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아벨라

 

기아자동차소형차 모델
프라이드

'''아벨라'''

리오
[image]
'''Kia Avella[1] / Ford Aspire, Festiva'''[2]
1. 개요
2. 상세
2.1. 북미 사양
3. 평가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



'''세계감각, 세계기술'''

'''내 스타일, 아벨라'''

'''소형세단의 Big Car!'''[3]

기아자동차에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 판매했던 전륜구동 소형 승용차. 프로젝트명은 WB.

2. 상세


포드 - 기아자동차 - 마쓰다의 합작으로 탄생한 프라이드(해외 수출명 포드 페스티바 / 마쓰다 121)가 호평 받으면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같은 합작 체제로 기획된 프라이드의 자매 모델. 전체적으로 프라이드를 다듬어서 발전시킨 형태이며, 프라이드와 마찬가지로 포드 아스파이어와 페스티바 신형으로 판매되었다. 디자인 작업에는 한국계 미국인 디자이너인 리처드 정[4]이 참여했다.
기아자동차도 아벨라를 프라이드의 후속 모델로 내려다가 프라이드의 인기가 너무 좋아 후속 모델이 아닌 별도 모델로 병행 생산해서 판매했다.[5]
직렬 4기통 1.3리터와 1.5리터 가솔린 EGI 엔진을 얹었으며, 3/5도어 해치백 모델이 먼저 출시됐다.[6]
[image]
1995년에 아벨라 델타라는 이름의 세단형 차종도 출시되었다. 세피아에 들어가는 105마력 1.5리터 DOHC 엔진 사양도 있었으나#, 소리소문없이 아주 극소수로만 팔렸으며 마이너체인지를 거친 이후에는 삭제됐다. 가벼운 차체에 당시로써는 제법 우수한 동력성능의 엔진을 얹어서 성능 자체는 꽤나 뛰어났기에, 현재 몇몇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환상의 차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
[image]
[image]
아벨라 해치백 후기형
아벨라 델타 후기형
1996년에서 1997년 사이 한차례 마이너체인지를 거친 후, 1999년 11월에 후속 차종인 리오가 출시되면서 프라이드와 함께 단종되었다.[8][9]

2.1. 북미 사양


[image]
포드 아스파이어 문서 참고

3. 평가


하지만 전체적인 평가는 프라이드에 비해 영 좋지 않았다. 일단 잔고장이 적고 주행성능이 좋았던 프라이드에 비해 자잘한 문제가 좀 더 있었지만 결정적인 문제는 낮은 주행성능. 전작인 프라이드가 가벼운 차체에 적절한 엔진으로 출발 가속력과 등판 능력이 좋은 터라 경쾌한 드라이빙을 구현했다는 호평을 받았는데 아벨라의 경우 플랫폼은 기존 프라이드 플랫폼을 이용했음에도 차체가 커져서 공차중량만 100kg 이상 늘어났는데도 불구하고 프라이드와 똑같은 엔진[10]을 장착하여 주행 성능을 크게 떨어뜨렸기 때문이다.[11] 반면 경쟁 차량인 현대 엑센트는 포니엑셀과 프레스토 부터 쓰였던 미쓰비시 미라지 플랫폼을 버리고 현대자동차 최초의 자체개발 플랫폼을 적용하면서 플랫폼 부터 백지 상태에서 새로 개발한 신규 플랫폼을 적용한데다가, 전작인 엑셀의 엔진을 버리고 12밸브 알파 엔진을 장착하여 상대적으로 주행성능이 전작인 엑셀에 비해 향상되었기 때문에 비교되었다.[12][13] 기존 프라이드의 플랫폼이 잘 만들어진 플랫폼이고 프라이드 부터 쓰였던 마쯔다 B시리즈 엔진 자체도 잘 만들어진 엔진이기는 하지만 아벨라가 등장한 시점에서는 10년 가까이 흘러서 기술적으로 진부화된 시점이었으나, 이에 반해 현대 엑센트는 플랫폼 부터 엔진, 변속기 까지 모든것을 아예 백지상태에서 새로 개발한 것을 썼던 만큼 비교되기도 하였다.
이 상황을 탈피하고자 세피아에 달렸던 1.5리터 SOHC 엔진을 장착한 아벨라를 출시시켰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 게다가 세금에 민감한 소형차 구매층들에게 1.5 엔진은 별로 메리트를 느끼게 하지 못해 판매량도 적었다. 결국 2위 자리를 두고 대우에서 씨에로의 출시로 인해 소형차 시장에서 박터지게 싸웠으나, 적진 대우에서 후속인 라노스를 내보낸 이후로는 아주 제대로 밀려버리고 말았다.
분명히 프라이드의 후속이자 상급 모델로 나온 고급형 소형차인데, 세단 모델 델타의 낮은 등급에 타코미터조차 없는 멍텅구리 계기판을 박아넣는 원가절감을 당했다. 분명 더 오래 되고 아랫급인 프라이드조차 세단(베타)과 왜건에는 제대로 된 계기판을 달아서 팔았다. 멍텅구리 계기판은 pop이나 young같은 최저가 해치백 트림에나 달아서 판매했는데, 상급 차종이라는 차량의 패키징이 이러니 악평이 나올 수 밖에 없다.

4. 여담


  • 아이리스 광화문 촬영에서 나오기도 했다.
  • 처녀가 타면 안 되는 차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다.(아벨라 = 아밸라 = 애밸라 = 임신할라)
  • 배우 임형준이 대학 시절 타고 다녔던 차라고 한다. 강남에 몰고 나가면 젊은 여자들이 졸졸 따라다녔다고.(...)[14]
  • 이 차가 나온 지 21년 후 아벨라 델타의 리어 마스크 디자인을 오마주한 차가 나왔다. 물론 믿거나 말거나.[15]
  • 호주 유튜버 HowToBasic의 동영상 중 한 편에 이 차가 포드 아스파이어로 나온다.# [16]
  • 동 시대 차량인 프라이드에 비해서 라이트류의 품질이 좋지 않았던 건지, 현재 돌아다니는 차량들을 잘 비교해 보면 프라이드의 경우 아직도 테일램프나 헤드램프 커버의 빛바램이 별로 없는데, 아벨라는 변색이 유독 심한 것을 볼 수 있다.[17]

5. 둘러보기





[1] 라틴어인 AVELO와 ILLA의 합성어이며, AVELO는 갖고 싶은, 소유하고 싶은의 뜻이고 ILLA는 그것을 뜻한다.[2] 일본 등 몇몇 국가에서는 페스티바로 판매되었다.[3] 아벨라 델타 출시 때 사용했던 캐치프레이즈.[4] Richard Chung. 당시 북미 소형차 디자인 스튜디오 소속[5] 개발시에나 출시 후에도 공식적으로도 후속 모델이 맞고, 단지 프라이드를 단종하지 않고 계속 생산하였을 뿐이다. 액션 카메라 전문 화사인 고프로 처럼 최신 모델이 나와도 직전 모델을 한동안 생산하면서 저렴하게 파는 정책을 쓰는 회사도 있지만, 후속 모델이 나와도 단종하지 않고 같은 지역에서 파는 것은 자동차 회사에서는 극히 드문 케이스. 다만 구 모델을 해외 다른 지역으로 생산 기지를 옮기거나, 수출 전용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일은 많이 한다. 중국에서 이런 사례가 흔한데, 모기업인 현대의 아반떼는 XD부터 삼각떼까지 모든 모델이 판매되었었다. 현재 가솔린 모델로 팔리는 아반떼는 링둥(삼각떼)뿐이지만, XD는 여전히 현역으로 돌아다니고 있으며 웨둥으로 판매된 HD는 웨둥의 후속이 나오면서 단종되었으나, 전기차의 모습으로 아이오닉을 대신하여 살아남고 있다. 또한 라페스타는 랑둥의 플랫폼을 쓴 준중형 세단이기 때문에 랑둥의 스킨체인지 모델로써 간접적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스포티지의 경우 2세대부터 KX5라는 이름을 가진 현행 스포티지는 물론 스포티지 이름을 계승한 즈파오가 같이 판매되고 있다.[6] 원래 프라이드, 아벨라, 후속인 라오까지 디자인이나 설계나 해치백이 기본형이다. 일본, 미국에서도 포드, 마쓰다 브랜드로 팔린 차인데 해외에는 해치백형밖에 없다. 시초가 된 프라이드 세단형인 프라이트 베타는 국내에서 디자인-설계해 나중에 만든 것으로, 그걸 본 포드측 사람들이 놀랐을 정도.[7] 해치백형 소형 FF차량은 뒤가 짧은 만큼 앞뒤 바퀴 중량 배분이 안 좋은 것이 대부분인데, 뒤를 늘이면 무게 배분이 좋아진다. 대신 무거워진만큼 차가 힘이 딸리는 문제점이 생기는데, 엔진을 강한 것을 쓰면 그 문제가 해결되므로 성능 좋은 차량이 나왔던 것. 그런데 차체를 늘이고 엔진은 강한 것을 얹으면 대신 비싸지므로, 대량생산되어 원가가 낮은 한 등급 위 차량을 사는 게 낫다. 그렇다. 동사에는 프라이드와 아벨라의 상위 호환 성능을 가진 세피아가 있고 2010년대 기준으로 비슷한 상황인 엑센트와 아반떼의 기동성과 중량대비 출력 등을 비교하는 식으로 변호해주자니 세피아도 소형차급으로 가볍고 기동성이 좋다. 오히려 토션 빔을 사용한 아벨라보다 멀티링크가 채용된 세피아쪽이 훨씬 우위. 그러니 굳이 같은 세금 내는 아벨라 1.5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거의 없다...[8] 프라이드 영은 97년 프라이드 출시 10주년 기념 타이틀을 달고 출시하여 다른 프라이드들과 마찬가지로 99년까지 생산했다. 리오가 출시되면서 다같이 단종되었다.[9] 북미 사양은 1997년 9월 26일을 끝으로 단종되었다.[10] 프라이드 FS에 사용된 73마력짜리 1.3리터 엔진. 프라이드에서 주종을 이루었던 69마력 엔진보다 출력이 조금 증가했지만 떠맡아야 할 차체 중량이 크게 늘었다.[11] 이는 수출선인 미국 포드 본사의 요구였다. 고성능 고출력 차량이 즐비한 미국 상황에서 전작인 프라이드의 주행성능 또한 대한민국 한정으로 경쾌한 것이지 미국에서는 그저 그런 컴팩트카였다. 그러다 보니 포드에서 아벨라(아스파이어)에 요구한 것은 '''연비'''지 주행 성능이 아니였다. 실제로 포드는 기어비까지 프라이드와 같이 하려 했다. 하지만 그렇게 세팅하면 차가 아예 굼벵이가 되어 버린다고 주장한 기아자동차의 반발로 기어비는 개정되었다.[12] 엑센트 1.5리터 SOHC 가솔린은 96마력으로 1994년 당시 소형 엔진으로는 꽤 훌륭한 성능이었다. 무게 역시 가벼워서 연비도 괜찮았다.[13] 최고속도로 비교해도 엑센트는 180km/h까지 낼 수 있었지만 아벨라는 165km/h가 한계였다.[14] 라디오 스타 김구라강성진임형준김민교 편 참조.[15] 보는 것에 따라 SM5 2002년 모델과도 약간 유사하게 생겼다.[16] 앞이 찌그러진 부분을 망치로 가볍게 두드리면서 리스토어하는줄 알았으나...[17] 1세대 프라이드 오너 입장에서 답변해주자면, 초기형 프라이드의 각진 라이트는 유리 재질이라 90~00년대 플라스틱 헤드램프에서 볼 수 있는 변색이 거의 없다. 후기형의 둥근 라이트는 플라스틱이라 관리되지 않은 차량들은 똑같이 변색이 심하며, 현재 공도에서 돌아다니는 프라이드는 대다수가 병적으로 관리되는 동호회 차량들이며 빛바랜 라이트도 신품으로 교체하거나 복원작업을 하는 차량들이어서 아벨라보다 깔끔해 보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