鮮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이 글자는 다음자이므로 나누어서 표기한다.
유니코드에는 U+9BA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FTQ(弓火廿手)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5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魚(물고기 어) 자와 羊(양 양) 자가 합쳐져서 만들어졌다. 설문해자에서는 魚 자의 뜻을 취하고 羴(누린내 전) 자의 소리를 취했다고 설명하는데, 그런 것 치고는 고문(古文)에서 魚+羴의 형태가 나타날 법한데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갑골문에서는 이 글자가 등장하지 않으며, 금문에서는 주로 羊 자 밑에 魚 자가 그려져 있는 형태로 등장한다. 간혹 魚 자 오른쪽에 羊 자가 있는 형태가 나오는데, 이것이 전서 때부터 계속 이어져 현재의 자형에 이르게 되었다. 회의자로 보는 시각에서는 '물고기'와 '양'을 합하여 '신선하다', '싱싱하다'라는 뜻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원래는 주로 '생선이 싱싱하다' 혹은 '싱싱한 생선'이라는 의미로 쓰였으나, 이후 생선 이외에도 이 글자를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의미가 확장되어 '신선하다', '곱고 화려하다', '선명하다'라는 의미로도 쓰이게 되었다. 한편 한문에서는 이 글자를 상성(上聲)으로 읽어, '적다'(≒少)라는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이 글자는 어느 의미로 쓰냐에 따라 다른 이체자를 가진다. 평성(平聲)으로 읽어 '신선하다' 따위의 의미로 쓰일 때는 鱻(魚 3개)라는 이체자를 가지고, 상성으로 읽어 '적다' 따위의 의미로 쓰일 때는 尟이나 尠이라는 이체자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