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건

 

[image]
성명
현정건(玄鼎健)

우삼(禹三)

읍민(揖民)
생몰
1893년 6월 29일 ~ 1932년 12월 30일
출생지
대구광역시 중구 상서동
본관
연주 현씨
사망지
서울특별시 경성의전 병원
매장지
서울특별시 동소문 밖 미아리
추서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
2. 생애
2.1. 초년기
2.2. 상하이
2.3. 고려공산당
2.4. 체포, 그리고 순국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소설가 현진건의 형이다.

2. 생애



2.1. 초년기


현정건은 연주 현씨 24세손인 현경운(玄擎運)과 완산 이씨 이정효(李貞孝) 사이에 5남 중 3남으로 대구 중구 상서동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본래 조선 중기 이래 잡과를 통해 역관, 의관 등을 다수 배출한 중인 집안인 천녕 현씨였는데, 20세기 초엽에 양반 가계인 연주 현씨로 통합되었다. 그의 출생연도는 자료마다 다르다. <현경운의 민적부>, <독립유공자공훈록>에는 1887년생으로 기재되었고, <대동보(大同譜)>에는 1892년생으로 기재되었으며, <현정건 신분장 지문원지>, <요시찰인 명부>, <한국민족운동사료>에는 1893년생으로 기재되었으며,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의 현정건 별세 기사에 딸린 약력에는 1896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생일 역시 자료마다 각기 다르다. 학계에서는 그의 생년이 1893년이며 생일은 6월 29일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고 있다.
부친 현경운은 대구전보사 주사를 역임한 하급관리였고, 큰형 현홍건(玄鴻健)은 러시아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외에서 활동하다 귀국하여 육군 부위(副尉)로 임명되었고, 학부(學部) 교관과 러시아공사관의 통역관을 지냈다. 둘째 형 현석건(玄奭健)은 일본 메이지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판사가 되었다가 대구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또한 현정건의 밑으로는 유명 소설가 현진건, 현성건(玄聖健)이 있었다.
현정건은 13살 때 서울로 상경하여 숙부 현영운(玄暎運) 집에 기거하면서 배재학당을 다녔다. 현영운은 일본 경응의숙(慶應義塾)에서 수학한 뒤 귀국하여 박문국 주사를 거쳐 중추원 의관, 군부 협판, 일본주재 특명전권공사, 육군 원수부 검사총장 등 요직을 거치며 승승장구했다. 또한 그는 이토 히로부미의 양녀 배정자와 결혼해 친일 관료가 되었다. 현영운은 배정자와 1년만에 이혼했지만, 이토 히로부미의 총애를 받아 1905년 농상공부 협판과 서리대신, 1907년 태복사장(太僕司長)으로 승진했으며, 고종의 측근으로서 정부의 동정을 일본 쪽에 밀고했다. 그런 그의 집에 현정건이 기거하면서 학교를 다니게 된 것이다.
1910년, 현정건은 자신보다 2살 어린 파평윤씨 윤덕경(尹德卿)과 결혼했다. 그러나 그는 그 해에 아내를 남겨두고 혼자 상하이로 건너갔다. 그가 갓 결혼한 아내를 내버려두고 상하이로 망명한 까닭은 확실하지 않다. 대한제국이 한일병합으로 망한 것에 울분을 느꼈거나, 해외 유학에 열망을 느꼈거나, 원치 않은 결혼에 대한 불만 심리가 표출되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재종형 현상건이 일본 정부에 의해 친러파로 지목되자 상하이로 망명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2.2. 상하이


상하이로 건너간 현정건은 재종형 현상건의 집에 기거하며 영어전수학교를 다녔다. 영어에 숙달한 그는 상하이에 있는 미국인 회사 Mission Book Company에 취직하여 한인 청년, 학생들의 미국행 도항 편의를 위해 기선회사와 여권당국에 교섭하는 일을 했다. 현정건은 이후 10년 동안 고향에 잠깐 방문하거나 1919년 3.1 운동 직전 한 차례 밀입국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줄곧 상하이에 머물렀다.
재종형 현상건은 대표적인 친러파 인사로 이용익의 측근이었고 러일전쟁 발발 직전엔 대한제국이 양측 모두와 손을 잡지 말고 중립을 선언해야 한다고 역설하기도 했으며, 상하이 망명 후에는 민영익과 협력하여 국권회복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그의 항일 의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1916년 상하이 일본총영사관이 본국 외무대신에게 보낸 보고서에 따르면, 종래 강경 배일주의자였던 그가 사업 기타 각종 사건 관계로 당관(當館)의 원조를 적잖이 받은 결과 "2,3년래 늘 당관에 출입하면서 배일운동자 내지 미국으로 망명한 조선인 등에 관해 참고할 만한 정보를 누차 제출해 오고 있다"고 한다.
현정건은 1917년 2월 현상건의 집을 나와 상하이의 구강로(九江路)에 거주했는데, 이것은 재종형의 변절에 실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1918년 아우 현진건을 상하이로 불러 1년 동안 함께 지냈고, 현진건은 상해 호강대학(滬江大學) 독일어 전문부 1년을 다니다 귀국했다. 이후 1919년 2월 모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국내로 밀입국해 서울로 잠입했다가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3.1 운동이 한창이던 3월 중순에 석방되었다. 그가 무슨 목적으로 밀입국한 것인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동아일보> 1925년 11월 5일자 기사에 따르면, 그는 석방된 뒤 모(某) 부호로부터 5만원 가량의 독립운동비를 받으려 했지만 손모(孫某)라는 청년이 먼저 찾아와 3만원을 받아가 버려서 받지 못했다고 한다.
이후 7월 상순경 길림 방면으로 탈출하여 일시 체류했다가 상하이로 돌아온 현정건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제6회 회기 중에 경상도 의원으로 피선되었다. 5회 회기 중에 경상도 의원으로 피선되었던 김창숙윤현진이 해임되어 결원이 생기자 그가 뽑힌 것이다. 하지만 9월 11일에 그를 의원직에서 해임하라는 청원이 접수되었고, 그는 회기 종료 전에 해임되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는 기록이 부족해 알 수 없다.

2.3. 고려공산당


현정건은 1920년경 한인공산당에 가입한 뒤 본격적으로 공산주의 활동을 시작했다. 1921년 초 임시정부 간부들과 갈등을 빛은 이동휘 등 한인공산당 인사들은 정부조직좨신안이 수용되지 않음을 이유로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전한공산당대표회'를 소집했다. 이때 현정건도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신당 창립에 동참했다. 이후 상해파 고려공산당이 창립되었을 때, 그는 ‘혜성(慧星)’이라는 필명으로 국한문 활자판 주간지 <화요보(火曜報)>의 주필로 활동하며 공산주의 사상의 선전과 보급에 노력했다.
1922년 1월 6일자 일본 육군성 밀보에 따르면, 현정건은 프랑스 조계에서 김립과 같이 거처를 감추고 활동했다고 한다. 그런데 1922년 2월 11일, 김립 피살 사건이 벌어졌다. 이는 김구가 부하인 오면직노종균을 보내 김립을 암살하게 한 것이었다. 현정건은 아마도 이 사건으로 엄청난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던 중 이르쿠츠크파 공산당과 상해파 공산단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통합을 촉구하는 목적의 비밀회의가 2월 초 상하이에서 열렸다. 그는 이르쿠츠크파의 안병찬, 상해파의 김철수와 함께 이 회의에 참석했다. 또한 그해 10월 19일에는 베르후네우딘스크에서 고려공산당 합동대회에 '상해 공산단체 대표' 자격으로 참석했다.
그러나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분쟁이 너무도 심각했기에 대회는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이에 실망을 금치 못한 코민테른 당국은 12월에 양파 공산당 모두 해산하도록 지령하고, 극동부 산하의 꼬르뷰로를 블라디보스토크에 설치했다. 그 결과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의 상해지방간부회가 활동을 정지하고 해체되었고, 상해파 공산당도 다수 당원들이 국내로 귀환하거나 탈당했다. 하지만 현정건과 윤자영 등은 상하이에 남아서 자파의 혁명전략과 조직 명맥을 이어가고자 했다.
1922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무기력에게 쏟아지는 질타를 더는 무시할 수 없었던 임시정부는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고려공산당 상해파는 국민대표회의가 기존의 임시정부 개조 요구를 관철시킬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현정건, 왕삼덕을 고려공산당 대표로 임명해 이 회의에 파견했다. 국민대표회의는 상해에서 1923년 1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총 74회에 걸쳐 국내외 지역 독립운동 단체 대표 125명이 참석하여 개최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제동이 걸렸다. 꼬르뷰로가 통일에 실패한 고려공산당 양파가 각각의 대표를 파견한 것은 잘못이라며 소환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이르쿠츠크파 대표들은 소환령에 순응하여 1월 9일 회의에서 퇴석통지서를 제출하고 회의장을 떠났다. 하지만 상해파는 꼬르뷰로의 소환령을 거부하고 국민대표회의에서 임무를 계속 수행하기로 했다. 그는 영어와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에 능통하여 2월 5일 열린 외교분과위원회에서 여운형, 윤해(尹海) 등과 함께 외교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나름대로의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임시정부 폐지를 역설한 창조파가 임시정부를 대체할 조직으로 국민위원회 구성을 일방적으로 공표하자, 개조파의 국민대표 57인이 창조파와 국민위원회를 규탄하는 장문의 성명서를 6월 3일에 발표했다. 현정건은 이 성명서에 왕삼덕과 함께 공산당 대표로 서명했다. 이후 그는 1923년 7월에 여운형이 조직한 한국독립촉진회에 가담하는 등,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계파간의 이견 조정에 힘썼지만 끝내 양측의 분열을 막지 못했다.
한편, 현정건은 1923년 8월에 국내 평안도 지방에서 일어난 대홍수로 이재민이 발생하자 상해교민단이 내지동포 수재구제회를 조직해 9월 26일에 수재의연금 110원을 동아일보사에 전달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1924년 4월 5일 청년동맹회가 결성된 뒤 10월 4일 임시총회가 개최되었을 때 집행위원 11명 중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다. 그런데 임시총회에서 발표한 선언문의 일부 내용에 의열단원들이 격분했다. 자단의 운동노선을 '공포론'이라 지창하면서 정당성을 부당하게 폄하했다는 이유였다. 급기야 의열단이 청년동맹을 문건으로 맹비난했고, 일부 간부들이 윤자영과 김규면을 찾아가 구타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또한 의열단은 윤자영과 현정건이 청년동맹회를 빙자하여 일본 공산당에서 금전을 받아 유용하고 있다는 악소문을 퍼트렸다. 이에 청년동맹회는 '금전' 건의 당사자 윤자영과 현정건 2인에게 제명 조치를 내리고 감사부로 하여금 조사하도록 했지만 사실무근임이 판명되었다. 얼마 후 의열단장 김원봉이 청년동맹회를 찾아와 폭행 사건에 대해 사과했고, 금전 관련 유언비어도 잘못된 것임을 시인했다. 이에 윤자영과 현정건은 즉시 복권 조치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통의부 중앙파와 이반파의 대립이 심각하던 중 이동녕 국무총리 휘하의 임시정부가 <독립신문>으로 하여금 통의부 중앙파를 비판하는 일이 벌어지자, 청년동맹회는 격분했다. 이에 윤자영, 김상덕, 현정건 등 청년동맹회 간부급 회원들이 1924년 10월 하순에 임시정부 학무차장 겸 독립신문사 사장인 김승학을 습격하여 구타하고 임시정부에게 내각 개조를 강력히 요구했다. 결국 11월 17일자로 내각 개편이 이뤄져 박은식 국무총리 겸 임시대통령 대리 체제가 출범했다.
1925년 4월, 청년동맹회 제2차 정기총회에서 임원개선 및 조직 개편이 있었는데, 현정건은 7인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신설된 조사부의 위원으로도 선임했다. 그는 1925년경부터 ‘현읍민(玄揖民)’이란 이명(異名)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읍민’이란 별칭 또는 호는 글자 그대로 풀이해보면 ‘백성 또는 국민에게 읍을 한다’, 즉 국가의 주인인 국민에게 예를 표하고 겸손하고 사양하며 국민을 공경하겠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독립사상 고취를 위한 잡지 발간, 강연회 개최, 인쇄물의 국내 밀송 배포 등 선전 계몽활동에 주력했다. 또한 인성학교 예비강습소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과 함께 영어를 담당하여 한인 학생들을 가르쳤고, 1926년에 조직된 중국사정연구회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인 청년들의 중국대학 및 군관학교 입학 주선과 자격심사를 주관했다.
그러나 1926년부터 청년동맹회의 활동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윤자영, 이화천, 최천호 등 유력 간부들이 만주나 국내로 활동 무대를 옮긴다며 청년동맹회를 떠났고, 1927년 3월 10일 상해한인청년회 발기총회 자리에서 청년동맹회가 임시회의를 열어 자진해산을 결의했다. 이는 개조가 청년동맹회를 결성해 임시정부개조를 추진했으나 성과와 결실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자 청년동맹회 내 상해파가 사회주의 운동노선을 부각시켰고, 이에 대한 반발이 일자 청년동맹회를 이탈했기 때문이다.

2.4. 체포, 그리고 순국


1927년 3월 21일, 현정건은 프랑스조계 삼일당에서 열린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에 참석해 25인 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유일당 촉성과 혁명역량 총집중이라는 목표를 제시한 상해촉성회는 단기간에 세력이 늘어나 회원 수 150명을 헤아렸다. 이후 베이징, 우한, 난징에도 촉성회가 설립되었고, 5개 도시 촉성회의 회원수는 총합 500명이 넘었다. 그러나 장제스가 4.12 상하이 쿠데타를 단행한 후 6월 30일에 중국 경찰이 일본 영사관 경찰과 프랑스 조계 경찰과 합동으로 상하이의 한인 주거지를 수색하자, 현정건은 상하이를 일시적으로 탈출해 체포를 모면했다.
그러나 프랑스 조계 당국이 자발적으로 한인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여 일본 영사관에 넘기면서 그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졌고, 결국 1928년 3월 프랑스 조계 경찰의 협조 하에 진행된 일본 영사관 경찰의 수색에 포착되어 상하이의 패륵로(貝勒路) 항경리(恒慶里)에서 체포되었다. 이후 국내로 압송된 현정건은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신의주 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일제 당국은 현정건이 민족유일당 촉성 운동에 적극 가담한 사실을 중시하여 주요 혐의를 두었다. 또한 1926~27년의 한인 유학생 지도 활동 관련 정보를 캐내는 데도 관심을 두었다.
현정건은 자신은 회합에 참여한 적도 없고 관련도 없다며 완강히 부인했지만, 재판부는 1928년 12월 21일 그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에 그는 항소했고, 1929년 4월 16일과 6월 3일에 평양복심법원에서 열린 공판에 참석했다. 그러나 6월 10일 선고공판에서 그대로 징역 3년을 선고받으면서 형이 확정되었고, 그는 평양형무소로 이감되어 복역했다. 1932년 6월 10일에 출옥한 그는 그해 12월 30일 오후 5시 서울 가회동 자택에서 옥고를 치른 여파로 복막염이 발병했다. 그는 경성의진 병원으로 실려가 수술을 받고 입원치료를 받았지만 그날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향년 39세.
동아일보는 1933년 1월 3일 오후 1시에 현정건의 발인이 이루어지고, 영결식은 서울의 가회동 177번지 자택에서 이루어졌으며, 묘는 동소문 밖의 미아리에 마련되었다고 보도했다. 한편 현정건의 부인 윤덕경은 남편이 죽은 뒤 식음을 전폐하다가 1933년 2월 10일에 "남편 없이는 아무래도 살 수 없다.", "죽은 몸이라도 한 자리에서 썩고 싶으니 같이 묻어달라."는 내용의 유서를 시동생 현진건에게 남기고 현정건의 영정 앞에서 독약을 먹고 죽었다. 현정건이 죽은 지 41일만의 일이었으며, 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현정건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