쿡의 하와이 상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피렌체에 사는 미국인 조각가 토마스 리지웨이 굴드에게 10000달러를 주면서 제작을 요청한 것이다. 그때는 카메하메하 대왕이 죽은지 한참 뒤인 데다가 그의 모습에 대한 어떤 것도 남아있지 않았던지라 그나마 고증이라도 맞추려고 폴리네시아인 여러 명의 사진을 보내어 모델로 삼게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에서 로마 조각을 배우던 굴드는 그리스-로마인의 얼굴 특징을 차용하고, 자세나 창을 든 모습도 로마 장군처럼 만들어 버리는 바람에 실제 카메하메하 대왕과는 완전 동떨어진 모습이 되어버렸다. 위키피디아 페이지 참고.
이 동상은 총 세 개가 만들어 졌는데, 첫번째 동상은 하와이로 운송하던 중 배가 침몰하고 말았다. 다행히도 보험이 들어있어서 보험료로 두 번째 동상을 새로 제작했는데, 이 두 번째 동상이 미처 하와이로 오기도 전에 첫 번째 동상이 수복되어 하와이에 돌아온지라, 이 동상은 카메하메하 대왕의 생가에 세워지고, 나중에 도착한 두 번째 동상은 하와이 대법원 앞에 세워지게 되었다. 후에 하와이의 주(州) 승격을 기념하기 위해 세 번째 동상이 발주되어 미국 국회의사당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5. 기타
조지 클루니가 출연한 영화 디센던트는 이 왕의 후예들의 유산에 관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만화 드래곤볼의 기술 에네르기파의 원래 일본어 명칭인 카메하메하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문서 참고.
근육맨에 나오는 등장인물인 프린스 카메하메 역시 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특유의 머리 모양은 하와이 왕관을 그대로 머리형으로 굳어진 것이다.
엘리트 건달에서 주인공 일행이 하와이에 놀러갔을 때 카메하메하 1세의 동상이 카와이 세이야와 닮았다며 놀리자 발끈한 카와이가 마구 훼손하기도 했다.
문명 5에서는 폴리네시아의 군주로 나온다. 의복은 위의 동상과 거의 판박이 수준의 모습인데 얼굴은 좀 더 비유럽인스러운 푸근한 인상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미 해군이 과거 운용했던 SSBN 중에도 SSBN-642 USS 카메하메하라는 배가 존재했었다. 당연히 이름의 유래는 카메하메하 1세.[2]
그의 전기영화가 제작되고 있는데, 로버트 저메키스가 연출하고 워너 브라더스, 뉴 라인 시네마가 제작할 예정이다. 드웨인 존슨이 카메하메하 역을 맡는다고.[3]
결혼사기범으로 영화 쿠히오 대령의 실제 인물이 자신을 소개할때 아버지는 카메하메하의 후손이며, 어머니는 엘리자베스 2세여왕의 쌍둥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