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10

 



[image]
[1]
[image]
[2]
Airbus A310
1. 제원
2. 개요
3. 바리에이션
3.1. A310-200 (A310)
3.2. A310-300 (A310)
3.3. A310 MRTT
4. 사건/ 사고
5. 여담
6. 참고 링크


1. 제원


출처 : A310 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 EASA Type Certificate Data Sheet[3]

'''A310-200'''
'''A310-300'''
'''운항승무원'''
2
'''표준좌석수'''
237[4]
243[5]
'''최대좌석수'''
275
'''길이'''
46.66 m
'''폭'''
43.90m
'''날개면적'''
219 m²
'''높이'''
15.80 m
'''동체폭'''
5.64 m
'''최대연료탑재량'''
55,100 L
61,090 L[6]
'''자체중량'''[7]
79,207 kg(CF6), 79,166 kg(JT9D)
79,207 kg(CF6), 77,397 kg(JT9D),
79,166 kg(PW4000)
'''최대이륙중량'''
132,000 kg[8]
150,000 kg[9]
'''항속거리'''
2,600nmi[4,800km][10]
3,500nmi[6,500km][11]
4,200 nmi[7,800km][12]
5,150nmi [9,540km][13]
'''최대순항속도'''
마하 0.84
'''엔진 x2'''
'''GE'''
CF6-80 (45,800~48,000 lb)[14]
CF6-80C2 (48,000 lb)[15]
'''P&W'''
JT9D-7R4 (45,800~47,500 lb)[16]
JT9D-7R4E1 (47,500 lb)[17]
PW4000 (49,200 lb)[18]

2. 개요


[19]
에어버스에서 개발한 중, 단거리용 광동체 여객기. A300를 단축하여 항속거리를 늘린 파생형으로, 1982년 4월에 초도 비행을 하였고, 이듬해인 1983년 4월에 상업운항을 시작하여 1998년에 단종되었다. 총 255대가 생산되어 2020년 현재 38대(15%)가 운용되고 있다. 기본형인 -200 외에 화물기종 -200C와 중량증가형 -300이 있다.
A300과 같이 당대의 경쟁 기종(보잉 747, 맥도넬 더글라스 DC-10 등)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중거리 국제 노선을 운항할 수 있어 주로 유럽이나 제3세계 항공사들에게 잘 팔렸다. 특이하게 미국의 팬암도 18대를 구입했다. 현재는 서방 제재로 신조 기체를 구매하지 못하는 이란의 마한 항공이 최대 운용사이다.
보잉의 B767-200과 경쟁했다. 수송량 측면에서 두 기종은 매우 비슷했기 때문이다. 두 기종은 모두 경쟁에서 호각을 이루었다. A310이 255대, B762가 기본형/ER 포함 249대가 팔렸다. 다만 762에는 2011년 사업이 개시된 파생 공중급유기인 KC-46을 포함하지 않는다.
여객기로 운용된 후 FedEx에서 주력 중형 화물기로 운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거의 모든 기체가 퇴역한 상태로, 이 외에도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등에서는 군용 항공기로 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 루프트바페의 A310 MRTT, 캐나다 공군의 CC-150 Polaris가 있다.
A310의 포지션은 이후 직접 계승하는 대체 기종이 없으나, 대륙간 노선이 운항 가능한 광동체 기종으로서는 A330-200이 가깝다. 반대로 중거리 소규모 노선 운항 목적으로는 최대 좌석수가 240석까지 늘어난 A321neo LR로 대체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캐나다의 에어 트란셋(Air Transat)은 보유하고 있던 A310을 모두 A321neo LR로 교체하고 있다. 현재는 경쟁사 보잉이 과거 A310과 767이 차지했던 자리를 노리고 신형 중형기 NMA를 구상중이다.
에어버스 기종 중, 사이드스틱형 조종간이 아닌 요크형 조종간이 장착되어 있는 기종은 A300과 이 기종 뿐이다. 이후 개발된 기종은 모두 사이드스틱을 적용한다.

3. 바리에이션



3.1. A310-200 (A310)


[image]
'''PAN AMERICAN WORLD AIRWAYS, N805PA'''
초기 양산형으로, 단거리 형식이다. 초기형에는 윙팁 펜스가 없었으나, 1985년부터 윙팁 펜스가 붙는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인 -200F와 화물-여객 전환이 가능한 -200C형이 있다.

3.2. A310-300 (A310)


[image]'''HAPAG-LLOYD, D-AHLA'''
최대이륙중량과 항속거리가 증가한 장거리 형식이다. 윙팁 펜스가 존재한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 -300F가 있다.

3.3. A310 MRTT


[image]
'''LUFTWAFFE'''
군용 다목적 공중급유기. EADS의 제안으로 중고 A310을 개조했다. 캐나다 공군과 독일 공군이 각각 2대와 4대를 보유하고 있다.

4. 사건/ 사고


2019년 현재 A310의 동체 손실 사고는 총 11건이다.
아래에 열거한 사고 중 기체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는 없고, 거의 100% 조종사 과실이다.
  • 1994년 3월 23일,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사고[20], 탑승자 75명 전원 사망.
  • 1995년 3월 31일, 타롬 항공 371편 추락사고, 탑승자 60명 전원 사망.
  • 1998년 12월 11일, 타이항공 261편 추락사고, 탑승자 146명 중 101명 사망, 45명 생존.
  • 2000년 1월 30일, 케냐 항공 431편 추락사고, 탑승자 179명 중 169명 사망, 10명 생존.
  • 2000년 7월 12일, Hapag-Lloyd 항공 3378편 착륙 사고. 탑승자 151명 전원 생존.
  • 2006년 7월 9일,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탑승자 203명 중 125명 사망, 78명 생존.
  • 2008년 6월 10일, 수단 항공 109편 추락사고, 탑승자 214명 중 30명 사망, 184명 생존.
  • 2009년 6월 30일,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사고[21], 탑승자 153명 중 152명 사망, 1명 생존. [22]

5. 여담


항공사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인 에어타이쿤 온라인에서는 A310-200F, -300F와 동급의 항속거리와 적재량을 갖춘 항공기가 없어 단종 후엔 많은 유저들을 빡가게 한다.

6. 참고 링크



[1] 밑의 사건사고 항목에도 나오지만, 이 사진의 예멘항공 7O-ADJ 기체는 2009년 6월 30일에 추락했다.[2] 영화 월드워Z에서 주인공 제이와 세겐이 예루살렘 국제공항 에서 타고 도망간 기체. 하지만 감염자 1명이 탑승해서...[3] 중량은 기본 생산분인 WV000 기준으로, 실제 기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4]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5]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6] 환산시 16,132 미국 갤런, 47,940 kg.[7] Operational empty weight. 기체 자중 외에 운항시 필수적인 시설과 소모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내식 카트, 화장실 정화수에 조종사용 매뉴얼까지 들어간다.[8] WV011 144,000 kg.[9] WV013 164,000 kg.[4,800km] [10] MTOW 132t, 237명 탑승 기준.[6,500km] [11] MTOW 142t, 237명 탑승 기준.[7,800km] [12] MTOW 150t, 243명 탑승 기준.[9,540km] [13] MTOW 164t, 240명 탑승 기준.[14] 세부형식별로는 -203/203C (-80A3), -204 (-80C2A2).[15] -304 (-C2A2), -308 (-C2A2 또는 -C2A8).[16] -221 (-7R4D1), -222 (-7R4E1).[17] -322.[18] -324 (PW4152), -325 (PW4156A).[19] A320 패밀리 중 가장 긴 A321의 전장은 44.51m로 A310과 2m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참고로 과거에 판매되었던 협동체기 중 가장 긴 DC-8-61/63/71/73A330-200에 맞먹는 57.1m이며, 현재 운용되는 기체 중에서는 보잉 757-300의 전장이 54.4m로 A310보다 길다.[20] 어린아이가 조종간을 건드리고, 러시아 조종사들이 서방제 기종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이 더해져 일어난 사고다. 자세한 건 본 문서로.[21] 조종사의 공간감각 상실로 인해 혼란 속에서 실속해 바다로 추락. 참고로 에어 프랑스 447편이 대서양에 추락한 지 한 달도 안 되어 또 다시 에어버스사의 비행기가 추락해 이때 에어버스가 상당히 이미지를 많이 까먹혔다.[22] 유일한 생존자는 13세의 여자아이였다. 생존자 수색 중 잔해더미에서 탈진해 있는 상태로 발견되어 구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