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옛이응, 꼭지이응, ᅌᅵ으ᇰ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ŋ[1]
1. 개요
2. 발음
3. 특수한 자형
4. 기타

[clearfix]

1. 개요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한글 자모 중 하나. 꼭지이응, 옛이응이라고 부른다. 반치음, 된이응, 아래아와 현재 쓰지 않는 글자이다. 연구개 비음이다. 글자는 사라졌지만 발음은 종성 위치의 이 대신한다.

2. 발음


발음을 유추하기 어려운 다른 세 글자와는 달리 이 글자의 발음은 현대 한국어 발음에 '''버젓이 살아 있다.''' ㅇ은 초성에서는 소리가 없고 받침에서는 [ŋ] 소리가 나는데, 그 소리가 바로 이 옛이응의 소리인 것. 하지만 근대 한국어로 오는 과정에서 초성의 [ŋ] 소리가 탈락되어 쓸 일이 없어져 갔고, 반대로 이런 식으로 받침이 없을 때 종성에 쓰던 ㅇ(그러니까 묵음)은 쓰지 않는 식으로 되면서[2] 그냥 ㅇ이 받침으로 가면 [ŋ] 소리를 내고, 초성에선 소리가 없는 식으로 1인 2역(?)을 하고 옛이응은 퇴장하게 되었다.
사실 문서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이응'이란 이름도 이 옛이응의 이름이다. 정확히는 'ᅌᅵ으ᇰ'으로 초성까지 ㆁ이라 현대 한국어 소리로는 [\(응)이응]에 가깝다. ㅇ은 원래는 종성에 오지 못해서 이름이 그냥 '이'(伊)였다.
물고기를 뜻하는 한자 (어)의 원음은 'ᅌᅥ'였다. 부ᅌᅥ(鮒魚), 사ᅌᅥ(鯊魚), 리ᅌᅥ(鯉魚, 이ᅌᅥ), ᄇᆡᆨᅌᅥ(白魚), 오즉ᅌᅥ(烏鰂魚) 등이 각각 붕어, 상어, 잉어, 뱅어, 오징어(<오증어) 등으로 바뀐 것이 그 잔재. 강아지(+ᅌᅡ지), 송아지(+ᅌᅡ지), 망아지(+ᅌᅡ지) 역시 짐승의 새끼를 나타내는 '-아지'가 본래 '-ᅌᅡ지'였던 것의 잔재이다. 어떤 한자의 현대 한국어 발음이 초성은 ㅇ인데 일본어에서는 행에 있다? 그러면 그 한자의 원래 음은 초성이 ㆁ이었다고 추측하면 대체로 맞는다.
베트남 성씨 Nguyen은 한자로 阮이라고 쓰는데, 현대 한국어에서는 완이나 원으로 읽는다. 阮의 베트남 발음에 그나마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면 ᅌᆌᆫ 정도가 될 것이다. 또 阮을 일본어로는 げん으로 읽으므로 과거 한국 한자음에서도 초성이 ㆁ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3. 특수한 자형


언어학적으로는 , , 와 같은 계통의 음인 연구개음으로, ㆁ는 연구개 비음에 해당된다. 하지만 다른 한글 자음과는 달리 비슷한 소리인 ㄱ, ㄲ, ㅋ와 전혀 다른 모양이라는 것이 특이한 점. 사실 'ㄴ-ㄷ-ㄸ-ㅌ', 'ㅁ-ㅂ-ㅃ-ㅍ'의 관계에 미루어보면 훈민정음은 기본적으로 불청불탁(울림소리)를 글자의 기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원래대로라면 'ㄱ'처럼 가장 간단한 아음의 모양이 /ㆁ/의 글자로 배당되어야만 했다.
이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창제 당시 운서를 비롯하여 /ㅇ/와 /ㆁ/ 사이에 혼동이 있었음을 감안하였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서 이 혼동을 언급하고 있다. 그래도 배치는 ㄱㅋ 바로 뒤에 짝지어져 있다.

唯牙之ㆁ,雖舌根閉喉聲氣出鼻,而其聲與ㅇ相似,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今亦取象於喉,而不為牙音制字之始。

오직 아음 ‘ㆁ’은 비록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고 소리 기운이 코로 나오나 그 소리는 ‘ㅇ’ 소리와 비슷하므로, 운서에서는 ᅌᅴ모(疑母, ㆁ)와 유모(喻母, ㅇ)가 서로 많이 섞이어 쓰인다. 이제 또한 목구멍에서 소리를 취하되 어금닛소리의 글자 만드는 시초로 삼지 않는다.

간단히 말해 ㆁ은 ㄱ 계열의 아음이지만 그 생긴 모양을 ㅇ 계열의 후음에 가깝게 만들었다는 뜻. 본래 설음자(ㄴㄷㅌ)의 기본자인 ㄴ, 순음자(ㅁㅂㅍ)의 기본자인 ㅁ이 모두 비음이듯이, 아음자(ㆁㄱㅋ)의 기본자도 비음인 ㆁ이 되어야 하겠으나, 연구개 비음인 [ŋ]와 성문 반찰음 [ɦ]와의 혼동이 심했으므로, 아음자의 기본자는 ㄱ으로 삼고, 연구개 비음 [ŋ]에 해당하는 자모 ㆁ은 성문 반찰음 [ɦ]인 후음 기본자 ㅇ에서 만들었다는 뜻.

盖喉屬水而牙屬木,ㆁ雖在牙而與ㅇ相似,猶木之萌芽生於水而柔軟,尙多水氣也。

생각건대 목구멍은 물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에 속하므로, ㆁ이 비록 아음에 있지만 ㅇ과 비슷한 것은,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와서 부드럽고 여려서, 아직 물기가 많은 것과 같다.

그리고 여기에 음양오행적 원리를 동원하여 그 근거를 삼았다. 즉 아음은 오행 중 목(木), 즉 나무에 속하고, 후음은 오행 중 수(水), 즉 물에 속하는데, ㆁ이 아음에 속하면서도 글자 모양이 후음에 가까운 것은 나무의 싹이 아직 어릴 때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당시 확고부동하게 자연 원리로 여겨졌던 음양오행에 근거한 글자임을 보이기 위한 이론적 설명으로 보인다.

4. 기타


훈민정음》에서는 흔히 ''으로 지칭된다. 특히 한자로만 이루어진 결(訣)[3] 부분에서는 더욱 그렇다. 業도 당대 음은 'ᅌᅥᆸ'이었기 때문이다.[4]
일부 현대 글꼴(Yoon햇살, Asia땅콩 등)에서는 궁서체 느낌으로 세리프를 넣어 'ㆁ' 모양으로 쓴다. 사실 'ㅇ'과 'ㆁ'을 구별하는 옛한글 폰트에서도 10pt 글자상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상당하다.
옛한글 자판으로는 보통 shift+ㅇ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컴오피스 한글도 이 방식을 쓰는데 이 경우 쌍이응()은 ㅇ을 두 번 연속 누르는 것으로 입력할 수 있다.

[1] '''ᅌᅥ'''[2] 단, 종성에 소리가 없을 때 ㅇ을 표기하던 건 한자음을 표기할 때 쓰는 15세기 동국정운식 표기에 한하고, 한국 고유어를 표기할 땐 종성에 소리가 없으면 원래부터 그냥 비웠다. 문서의 '聲淡而虛'(소리가 옅고 비어있다) 담론 참고.[3] 훈민정음에서 본문이 끝나고 한시 형식으로 내용을 정리한 부분을 말한다.[4] 모양이 비슷한 ㅇ은 欲으로 지칭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