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光云電子工業高等學校
Kwangwoon Electronics Technical High School '''
[image]
'''교훈'''
'''부지런하자 · 아끼어 쓰자 · 찾아서 하자'''
'''개교'''
<colbgcolor=white,#191919> 1934년 5월 20일
'''유형'''
특성화 고등학교
'''성별'''
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광운학원
'''교장'''
이상종
'''교감'''
이한주
'''교화'''
개나리
'''교목'''
은행나무
'''학생 수'''
710명 (2019.5)
'''교직원 수'''
79명 (2019.5)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북부)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광운로1길 24 (월계동)
'''홈페이지'''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홈페이지

1. 개요
2. 교가
3. 상징
4. 교훈
5. 학과
5.1. 컴퓨터전자과
5.2. 전자융합과
5.3. 네트워크통신과
5.4. 컴퓨터전기과
5.5. 모바일소프트웨어과
6. 시설
7. 축제
7.1. 2017년
7.2. 2018년
7.3. 2019년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지하철
8.2. 버스
9.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0. 여담


1. 개요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사립 전문고등학교이다.
학교의 연혁 및 변천은 1934년 5월 20일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에서 조광운(曺光云)박사에 의해 조선무선강습소(朝鮮無線講習所)로 설립되었다. 1940년 조선무선공학원(朝鮮無線工學院)으로 개칭하였다가 광복 후 1948년 1월 조선무선중학교로 정식인가되어 조광운박사가 초대 교장 겸 재단 이사장으로 취임을 하였다.1952년 8월 학제개정에 따라 동국무선공업고등학교와 남대문중학교로 개편되었고, 1962년 동국전자공업고등학교(東國電子工業高等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1년 육군과 해병대의 기술위탁생 교육을 위탁받아 군 통신 계통에 기여함으로써 이후 전국의 공업고등학교의 기술위탁생 교육의 계기가 되었다.
1964년 10월 광운대학교 부속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3년 8월주중에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이전하였다. 2007년 1월 기능영재반(동력제어ㆍ컴퓨터제어ㆍ정보기술ㆍ웹디자인ㆍ통신설비ㆍ전자로봇)을 창단하여 대회에서 각종 상을 얻어 학교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학교의 부지가 광운대학교 바로 옆에 위치해있어 넓은 편에 속한다.

2. 교가


하늘 높이 솟아오른 전자탑 위에
희망에 찬 아침햇빛 찬란도 하다
학우들아 우리들은 전자과학도
이 강산에 과학의 꽃 피워놓으세
광운전자 빛나는 그 이름 광운 학원 영원토록 빛나리

3. 상징


  • 교목 : 은행나무
  • 교화 : 개나리

4. 교훈


부지런 하자, 아끼어 쓰자, 찾아서 하자 가 학교의 교훈이다.[1]

5. 학과


컴퓨터전자과
전자융합과
네트워크통신과
컴퓨터전기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44명
44명
44명
44명
44명
  • 컴퓨터전기과와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는 도제제도를 시행중이며 1학년 말 도제를 결정할 수 있다. 도제반은 신청인원에 따라 다르다.
  • 네트워크통신과는 2018년 군특성화제도[2]가 새로 도입되었다. 2020년 군특성화사업을 총 두개 반으로 편성이 가능해 짐에 따라 네트워크통신과 두개 반 모두 군특성화로 인원을 모집한다.

5.1. 컴퓨터전자과


인공지능 및 융합 IoT 육성학과
인공지능 플랫폼 운영, 융합 IoT, 회로설계 기술인 양성
교육분야
  •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산업용전자기기하드웨어개발, 로봇소프트웨어개발, 시스템 프로그래밍, IoT융합서비스 기획, 인공지능개발, 정보통신기기하드웨어개발
대표적인 취득가능자격증
  • 유비쿼터스(IoT)관리사
  • LED 응용설계사
  •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정보처리기능사
  • 3D 프린터 운용 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 의료전자기능사
  • 리눅스마스터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은 전자기기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5.2. 전자융합과


대표적인 취득가능자격증
  • 전자기기기능사
  • 정보기기운영기능사
  • 정보처리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전자시스템제어사
  • 전자캐드기능사
외 다수의 자격증이 있다. 모든학과중에 제일많은 자격증을 취득할수있으며 가장 평범하면서 좋은 학과이다. 내신 80중반까지 들어갈 수 있는 학과이다.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은 전자기기기능사로 전자과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한다. 2017년 기준 취업률이 가장 높은 학과이다.
2020년도부터 전자로봇과에서 전자융합과로 변경되었다.

5.3. 네트워크통신과


대표적인 취득가능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무선통신사
  • 정보처리기능사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외 5개가 있다. 내신 90후반까지 들어갈수있는 학과이다. 모든학과중에 제일 들어오기 쉬운과 이지만 전문과목의 진도가 다른과들에 비해 앞도적으로 많고 빠르다. 군특성화제도가 시행중이며 군통신부사관으로 갈수있다.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은 무선설비기능사를 취득한다[3]
2020년부터 전자통신과에서 네트워크통신과로 변경되었다.

5.4. 컴퓨터전기과


대표적인 취득가능자격증
  • 전기기능사
  • 승강기기능사
  • 전기철도기능사
  • 태양광발전설비기능사
  • 생산자동화기능사
외 2개가 있다. 내신 70후반까지 들어갈수있는 학과이다. 컴퓨터전자과와 더불어 들어가기 힘든과 이다, 이유는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 때문인것으로 추측된다. 도제학교 시행 학과 이며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은 전기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전문교과 실습은 모든학과중 유일하게 3년동안 변함없이 진행된다[4]

5.5. 모바일소프트웨어과


대표적인 취득가능자격증
  • 정보처리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PC활용능력
  • 정보기술프로젝트관리전문가
  • 정보기술자격증(ITQ)
외 1개가 있다. 2016년에 만들어진 신설학과 이며 내신 80후반까지 들어갈수있는 학과이다 의무검정으로 따는 자격증은 정보처리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6. 시설


본건물, 체육관, 음악&체육실(예지관), 실습실(창조관), 2016년에 지어진 신관(근면관)이 있다. 본건물은 총 5층으로 되어 있다. 근면관은 총 5층으로 본관과 똑같다, 예지관은 총 1층으로만 이뤄져있으며, 창조관은 총 5층 구성. 또한 본관의 노후된 화장실이 리모델링 공사가 이루어져 세련된 화장실로 바뀌었다, 또한 상당한 크기의 풋살장 2개가 있으며 농구장도 있다.
여기에는 짧은 이야기가 있는데, 화장실 공사로 인해 2017년 여름방학은 1주일 연기되었지만 그 이후에도 약 2주동안 공사가 지속되어 원활한 수업진행을 못했었다. 미뤄진 1주일은 겨울방학에서 가져왔고 그결과 2017년 봄학기엔 약 2주동안 학교에 다녔어야만 했었다.
2017년 9월 18일에는 창조관 뒤편에 있는 광운대학교 기숙사 건물에 새로 들어선 편의점 CU 마트가 사실상의 매점 역할을 하는 중이다.
2019년 상반기[5] 부터 급식실 신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0년 5월 15일 완공되어 현재 학생들이 식당을 이용하고 있다. 1층은 조리실 2층은 식당으로 2층 통로로 나올 시 창조관으로 바로 이어진다.
https://youtu.be/VU1bjrJ47X8

7. 축제



7.1. 2017년


5월 26일에 진행되었다, 외부인의 출입이 안되었고 오전에는 동아리와 각반마다 운영하는 부스체험이 진행되었다 점심 식사후 오후에는 광운대 동해문화예술회관대강당에서 방송부와 학생회, 창의체험활동부 주체로 진행되는 공연을 진행했다, 공연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공연에는 재학생밴드부, 재학생댄스팀, 로봇기능영재동아리의 로봇댄스, 문화고등학교 소릿결팀의 노래, 광운공고일렉응원단의 치어리딩, 선생님의 노래무대, 대일관광고인성여자고등학교에서 온 댄스팀이 있었다.

7.2. 2018년


9월 21일에 진행되었다, 외부인의 출입이 안되었고 오전에는 동아리와 각반마다 운영하는 부스체험이 진행되었다 비가오는 바람에 야외에서 진행하는 부스는 장소이동이 되거나 취소된 부스도 있었다, 점심 식사후 오후에는 광운대 동해문화예술회관대강당에서 방송부와 학생회 주체로 진행되는 공연을 진행했다, 공연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공연에는 재학생밴드부와 선생님의 합동공연, 재학생장기자랑(랩,발라드), 로봇기능영재동아리의 로봇댄스, 신현고등학교대일관광고,중화고등학교, 박현, 연합댄스팀 라온과 리브어스의 댄스공연이 있었다.

7.3. 2019년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학교 위치상 광운대학교 바로 옆에 붙어있기 때문에 교통이 아주 편리하다. 학교 정문까지 바로 가는 버스도 있거나 광운대역(구 성북역) 이나 석계역 에서 내려 버스[6]를 타거나 도보로 걸어가도 될 만큼 가까운 거리이다.
  • 광운대역에선 버스로 약 5분, 도보로 10분정도 걸리고 석계역에선 버스로 약 8분, 도보로 15분정도 걸린다.

8.1. 지하철



8.2. 버스


  • 학교 앞 : 261, 1017, 1137, 1140, 성북14-1
  • 광운초교 정류장 : 103, 145, 172, 1111, 1218
  • 참고로 광운초교 건너편 정류장에는 8112번도 정차하지만 아침 출근시간대에 한해서 성신여대입구역 방향 편도운행인데다가 기점인 월계2교.참누리아파트 정류장과 1정거장 거리이기 때문에 통학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없다.

9.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0. 여담


과거에 하복교복 상하의 색상이 전부 베이지색 계통이여서(정확히는 상의가 베이지색, 하의가 카키색 이였다.) 디자인이 좀 안습이였다(...) 교복보다는 공장작업복에 가까울 정도 였다고... 또한 1998년 까지 춘추복에 학교로고가 그려진 펜던트를 착용했었다. 1999년 부터 펜턴트에서 넥타이로 변경되었다, 2020년부터는 하복이 사라지고 생활복이 도입될 예정이다, 생활복의 디자인은 하복의 디자인[7]을 이용할 예정이라고 한다[8]
급식실 신축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좁아서 수용인원이 적어 수업시간에 밥을 먹는 경우는 이제 추억속으로 사라질듯하다. 매주 금요일에는 맛있는 급식이 나오며 급식의 양은 적절한 수준이다. 맛은 그날 그날 편차가 심하지만 다른 고등학교에 비해서는 퀄리티가 좋고 맛있고 잘나오는 편이다.
내신 70% 정도면 모든 과에 들어갈 정도고 80% 안팎 이여도 어찌어찌 가능한 편이다. 무엇보다 특성화고등학교 인지라 수업 시간에는 조금 시끄러운 편인데 일부 선생님들 덕분에 면학분위기는 잘 조성되고 있는 편이다. 또한 장학금 정책과 여러가지 활동이 많아 의외로 수준이 그렇게 까지 낮지는 않다.
특성화고등학교인지라 진학보다는 취업 비중이 높은 편이다. 특히 이 학교에서 학과 최 상위권에만 들면 삼성전자, 한전등에 취업이 가능하다. 매년 3~10명 정도가 공무원이나 공기업과 삼성 등의 대기업에 취직한다. 취업 처의 문의도 많아 최소 학과 인원 중 중간 안에만 들면 취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자신의 노력에 모든 게 달려있는 지라 장담은 못하겠다.[9]
두발 자유화가 시행되면서 장발 및 염색, 파마를 제외한 모든 머리스타일이 허용된다. 2017년 까지는 흔히 귀두 컷이랑 짧은 머리 만으로 두발 규정을 강하게 잡았지만 투블럭만큼 까지는 허용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선도 부와 학생회에서 본격적인 회의를 했고 그 결과 투블럭 까지 허용된 것이다, 그 이후 점차 규정이 풀리면서 2019년부터는 두발 자유화가 되었다. 그 외에는 담배금지선도학교를 운영 중이라 학교 자체가 아주 클린 하다 담배를 피는 학생은 극히 있지만 거의 티가 안 나는 편
아직도 몇몇 선생님들은 매를 가지고 때린다. 대체적으로 특성화 과목 담당 선생님들이 그러시는 편이다. 지각을 하면 선생님들 마다 다르시겠지만 대표적으로 지각 비를 걷는 반도 있고 때리는 반도 있고 등교 시간을 더 빨리 조정하는 반도 있고 교실 청소를 남아서 하는 반도 있다. 여기서 착각하면 안 되는 게 옛날처럼 멍이나 피 멍들 정도로 때리는 것이 아닌 많아 봐야 5대 정도 가볍게 때린다는 것. 그러니 너무 떨지는 말자[10].
1988년 2월 세계최초로 한국인 고교생으로 이루어진 교내 OB등반대 [11]에서 히말라야 해발 7천7백43m의 고줌바캉봉 등정에 성공했었다. 교내 안에 등정 기념비가 새워졌다. [출처: 중앙일보] 두 고교생 고줌바캉 등정관련기사

[1] 참고로 같은 재단인 남대문중학교와 순서를 빼면 매우 똑같다.[2] 자세한건 군특성화고등학교 문서참고.[3] 여담이지만 추후 군대에서 통신병으로 갈수있는 혜택이 주어진다고 한다.[4] 전기기능사하나 따기 위해서지만 그럴수밖에 없는게 저거하나면 사실상 공업계에서는 성공한편 자세한 내용은 전기기능사 문서참고.[5] 정확히는 8월26일[6] 대표적으로 261번[7] 흰색과 검을색을 이용한 세로,가로 줄무늬[8] 아이러니 하게도 2016년까지는 심플하게 검은색을 베이스로, 회색을 보조색으로 한 생활복이 있었으나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생활복이 없어졌다 그래서 셔츠로 된 하복만 입고 다녔다.[9] 최근 진학률은 상승하고 취업률이 하락하고 있다[10] 현행법 상 체벌은 금지되어 있지만 완전한 금지가 아닌 때리더라도 10대 정도는 가능하며 상처가 안 나면 괜찮다. 고로 위법이 아니다.[11] 이후 산악부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0년대 초반에 해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