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북분 청동 세발솥
[image]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청동솥.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image]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청동솥으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함께 발견된 황남대총 유물들과 같이 전시된 모습. 사진 출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무덤속 저승세계
쇠발솥은 고대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쓰이던 대표적인 제기로, 중국 한나라 때의 허신(許愼)이 만든 한자풀이책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따르면 정(鼎)이란 '다리가 세 개이며, 양쪽으로 귀를 가지고 있으며 형태는 나무뿌리와 같고 음식을 만드는 그릇으로 쓰였다' 고 나와 있다. 황남대총 출토 청동 쇠발솥은 한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쇠발솥으로 이와 똑같은 형태의 제기가 천마총, 서봉총, 식리총 등 다른 고분에서도 다수가 발견되어 당시 한국에서 흔하게 사용되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쇠발솥
[image]
경주 황오리 16호분에서 다리미와 함께 발견된 청동 세발솥.사진 출처1 : 연합뉴스 - "신라고분 출토 '다리미'는 이동식 화로", 사진 출처2 : 연합뉴스 - '이동식 화로'로 쓰인 '다리미'
기존에는 그냥 일반 솥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요리 기구라고 생각했으나, 2005년에 경주 황오동에서 기존에 고대 다리미로 알려져있던 기구와 결합된 모습으로 발견되면서 이 두 기구가 합쳐져 하나의 셋트로 일종의 이동식 화로로 사용되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image]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6세기 백제시대의 다리미. 한국에서 발견된 다리미 중 유일하게 신라 외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다.
[image]
천마총 출토 신라 다리미
[image]
경주 교동 출토 신라 다리미 일괄
[image]
울산하삼정 고분 출토 신라 다리미
[image]
황남대총 출토 신라 다리미 일괄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열도 각지의 고대 유적, 특히 무덤에서 더러 출토되는 위의 '다리미'라는 유물은 기존에는 옷을 다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한국의 경우 2005년 기준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삼국시대 '다리미' 출토품이 모두 19점에 달하는데 이는 한중일 최대에 해당된다. 이 중 무령왕릉 왕비 발치 쪽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다리미를 제외한 나머지 18점은 모두 신라 고분에서 나왔다.# 그 출토지를 보면 경주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아, 황남대총, 천마총, 황오리 54호분 갑총(甲塚), 황오리 16호분(1ㆍ2ㆍ4ㆍ8곽<槨>), 황오리 37호분 남곽(南槨), 황오리 4호분, 황오리 100번지 1호묘, 인왕동 19호분 등이 있으며, 지방에서도 경산 임당동 EⅡ-1호묘와 같은 지역 EⅡ-3호묘, 창녕 계동(桂洞) 7호분 등에서 발견되어 왔다.
[image]
기존 다리미라 알려져 있던 기구와 결합한 모습.
하지만 2005년 황오리 유적 발굴 이후 기존에 다리미라고 알려져 있던 이 기구가 실제로는 세 발 달린 철솥이나 청동솥 밑에 숯불 등을 담아서 음식을 데우거나 끓이는데 사용된 '이동식 화로'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지금으로부터 1,700여년 전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동 솥으로, 고신라시대의 금속공예술 및 요리 기구사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1. 개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청동솥.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image]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청동솥으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함께 발견된 황남대총 유물들과 같이 전시된 모습. 사진 출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무덤속 저승세계
쇠발솥은 고대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쓰이던 대표적인 제기로, 중국 한나라 때의 허신(許愼)이 만든 한자풀이책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따르면 정(鼎)이란 '다리가 세 개이며, 양쪽으로 귀를 가지고 있으며 형태는 나무뿌리와 같고 음식을 만드는 그릇으로 쓰였다' 고 나와 있다. 황남대총 출토 청동 쇠발솥은 한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쇠발솥으로 이와 똑같은 형태의 제기가 천마총, 서봉총, 식리총 등 다른 고분에서도 다수가 발견되어 당시 한국에서 흔하게 사용되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쇠발솥
3. 정확한 용도(이동용 화로) 발견
[image]
경주 황오리 16호분에서 다리미와 함께 발견된 청동 세발솥.사진 출처1 : 연합뉴스 - "신라고분 출토 '다리미'는 이동식 화로", 사진 출처2 : 연합뉴스 - '이동식 화로'로 쓰인 '다리미'
기존에는 그냥 일반 솥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요리 기구라고 생각했으나, 2005년에 경주 황오동에서 기존에 고대 다리미로 알려져있던 기구와 결합된 모습으로 발견되면서 이 두 기구가 합쳐져 하나의 셋트로 일종의 이동식 화로로 사용되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image]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6세기 백제시대의 다리미. 한국에서 발견된 다리미 중 유일하게 신라 외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다.
[image]
천마총 출토 신라 다리미
[image]
경주 교동 출토 신라 다리미 일괄
[image]
울산하삼정 고분 출토 신라 다리미
[image]
황남대총 출토 신라 다리미 일괄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열도 각지의 고대 유적, 특히 무덤에서 더러 출토되는 위의 '다리미'라는 유물은 기존에는 옷을 다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한국의 경우 2005년 기준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삼국시대 '다리미' 출토품이 모두 19점에 달하는데 이는 한중일 최대에 해당된다. 이 중 무령왕릉 왕비 발치 쪽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다리미를 제외한 나머지 18점은 모두 신라 고분에서 나왔다.# 그 출토지를 보면 경주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아, 황남대총, 천마총, 황오리 54호분 갑총(甲塚), 황오리 16호분(1ㆍ2ㆍ4ㆍ8곽<槨>), 황오리 37호분 남곽(南槨), 황오리 4호분, 황오리 100번지 1호묘, 인왕동 19호분 등이 있으며, 지방에서도 경산 임당동 EⅡ-1호묘와 같은 지역 EⅡ-3호묘, 창녕 계동(桂洞) 7호분 등에서 발견되어 왔다.
[image]
기존 다리미라 알려져 있던 기구와 결합한 모습.
하지만 2005년 황오리 유적 발굴 이후 기존에 다리미라고 알려져 있던 이 기구가 실제로는 세 발 달린 철솥이나 청동솥 밑에 숯불 등을 담아서 음식을 데우거나 끓이는데 사용된 '이동식 화로'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지금으로부터 1,700여년 전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동 솥으로, 고신라시대의 금속공예술 및 요리 기구사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