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Src/모드

 

1. 스탠드 얼론 (MOD > 독립 게임)
2.1. 싱글플레이어 MOD
2.2. 멀티플레이어 MOD
2.3. 하프 라이프: 어포징 포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한 하프라이프 싱글플레이 MOD[1]


1. 스탠드 얼론 (MOD > 독립 게임)


  • 건맨 크로니클스[2]
  • 데이 오브 디피트
  • 카운터 스트라이크
  • Cry of Fear[3]
  • 팀 포트리스 클래식[4]
  • 스벤코옵 - 맵을 타 플레이어와 함께 역할을 분담하고 협동해 깨나가는 모드. 2016년 초에 스탠드 얼론으로 스팀에 출시되었다.
  • 파라노이아 - 하프라이프의 모드였으나 xash3d[5] 엔진 기반으로 교체 후 독립된 게임이 되었다.

2. 하프라이프 MOD



2.1. 싱글플레이어 MOD


  • 맥기의 모험
  • Afraid of Monsters
  • Azure sheep[6]
  • Big Scientists
  • Brutal Half-Life
  • Case Closed
  • Cenodrome[7]
  • Counter-Life[8]
  • Crack Life [9]
  • Cthulhu[10]
  • ETC 시리즈
  • G-man Invasion
  • Go-Mod [11]
  • Half-Life: Crowbar-Deep in the Dead
  • Half-Life: Dark Matter
  • Half-Life: Echoes
  • Half-Life: Vodka - 똥MOD
  • Halfquake 시리즈
  • Hard-Life
  • Hazardous Course 2#[12]
  • Heart of Evil
  • INSTINCT
  • Need for Energy
  • Parallax
  • Peace like us[13]
  • Point of View[14]
  • POKE 646 시리즈
  • Residual Life (방사선 작업실- 한국)
  • Residual Point (방사선 작업실- 한국)
  • Scientist Slaughterhouse[15]
  • Someplace Else
  • Starlight
  • Sweet Half-Life[16]
  • The Haunted Lab
  • The Long Night
  • They Hunger 시리즈
  • Timeline 시리즈[17] 일반모드, RE-모드, 트러스틱 팩 모드[18][19][20]
  • Uss Darkstar[21]
  • Xeno Project
  • Xen Warrior
  • Zombie Edition
  • Zombie Edition : Residual Agent

2.2. 멀티플레이어 MOD


  • 브레인 브레드[22]
  • Earth's special forces[23]
  • Firearms[24]
  • Half-Life rally
  • Half-screwed
  • Natural Selection
  • PS07/Surprise (한국)
  • Ricochet[25]
  • Rocket Crowbar[26]
  • The Ship 스팀 페이지
  • Science and Industry
  • Scientist Hunt
  • The Specialists
  • The Trenches[27]

2.3. 하프 라이프: 어포징 포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한 하프라이프 싱글플레이 MOD[28]


  • Focalpoint
  • Military Duty[29]
  • Nuclear Winter

[1] 어포징 포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지 않고 그쪽 맵으로만 나온 경우는 제외.[2] 이건 원래 리울프사가 퀘이크 MOD로 개발하다 골드소스 (하프라이프 엔진)으로 옮겨와 상업화시키는데까지 성공했으나... 흑역사가 되고 말았다. 국내에선 한빛소프트가 유통을 맡았다.[3] 개발 당시부터 유명해서 스팀 그린라이트까지 통과되어 하프라이프 없이도 할 수 있게 되었다.[4] 밸브에서 팀 포트리스의 개발진들을 스카웃해서 만든 하프라이프의 멀티 플레이 모드.[5] 골드 소스엔진의 유저 커스텀 버전으로 오리지날 골드소스엔진에서는 불가능한 물반사 효과, 패럴랙스 매핑 등이 구현가능한 것이 특징.[6] 이거에 대해선 참고 바란다. [7] 2018년 TWHL 측에서 오픈 소스와 함께 공개한 컴퓨터 디펜스 MOD. 컴퓨터 디펜스와 다른 점이 있다면 적과 아군 NPC 종류(+수)를 골라 싸우게 만든다는 점이다. 물론 상성이 안 좋은 걸 고르거나 아슬아슬하게 실패해도 죽지는 않고 별도의 처형 방식을 골라야 한다. 또한 최종보스(?) 바니를 가우스 월샷으로 죽이면 그동안의 승리 횟수에 따라 방송 아나운서가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린다.[8] 하프라이프 싱글 레벨을 카운터-스트라이크의 무기로 진행하는 MOD. 일부 무기엔 추가기능이나 바뀐점이 있다 예를 들면 글록의 3연사 기능이 완전 자동연사로 됐다던지.(기관단총처럼 연발로 나간다.) P90에 AUG처럼 줌기능이 생겼다던지. M4A1에 유탄발사기능이 생겼다던지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9] 병맛 모드. 전체적인 진행엔 큰 차이가 없으나 블랙메사 연구소는 우간다에 위치한 흑자지 연구소로 바뀌고, 모든 과학자들이 이상한 생김새로 변하고, 권총이 음경으로 바뀌는데, 가장 압권은 젠이 나치 독일로(...), 최종보스인 니힐란스는 아돌프 히틀러가 된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적들 또한 강력해진다.[10] 크툴루 신화를 다룬 모드.[11] 게리 모드가 하프라이프1에 들어갔다고 보면된다.[12] 스위스인 제작자가 만든 MOD. 다소 마약을 맞은 듯한 레벨구성이고 굉장히 어렵다 레벨디자인 퀄리티가 원작과 맞먹을 정도로 정성이 들어가 있는 싱글플레이 모드로 평가받고 있다. 궤도 엘리베이터라는 특이한 건축물이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13] 볼티간트를 포함한 젠의 외계인들이 블렉메사 사람들과 함께 일한다는 훈훈한(?) 주제의 MOD. 참고로 하프2처럼 직접 싸우지는 않고 하는 일이라곤 단지 막힌 통로나 문을 뚫어주는 기계일뿐!! 참고로 제작자는 일본인.[14] 아주얼 쉿 만든 인원들이 새로 만든거. 케이트를 끌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는 측면에서 전작보다 몇배 낫다.[15] 박사 도축장, 흔히 말하는 박사 학살 MOD는 이걸 뜻한다.[16] Peace like us 제작자가 만들었다. 참고로 엔딩/루트가 우주선/지상으로 나뉘고 제작자는 훗날 남코의 게임기용(!) CS 프로젝트에 참가한다.[17] 블랙 메사 사건의 이후 프리맨의 시간 여행하는 나치를 막는 이야기를 다룬 모드다.[18] 최초로 울펜슈타인 시리즈 게임계인 트러스틱 팩 - 타임라인 프롤로그를 추가했다. 아직은 트러스틱 팩 타임라인 2편, 3편은 미정이다.[19] 이 모드를 실행하려면 하프라이프 트러스틱 크로우바 버전을 필요권장한다. 또는 미디어파일 트러스티 팩-타임라인1을 다운받기[20] 심지어 울펜슈타인 시리즈 팬 게임 버전도 있다!![21] 데이 헝거 제작진의 또다른 작품. 여기는 우주선이 주요 배경.[22] 좀비 아포칼립스를 주제로 한 모드. 뇌빵으로도 불렸다.[23] 드래곤볼 시리즈를 원작으로 한 MOD.[24] 카운터 스트라이크처럼 밀리터리 FPS 장르의 모드로 하프라이프2의 소스 엔진을 사용한 후속작인 Firearms Source가 있다.[25] 밸브가 개발/배포한 실험용 MOD, 플레이어들이 총기대신 접시 가지고 승부를 본다.[26] 빠루에 로켓을 묶어놓고 한번 휘두를 때마다 로켓이 날아가는 엽기 MOD. 제작자는 이 MOD 이외에도 봇도 제작, Natural Selection에서도 봇이 돌아간다.[27] 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참호를 드나들며 총질하는 멀티플레이 MOD, 하지만 릴리즈후 반짝하고 흥하다 사람이 줄어듬과 동시에 거의 도태될까 말까하게 되다시피한 MOD.[28] 어포징 포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지 않고 그쪽 맵으로만 나온 경우는 제외.[29] 어포징 포스 오프닝에서 젠 생명체에게 습격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임무를 부여받은뒤 무사히 착륙한 경우를 가장한 IF 스토리로 보이지만 주인공 이름이 에이드리언 셰퍼드가 아니라 "알렉산더 셰퍼드"인 것과 오프닝의 대사들도 원작과 딴판인 걸 보면 페러렐 월드에 해당한다.플래이 영상. 때문에 여기서 셰퍼드는 블랙메사 직원들과 적대하게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