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특성화고등학교
1. 개요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주관하여 군인을 희망하는 예비고등학생들을 모집하여 대한민국 국군에 필요한 인재로 양성하는 학교이다. 줄여서 ''''군특''''이라고도 많이 불리운다. 대부분의 군특성화학교들은 특성화 고등학교이며, 학교 전체가 군특성화학교가 아니라 일부 과만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운영되는 군종은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3군 모두 운영되고 있고, 2020년 대한민국 해병대 군특성화고등학교도 운용되고 있다.
운용되는 병과는 정보통신, 궤도정비, 총포정비[1] , 공병, 수송정비, 기갑조종, 자주포병, 헬기정비, 탄약관리, 방공, 조리, 기관정비, 상륙장갑 등 폭 넓게 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우수학교 5개교는 공군에 경북항공고등학교, 육군에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서울로봇고등학교, 진안공업고등학교가 있다.
2019년에 접어들면서 총 9개교가 추가로 발탁됨에 따라 전국 23개교가 운영되고 있었고, 2021년 사업을 확장해 현재 44개교가 군특성화고등학교 사업에 뛰어들었다. 학교 목록은 아래 참조
2. 진로
대부분 장기 부사관을 목표로 하는 학과들이 대부분이다.
- 1~2학년은 군특예비단계로 분류되고 고등기초교육과 전공에 맞는 기초실습등을 배우며, 3학년에는 정식 군특성화 학생이 되어 전공(주특기)이 확실시되며 그에 맞는 군의 전문적인 공부를 하게 된다.
- 학교 졸업 후 임기제부사관[2] 으로 입대하여 33개월동안 병사와 전문하사로 근무하게된다.[3]
- 병 복무와 동시에 EMU라는 제도로 군 특성화고 졸업 후 전문병(유급지원병)으로 입대하고, 임기제부사관으로 임명된 인원에 대한 대학 전문학사 학위취득 기회를 제공 받는다.
- 전문하사로 복무하고 나면 직업군인과 전역으로 길이 나뉘게 되며, 전역 시에는 전공에 맞는 회사에 우대적으로 취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또한 전문하사 전역 후 졸업한 학교에서 운영하는 취업지원을 받을수가있다.
3. (전국 소재) 군특성화학교 목록
[4] 굵은 글씨는 2021년 현재 마이스터고등학교임.
--
- 강호항공고등학교. 전라북도 고창군 소재 (대한민국 공군 | 항공정비)
-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정보통신 / 궤도정비)
-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상북도 영주시 소재 (대한민국 공군 / 대한민국 육군 | 항공정비 / 헬기정비)
-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공군 | 차량운용 / 공병)
-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금파공업고등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궤도정비 / 정보통신)
- 남원제일고등학교. 전라북도 남원시 소재 (대한민국 해군 | 조리병)
-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동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총포정비)
-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대전광역시 동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궤도정비 / 정보통신)
-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총포정비)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광역시 동래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서산공업고등학교. 충청남도 서산시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공병)
- 서울로봇고등학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드론(예정)])
- 성동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소재 (대한민국 해군 | 선박 / 기관정비)
- 송파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송파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공병 / 정보통신)
- 수원공업고등학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신라공업고등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해병대 | 차량운용 / 정보통신)
-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충청남도 예산군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차량운용 / 공병)
-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인천광역시 중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천광역시 연수구 소재 (대한민국 해군 | 선박)
-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무기정비 /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방공운용)
- 진안공업고등학교. 전라북도 진안군 소재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해병대 | 공병 / 정보통신)
-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강원도 춘천시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궤도정비)
-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강원도 태백시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궤도정비 / 총포정비)
- 한양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소재 (대한민국 육군 | 차량운용)
- 증평공업고등학교. 충청북도 증평군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공병)
- 대전공업고등학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수송정비 / 기갑조종)
-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전라북도 임실군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조리병)
- 상서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 (대한민국 공군 | 조리병)
- 부평공업고등학교. 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자주포병)
- 용산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 (대한민국 해군 | 정보통신)
-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소재 (대한민국 해군 | 정보통신)
-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상북도 안동시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안산공업고등학교. 경기도 안산시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정보통신)
- 영천전자고등학교. 경상북도 영천시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해병대 | 정보통신)
-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경상남도 김해시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공군 | 공병)
-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동구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수송정비)
- 영남공업고등학교. 대구광역시 수성구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기갑조종)
- 조일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동구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기갑조종)
-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자주포병)
-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경상북도 영주시 소재 ([2021신규] | 대한민국 육군 | 조리병)
-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전라남도 장흥군 소재 (대한민국 육군 | 기갑조종)
- 증평공업고등학교 충청북도 증평군 소재 (대한민국 해병대 | 공병
4. 장점
- 고등학교 3년동안 자격증 준비와 학교마다 다른 군의 주특기 교육을 미리 받기 때문에 다른 병사들보다 더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입대할 수 있다.
- 군 복무를 의무적으로 해야하며, 고등학교에서 미리 단체생활을 경험하여 군대의 환경에서 쉽게 적응할 수 있다.
- 졸업 직후 유급지원병으로 입대를 하기 때문에 이른 나이에 군에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또한 상병 진급 후 e-MU 정책[5] 으로 2년제 전문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의무복무까지 모두 마치고 나면 임기제부사관로 임관하여 약 18개월 동안 복무한다. 중간에 신분전환을 신청하여 단기부사관으로 신분을 바꾸어 6~48개월 선택 근무 후 장기복무까지 가능하다.
- 특수한 교복[6] 을 입는데, 학생들 사이에서 상당히 맵시있고 멋있다는 평이 많다.
- 실제 군에서 장교로 근무하신 선생님들께서 학교 내에서 근무를 하고 계시기 때문에 군에 관련된 내용 중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믿고 질문할 수 있다.
5. 단점
군 관계자들이나, 군특성화과정을 밟은 사람들의 평가는 꽤 갈리는 편이다.
-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매년 군특성화고 관련 정책을 개정하면서 교육과정이 바뀌어 안정적인 시스템이 없다.
- 전문하사 전역 후 취업 지원과정도 국방부와 각 학교선에서 지원이 부실한 경우도 많다.
- 군 입대 후에 유급지원병이 중도포기를 하면 그대로 숙련인력이 사라지면서 공백이 생겨 지휘관 입장에선 호불호가 갈린다.
- 임관 후에도 전문하사 의무복무기간이 15개월로 정해져있기때문에 그 이상 복무를 하려면 전문하사 본인이 직접 지원해야한다.
- 따로 지원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역하기 때문에 간부 인력이 빠르게 손실되어 지휘관이나 간부입장에서는 좋지 않다.
- 만약 신분전환을 해서 단기하사 신분이 되더라도 같은 연차의 하사들과 장기복무 경쟁을 해야해서 일치감치 전역을 택하는 인원들이 많은 실정이다.
- 군특성화고 출신 병/하사라고 해서 무조건 잘하는 것도 아니고, 다르게 생각해보면 고등학교 졸업 후 첫 사회생활을 군대에서 시작하는 것이여서 적응하지 못하는 인원도 많은 편이다.
- 바로 현역 부사관으로 입대하는 친구와 군특성화고를 졸업하고 훈련소로 입대하는 친구 사이 계급 차이가 존재한다.
[1] 해병대는 총포정비가 아닌 무기정비로 확대개편되었다. [2] 유급지원병 유형-1로 계약이 된다.[3] 입대시 3년 의무복무여서 병 복무기간이 단축되면 그만큼 전문하사 근무기간이 늘어난다. 다만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정책이 바뀔수도 있으니 유의. 단축 전엔 병 21개월 + 하사 15개월이였다. 현재 병 18개월 + 하사 6 ~ 48개월이다[4] 가나다 순으로 정렬[2021신규] A B C D E F G H I J [5] 정책 초기엔 전문하사 임관자만 응시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상병부터 직업군인까지 폭넓게 확대되었다.[6] 학교에서는 제복이라고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