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반시옷, 반치음, ᅀᅵ, 여린시옷
분류
자음
음성(추정)
z ~ ʑ (추정)
1. 개요
2. 예
3. 이름
4. 발음
4.1. 日母의 논의
4.2. 소수설: ㅅ 불규칙 활용을 표기하기 위함
5. 반치음의 소실
6. 기타


1. 개요



반시옷, 가벼운시옷, 여린시옷, 반치음 등으로 불리는 한글 자모의 하나. 현대 한글에서는 쓰이지 않는 옛한글이다.

2. 예


반치음으로 쓰였던 단어는 가을(ᄀᆞᅀᆞᆶ), 겨울(겨ᅀᅳᆶ), 마음(ᄆ\ᆞᅀ\ᆞᆷ) 등이 있다. 그밖에 단독형에서는 /ㅅ/이었지만 모음과 모음 사이(어중)에 오면서 유성음화되어 ᅀ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오늘날 남아있는 "두어 개"라는 표현이 그 예로, '두서>두ᅀᅥ>두어'의 과정을 겪은 것이다.
日母에 해당하는 한자 중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것을 대충 추리면 兒 儒 仁 然 若 穰 仍 柔 任 耳 乳 忍 壤 蹂 二 閏 讓 認 妊 染 肉 辱 日 熱 入 人 정도[1]이다. 인간(ᅀ\ᅵᆫ간), 일용(ᅀ\ᅵᆯ용), 숫자 이(ᅀ\ᅵ), 윤월(ᅀ\ᅲᆫ월) 등의 문헌상의 출현이 발견된다.
대개 탈락했지만 지역에 따라서 ‘ㅅ’으로 남아 있는 방언도 있다.(‘무:무수, 무시’, ‘여우:여시, 여수’ 등)

3. 이름


오늘날 한글 자모의 유래가 된 훈몽자회에는 '而'로 실렸는데, 'ᅀ\ᅵ'를 적은 것으로 보인다.[2]
훈민정음에는 '반치음'(反齒音)으로 지칭되었는데, 이는 '아음'(牙音, 오늘날로는 연구개음), '설음'(舌音, 오늘날로는 치경음)과 같이 음의 속성을 나타낸 말이라 글자의 이름은 아니다.[3] 애초에 훈민정음에서는 글자 이름을 붙이지 않았었다. 이는 당에서 송 시기 때 정립된 중국 음운학에서 자음을 아/설/순/치/후/반설/반치로 나눈 것을 따른 것이다(중고음성모 부분 참조). 국어학에서는 주로 음소로서의 /ㅿ/에 대해 다루기 때문에 '반치음'이라고 자주 부르는 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치음'과 '시옷'(ㅅ)을 적당히 조합해 '반시옷'이라고 등재하였다.
1908년 국문연구의정안에서 이어지는 현행 안을 따르면 'ᅀ\ᅵᄋ\ᅳᇫ'이 될 것이다.

4. 발음


발음 듣기
현재 학계의 대다수에서는 이 음가를 ㅅ의 유성음유성 치경 마찰음([z])으로 보고 있다. 또ㅣ([i])나 ㅑ, ㅕ, ㅛ, ㅠ 등 경구개 접근음([j])이 결합된 이중 모음의 앞에서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의 표기에서 사용되었다고도 추측한다. 또한 첩해신어왜어유해와 같은 역학서(譯學書)에서 [z]를 표기하는 데 쓰였다.

4.1. 日母의 논의


위에서 말한 것처럼 ㅿ은 한자음을 적을 때에는 日母를 적는 용도로 쓰였다.
음운학이 정립되던 수당 시기 日母의 음가는 ȵ으로 생각된다.[4] 그러나 이 음의 음가가 불안정해서인지[5] 한자가 전파된 각 지역마다 [ȵ]의 음가가 상당히 변하며 지역차가 커졌다. 그 중 일부를 들어 보자면 다음과 같다.
  • 베트남어 및 일본어 오음(吳音): [ȵ] 음가가 그대로 보존
  • 일본어 한음(漢音) 및 민남어: ʑ
  • 표준중국어 : ɻ 또는 ʐ
  • 중국 일부 도시의 방언: z
  • 광동어: j
  • 한국 한자음: ∅
아주 단순하게 변화를 설명하자면 원래 중국어의 일모는 ㄴ 계통의 /ȵ/, 또는 /ȵʑ/로 재구되는 소리였는데 뒤에 ㅈ 계통의 소리인 마찰음 /ʑ/ 계통으로 변화했고 훈민정음의 창제 시기의 중국어는 이 발음이었다.[6] 이후 /ʑ/ 계통 소리가 다시 탈락이 되는 과정을 겪었다.[7]
일본 한자음에서는 한음과 오음이라는 두 종류의 한자음에서 변화 이전과 이후를 관찰할 수 있다. 예컨대 '人'라는 글자는 ジン과 ニン이라는 한자음을 둘 다 갖고 있다.

4.2. 소수설: ㅅ 불규칙 활용을 표기하기 위함


소수설로는 조선 각지 방언의 ㅅ 불규칙 현상을 반영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김동소 외) 즉, 어느 지역에서는 [ㅅ]으로 발음하고 어느 지역에서는 발음하지 않는 어휘에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지 않고 별도의 표기법을 만들어 내었다는 주장이다. 소수설이 있는 이유는
  1. 반치음이 소멸할 때에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탈락하거나(∅[8]) /ㅅ/음으로 전사되었는데, 반치음이 [z]음이었으면 /ㅈ/으로 전환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점.
- 반론: [z]음이라고 해도 전세계적으로 [s]로 전환된 경우도 많다.
  1. 훈민정음 창제 때 가장 여린 음을 근본 자형으로 삼은 것으로 생각되는데, 일모(日母, 즉 [z])가 있었으면 [s]음이 왜 근본 자형이고 [z]음이 근본 자형이 되지 못했는가. 이는 옛이응이 어금닛소리이지만 목구멍소리 계열의 형태를 사용한 것과 이어지는 논의이다.[9]
  2. 좀 더한 근본적인 문제로 고대 국어나 중세 국어에서 유성음을 인정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있다. 일본 한자음에서는 중국어에서 유성음이 있던 시절의 한자음이 오음으로, 무성음화 되던 시절의 한자음이 한음으로 정착되었지만, 한국 한자음에서는 그러한 변별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아가 고대 한국어의 일모 한자는 /z/음보다는 /n/음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김무림, 2009, 국어사연구).
- 반론: 반치음이 중앙어에만 국한된 것일 수도 있다.
순경음 ㅂ에도 대해서 ㅂ 불규칙 활용을 위하는 표기라는 유사한 의견이 있다.

5. 반치음의 소실


탈락시기에 대해서는 두시언해의 간행 시기를 전후하여 소실되기 시작하여 16세기 후반에는 거의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이후에 완전히 없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용비어천가(1445년), 월인천강지곡(1447년), 석보상절(1447년), 훈민정음 언해본(1459년), 초간 두시언해(1481년)에는 ㅿ이 관찰되나 선조판 소학언해(1586년)와 두시언해(1632년)’에는 이전에 ㅿ과 같이 쓰였던 단어들이 모두 ‘ㅇ’으로 바뀌어 있기 때문에 1481년~1586년 사이에 소멸되었다고 보면 된다.
문헌상으로는 18세기까지 나타나지만, 이때까지 남은 표기는 과거의 서적을 재간하면서 오래된 표기가 남은 경우나 아니면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에 국한된다(예: 듸ᅀᅦᆯ[10]).
ㅅ불규칙 용언은 역사적으로 반치음 말음 용언의 흔적이다. '짓다' 등. '줏다→줍다'처럼 뜬금없이 ㅂ불규칙 용언으로 바뀐 것도 있다.
초성으로서의 ㅿ이 제 음가를 가지던 시기에도 종성의 소리는 으로, 이후 으로 더 일찍부터 합쳐졌다. 훈민정음 창제 당대에는 ㅅ 받침과 구분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6. 기타


북한에선 1948년 자로 조선어 신철자법이 제정되면서 ㄷ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의 어간에 ㄷ 받침 대신 용도로 'ㅿ'이 부활했지만(예: 깨달아 → 깨ᄃ\ᅡᇫ아 실생활에서 별로 쓰이지 않았고, 김두봉이 실각하면서 다시 폐지되었다. 사실 유래로 치면 ㅅ 불규칙 활용에 대응하는 것이 나았겠지만, ㅅ 불규칙에는 대해서 ''를 사용했었다.
간간이 외국어의 [z]를 표기하고자 반시옷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실제로 1948년 <들온말 적는법>(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특히 '(ㆄ)', '(ㅸ)', 'ㅿ', ''은 [f], [v], [z], [l] 발음을 표기할 때 사용해보자고 1948년 자로 <들온말 적는법>에서 실제로 규정되기까지 하였다. 새국어생활 제14권 제2호(2004년 여름) 2.3. <들온말 적는법> 그러나 이미 사라진 소리를 외국어 표기만 위해 되살려봤자 구별해서 적기 어려우리라는 반론이 컸기에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24자만을 쓰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옛한글 입력기를 설치했으면 shift+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교육 과정에는 이 자음의 발음을 어떻게 하라는 규정은 딱히 없어서 일선 학교에서 고전 시가 등을 낭독할 때 별별 소리가 다 나오기도 한다. 위 추정대로 [z]로 발음하는 사람부터 'ㅈ', 'ㅅ'으로 읽거나 아예 그 부분만 빼놓고 읽는 사람까지… 예를 들어, 'ᄀᆞ'''ᅀᆞᆶ'''(가을)'을 발음할 때 앞의 'ᄀᆞ'는 다들 그냥 '가', '거'에 가깝게 발음하지만, 뒤의 'ᅀᆞᆶ'은 [zʌl], [d͡ʑʌl], [sʌl], [ʌl] 등이 다 나온다는 얘기.
중국어의 권설음(zh, ch, sh, r)을 표기하기 위해 반치음 기호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1] 간단히 말해서 한어병음으로 r을 포함하는 문자의 대부분.[2] 훈몽자회에서는 'ㅋ', 'ㅌ'과 같이 당시에 종성 위치에서 소리가 나지 않던 자음은 '키'(箕), '티'(治)라고 하였다. 애당초 '기역'(其役), '시옷'(時衣)과 같은 것은 자음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자음의 발음법을 소개하기 위함이 더 컸는데, '읔'(소리는 [윽\])과 같이 'ㅋ'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을 굳이 예로 제시할 이유가 없었다.[3] 반치음과 유사하게 지칭된 발음으로는 '반설음'(反舌音)으로 지칭된 ''이 있다.[4] 단 ȵʑ로 재구한 학자들도 여럿 있으나 다른 성모들은 전부 하나의 자음으로 구성되었는데 日母만 중고한어 시기 자음군이 존재했다고 인정하긴 어려울 것이다는 의견 또한 있다.[5] 실제로 이 음가가 나타나는 한국어에서도 점차 ȵ발음이 사라지고 있다. 구개음화가 빠진 그냥 n발음으로.[6] 한국어에서는 삼짓날(3월 3일)에 'ㅈ'이 나타나는 것이 이 흔적이다.[7] 현대 표준중국어와 현대 한국어 한자음. 중국어에서 이 변화는 한국의 조선시대 후기에 일어난 비교적 최근의 변화이다.[8] 현대 한국어의 초성 이응처럼 음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IPA 기호. 현재 폐지되어 있으나 비공식적으로 자주 통용된다. IPA에 따르면 그냥 빈 칸으로 쓴다. [ \] 이러는 식으로.[9] 훈민정음에서는 이러한 'ㄹ', 'ㅿ', 'ㆁ'을 '이체자'로 부른다. 한자학에서 쓰는 '이체자'와는 의미가 다르다.[10] 옛날에는 '잔듸(잔디)'처럼 구개음화를 피하기 위해 ㅣ를 ㅢ로 쓰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