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익

 

閔泳翊
1860~1914
[image]
1. 소개
2. 젊은 세도가
3. 급진 개화파에서 온건 개화파로
4. 망명과 사망
5. 예술 활동
6. 미디어


1. 소개


조선정치인. 개화기 시절 친청 온건 개화파를 대표하던 인물이었다. 명성황후 민씨의 친족이자 순종황제의 첫 부인인 순명효황후의 친오빠이다. 젊은 세도가로 개화 정책을 주도했으나 개화기 격동 와중에 이리저리 고생하다 결국 일제강점기 시절 망명길에서 죽은 비운의 정치인. 민씨척족들을 비롯해 당시 수없이 변절했던 기득권층들 사이에서 그나마 양심을 지킨 몇 안 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2. 젊은 세도가


안동 김씨세도정치에 반발해 몰락하던 여흥 민씨 민태호의 독자로 태어났다.
민영익이 태어났을 때 집안은 거의 제 구실을 하지 못할 정도로 몰락한 상황이었다. 1863년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고 같은 민씨 가문 출신인 민치록의 딸이 왕비로 간택되자 민영익의 집안에 서광이 비추기 시작했다. 명성황후권력을 쥐면서 일가 친척이라는 것에 힘입어 아버지 민태호도 1870년 벼슬길에 올랐다.
민영익이 본격적으로 정치인의 길에 들어가게 된 계기는 1874년 명성황후의 유일한 오라비였던 민승호 암살 사건이었다. 명성황후가 민영익을 마음에 들어해서 죽은 민승호의 양자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아버지 민태호는 민영익이 외아들이라서 양자로 보낼 수 없다고 난색을 표했지만 명성황후의 뜻이 강경하고 형제들마저 민영익이 명성황후의 친조카가 되면 집안 사람 모두가 부귀영화를 누릴거라고 강권해서 결국 일이 성사됐다. 이때부터 민영익은 명성 황후의 친조카로서 순식간에 민씨 척족 세력의 중심 인물로 떠올랐다.
다른 자료들에서는 이때 민영익을 양자로 보내 정작 자신의 후사가 없게 된 민태호가 민영환을 입양했다고 잘못 적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 민태호가 동명이인이다. 민영환의 양아버지 민태호(閔泰鎬)는 민승호, 민겸호, 여흥 부대부인과 친형제로써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3남 민진영의 5대손이고 순명효황후와 민영익의 친아버지 민태호(閔台鎬)는 민유중의 차남 민진원의 5대손이다. 이 민태호의 후사는 먼 친척 민술호의 아들 민영린이 입양되어 있었다. 둘은 12촌 형제인 동명이인으로 관계를 헷갈리면 가계도가 개판이 되어 버린다.
1877년 과거에 합격한 후 별기군의 운영을 주재하고 이조참의, 경리통리기무아문군무사당상, 군무변정기연사당상, 협판통리아문사무를 역임하였는데 불과 20세 약관에 당시 인사권, 병권, 재정권, 외교권을 겸해 담당했다. 그야말로 당시 가장 잘 나가던 젊은 세도가였는데 근데 그 시기에 군에서 사회적 신분제를 옹호하는 짓거리. 그것도 손자병법에서도 정신나간 짓이라는 격언도 무시하고는 이를 고한 우범선을 신분제 모독한다고 처벌했다.

3. 급진 개화파에서 온건 개화파로


젊은 세도가 민영익은 주변에 개화파를 끌어모았다. 김옥균(金玉均), 홍영식(洪英植), 이중칠(李重七), 조동희(趙同熙), 김흥균(金興均), 홍순형(洪淳馨), 심상훈(沈相薰), 어윤중(魚允中) 등이 민영익의 사저였던 죽동궁[1]에서 자주 회합하면서 이 사람들을 '죽동팔학사'라 불렸고 개화 정책을 선도하는 젊은 정치인들로 자리잡았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숙부 민겸호가 사망하고 민영익의 집도 공격당했으나 살아 남았고 이후 사죄 사절로 박영효와 일본에 다녀와서 3개월간 머물렀으며 권지협판교섭통상사무가 되어 톈진에 머무르면서 해관 사무를 교섭하다가 1883년 보빙사의 정사·전권 대신이 되어 미국을 방문해 미국 대통령 체스터 아서를 예방했고 각종 시설을 시찰했으며 돌아올 때는 유럽에서 아시아를 경유해 돌아와 한반도인으로는 세계를 최초로 일주한 사례가 됐다.[2]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귀국 후 그간 들렀던 곳 중 어디가 명승지인지 묻는 고종황제에게 "양인들은 다들 파리가 좋다던데 제가 본 바로는 파리는 뉴욕만 못한 거 같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본문
유람 당시 서광범변수는 포크 소위가 번역해 주는 세계정치사 및 문화사 관련 자료를 기록하느라 분주했지만 민영익은 묵묵히 유교 경서를 읽을 뿐이었다고 한다. 엄청난 문화적 충격에서 나온 회의에 대한 답을 애써 공자의 가르침 속에서 찾으려 했던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미국에서 돌아온 민영익은 귀국 후 주조선 미국 공사 푸트를 만나 이렇게 소감을 이야기했다고 한다.

"나는 어둠 속에서 태어났다가 광명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다시 어둠 속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직 나는 내가 갈 길을 분명하게 내다볼 수가 없으나, 머지 않아 찾아낼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 때부터 서광범은 포크 소위에게 민영익이 보수 세력에 가담할 우려가 크다고 토로했다고 한다. 1884년 귀국 후 이조참판으로 승진하고 금위대장과 신군좌군영관을 겸임해 인사권과 군사권을 다시 장악했으나 이 때부터 김옥균을 위시한 급진 개화파와 처지를 달리한다.
급진 개화파는 마침내 갑신정변을 일으켰는데 생부였던 민태호는 보수파 거두라서 암살당했고 민영익도 당시 자객이었던 먼 왕족 출신 이규완에게 공격당해 크게 다쳤다. 한국사 강사인 강민성에 따르면 이때 칼 15방을 맞고도 살아 남았다고 한다. 갑신정변을 주동한 홍영식에게 우조받아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구출돼 미국인 의사 호러스 뉴턴 알렌에게 치료받고 구사일생했다.[3] 아버지가 죽고 자신도 죽을 뻔한 일로 민영익은 앙심을 품고 급진 개화파를 제거하고자 일본으로 망명한 김옥균의 암살을 시도했다.

4. 망명과 사망


갑신정변 후 민영익의 인생은 망명과 귀국의 연속이었다. 그만큼 명성황후의 조카였으면서 명성 황후와는 다른 정치상 신념이 있어서 정치상 위기를 자주 겪었다. 그로 말미암아 개화파이자 젊은 세도가로 개화기 초창기를 주도했던 민영익의 이름이 갑오개혁. 광무개혁 등 개혁기에서 잘 언급되지 않는 원인이 됐다.
1885년 군국 기무 아문 협판, 병조 판서, 한성 판윤, 이조 판서, 형조 판서, 예조 판서를 역임하면서 승승장구하다가 고종황제명성황후의 친러 정책에 반대해 위안스카이에게 이 사실을 몰래 보고했다가 정치상 처지가 난감해져 홍콩으로 망명했다.
그 후에 귀국해 국가 재정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나 위안스카이가 방해해서 실패했다. 선혜청 당상이 되었으나 고종 폐위 음모에 연루돼 망명했다. 돌아와서 대한제국의 의정부 찬정이 됐으나, 1905년 을사조약으로 친일 내각이 수립되자 상하이로 망명해 병합 후에는 술로 소일하다가 안중근 의사의 변호사 비용을 대기도 했다. 그러나 반면에 다른 독립운동가들의 독립 자금 각출을 거부, 일본제국 경찰의 호위를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4] 어찌 되었든 그렇게 망명지에서 결국 세상을 뜨게 되었다.
그래도 민씨 척족 상당수 및 그의 동료였던 온건개화파들이[5] 줄줄이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어서 호의호식하면서 호강했던 것과 비교하면 조선을 멸망시킨 일제에 협조하길 거부하고 모든 특권을 포기했던 그가 그래도 애국심이 남아 있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5. 예술 활동


행서에 능했고 많은 묵화 중 묵죽도(墨竹圖)·석죽도(石竹圖)가 전하며, 필세와 화품이 뛰어나서 당시 상하이에서 가장 유명한 우창슈오(吴昌硕 wúchāngshuò 1844 ~ 1927)와 자주 교유했다.

6. 미디어


찬란한 여명에서는 성우 김용준이 연기했다. 김용준 성우가 드라마에 출연한 얼마 안 되는 작품이다.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김광영이 분했다.
이두호가 만화로 그린 객주에서는 돈을 밝히지만 그렇다고 돈에 미친 것도 아니며 학문에 뛰어나지만 아이들과 제기차기를 대낮에 한다든지 괴짜인 모습을 보인다. 임오군란이 터져 구식 군대가 집으로 쇄도하자 분노해 칼을 달라면서 저항하려고 하지만 충직한 부하로 나오는 이용익(1854년 ~ 1907년 / 역시 실존인이다)이 민영익을 기절하게 해 데려가 겨우 생존한 뒤로 행방을 감추고자 머리를 박박 밀고 승려로 위장해 잠적해 지낸다. 나중에 주인공 천봉삼에게 강제로 수만여냥을 바치게 하라는 등, 좀 악역 같은 이미지로 나오지만 봉삼을 사모하던 무녀 매월의 활약으로 그를 풀어줘야 했다.
유명인들의 닮은꼴 사진들이 유행할 때 민영익이 에릭(신화)과 닮았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SNL 코리아에 신화가 출연할 당시 '신화 생명' 꽁트에서 실제로 써먹었다. 에릭이 옷까지 민영익과 닮게 맞춰 입어 확인사살.
SBS월화 드라마 제중원에서는 장현성, KBS 2TV의 수목 드라마 조선총잡이에서는 오민석이, KBS 2TV수목 드라마 장사의 신 - 객주 2015에서는 안재모가 연기하였다.
카카오페이지 연재 웹툰 요괴난전에서 등장했으며 명성 황후의 오빠인 민승호가 죽자 대를 잇기 위해 먼 친척인 민영익을 명성 황후의 가문에 입양시킨다. 뒷 배경 덕분에 빠른 진급이었을 수도 있겠지만 명석하고 책임감이 강해 모든 일에 두각을 나타낸다. 신채율과는 입양 전부터 절친이었고 그의 능력을 높이 사 항상 곁에 두려 한다. 별기군의 실무적인 직책을 맡고 있으며 명성 황후를 보필 한다. 그러나 올곧은 성품으로 부패한 척족을 지킬 것인지 나라를 위할 것인지를 두고 고민한다.
[1] 명온공주와 김현근이 살던 곳이다.[2] 1896년 제정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축하 사절단으로 파견된 민영환이 일본 요코하마 - 캐나다 벤쿠버 - 미국 뉴욕 - 영국 런던 - 독일 베를린 - 대관식 참석 후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블라디보스토크를 통해 국내로 귀국한 것을 한반도인 최초 세계 일주로 치기도 한다. 여행 후 민영환이 쓴 여행기가 해천추범(海天秋帆).[3] 이를 계기로 알렌은 왕실의 신임을 얻어 조정에 근대식 병원 설립안을 올렸다. 이 제안이 수용돼 1885년 4월 10일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 제중원이 개원한다.[4] 다만 국내에서 친일 행적으로 호의호식한 그의 친척들과 중국에서 쓸쓸히 죽은 민영익의 최후를 비교하면 어딘가 어긋나는 주장이다. 독립 운동 내내 파벌 분열이 잦았던 현실을 감안하면 실제 자금 각출을 거부했다고 해도 파벌 문제였거나, 국내 친족의 의뢰로 호위가 붙은 것일 수도 있다. 여튼 민영익 본인이 친일 행적을 했다는 근거는 없다.[5] 하지만 민영익과 대립 관계였던 급진개화파 출신들이 훨씬 많이 변절했다. 굳이 매국노까지 간 자들을 빼더라도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박영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