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1. 개요
2. 설명
3. 분류
3.1. 단기 기억
3.1.1. 감각 기억
3.2. 장기 기억
3.2.1. 명시적 기억
3.2.2. 암묵적 기억
4. 기억력
5. 기억과 관련된 작용들
6. 매체에서
7. 관련 문서


1. 개요


記憶 / Memory
뇌에 받아들인 인상, 경험 등 정보를 간직한 것, 또는 간직하다가 도로 떠올려내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어떻게 보면 우리의 인생 그 자체, 관점에 따라서는 '나'라는 존재를 규정하는 정체성 그 자체이기도 하다.


2. 설명



뇌가 있는 동물만 하는 건 아니고, 극히 일부긴 하지만 황색망사점균(블롭)도 하며, 전자 기기도 하고, 배터리도 하고, 금속도 한다. 가끔 잊어버리기도 하고, 만들어내고 싶기도 한다.
인간의 기억은 무한하지 않으므로 중요하지 않은 일은 잊어버리기 쉽지만, 자연 사물과 기계, 그리고 다른 사람은 그것을 기억하고 있다. 그 덕분에 문자 따위로 기록을 남기고, 기계를 일하게 하며, 다른 이들과 협력할 수 있는 것이다. 컴퓨터와 달리 사람의 기억은 주소화 되어 있지 않다. 사람의 기억은 다른 쪽에서 연상을 시켜주면 그것에 연결된 기억이 떠오르는 방식이다. 그래서 여러 기억이 중복되어 저장될수 있다.[1]
그러나 역시 완전하지 않은 것이 인간의 기억이기에, 자신의 기억이 과연 사실일까 하는 두려움으로 수많은 픽션에서 환상적 요소로 '조작된 기억', '사라진 기억'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고 있다.[2] 비단 픽션이 아니라 실제로도 기억 조작 사례가 실존하고 있다. 사례로 2002년 뉴질랜드 빅토리아대학 심리학과의 스테판 린드세이(Stephen Lindsay) 교수는 과거에 열기구를 탄 경험이 없는 사람 20명을 모집하여 기억 조작에 대한 실험을 했다.[3]
수면 내시경을 받아 본 사람이라면 기억의 상실을 경험해 봤다고 할 수 있다. 내시경을 받기 전 프로포폴을 투여하면 뇌의 GABA 수용체가 자극되어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데, 수면 내시경 도중에 의사나 간호사가 '입을 벌려라', '돌아 누워라' 하고 지시를 내리면 환자는 이를 알아듣기도 하고 묻는 질문에 대답도 할 수 있다. 즉, 수면 내시경은 사실 수면 상태가 아니라 의식이 미약해진 상태로 내시경을 받는 것. 그러나 당사자의 시점에서는 내시경 검사 도중의 기억은 하나도 나지 않는데, 이는 약물의 작용 때문에 검사 당시의 기억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냥 주사기가 꽂히더니 어느새 모든 게 다 끝나 있고 안정실에 누워 있는 자신만이 보이는 것이다.
보통 사람들의 가장 오래된 기억에 대해 말이 많은데, 사람마다 모두 다른데 어떤 사람은 어릴 때 기억도 난다는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은 더 나중에 기억이 나는 경우가 많지만 기본적으로 아주 짧은 기억들은 4~5살[4] 정도의 기억이고 본격적으로 여러 가지가 기억나는 것은 6~8살[5] 무렵 부터이다.[6] 그리고 30대 이후가 되면 조금씩 기억력이 감퇴한다.
특히 학교에 다니기전 유치원 시절에 안좋은일 (누군가에게 당했던일, 무서운걸 본일, 불의의 사고를 당한일) 등등의 일은 더 안 잊어진다고 한다.[7][8]

3. 분류


기억에 대해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여기(유튜브영상)

3.1. 단기 기억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은 감각 기억(sensory memory)과 작업 기억(working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3.1.1. 감각 기억


감각 기억(sensory memory)은 감각 기관에 잠시동안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시각에 남은 잔상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 컴퓨터로 치면 RAM과 유사하다. 감각기억은 그 용량 자체는 많은 것으로 추정되나 극히 짧은 시간만 저장된다. 이러한 감각 정보는 작업 기억으로 이전되어서 인지과정에 사용된다.

3.1.2. 작업 기억


해당 항목 참조.

3.2. 장기 기억


장기 기억(long-term memory)은 흔히 생각하는 기억의 모습으로 컴퓨터의 HDD 등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단기기억이 지속되면 해마에서 해당 신호를 반복하여 뉴런에서 시냅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저장한다. 장기 기억은 보통 저장용량이나 저장기한에 대해서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거의 무한하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무한'''은 평생 정보를 저장해도 충분하다는 의미지 시넵스 네트워크가 존재해야 하는 물리적 한계[9] 때문에 단어 그대로 무한하지는 않다. 저장된 기억의 경우에는 기억이 인출되는 경로가 소실되거나 다른 정보에 묻혀서 인식할 수 없게 된다는 식으로 망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기 기억은 명시적 기억(explicit memory)과 암묵적 기억(implicit memory)으로 나눈다. 명시적 기억에는 일화 기억(episodic memory)과 의미 기억(semantic memory)이 있다. 암묵적 기억에는 절차 기억(procedural memory)과 정서 기억(emotional memory)이 있다.[10]

3.2.1. 명시적 기억


명시적 기억(explicit memory) / 외현 기억 / 서술 기억(declarative memory)[11]: 우리가 떠올려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기억
  • 의미 기억(semantic memory): 일반적인 지식에 해당. 단어의 사전적 정의나 어떠한 일이 지니는 의미 등에 관한 것.
  • 일화 기억(episodic memory): 경험했던 사건의 기억. 내가 언제 무엇을 했고 누구와 있었고 무엇을 먹었었다 같은 기억

3.2.2. 암묵적 기억


암묵적 기억(implicit memory) / 내현 기억 / 비서술적 기억: 우리가 의식적으로 떠올려지지 않는 기억. 자연스럽게 나오는 언어능력 등의 우리가 흔히 몸으로 익혔다는 식으로 표현하는 기억
  • 절차 기억(procedural memory): 자전거 타는 방법 등을 말한다. 자전거 탈 때 균형을 잡고 넘어지지 않기 위해 어느 정도 속도로 달리고 허리로 어떻게 균형을 잡으며 핸들은 몇도로 꺾고 풀고 각 근육은 얼마만큼 조이고 풀어야 하는지 설명 불가, "이렇게 하면 돼" 한마디로 때울 수밖에 없는 지식. 그림 어떻게 하면 잘 그려??? 할 때 그거. 주로 소뇌에 정보가 저장된 경우다. 몸이 기억한다는 그거. 결국 다 뇌가 기억하는 거다.
  • 정서 기억(emotional memory): 장기 기억에서 외현 기억, 암묵 기억 외에 정서 기억(emotional memory)가 있다는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장기 기억이 기억을 꺼내는 행위에서 많이 생성된다는 보고가 있다. 쉽게 예를 들면, 배운 지 얼마 안 돼 좀처럼 생각이 나지 않던 것을 떠올리려고 애쓰다가 결국 "아! 맞다. 그거!" 하고 그 정보를 떠올리는 데 성공하고 나면 그 뒤로는 애쓰지 않아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4. 기억력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해 두는 능력이다.
기억력에 관한 질병은 치매, 단기 기억 상실증, 건망증 등이 있다.
장애인 이나 일부 사람들에게 포토그래픽 메모리라 하여 비정상적으로 기억력이 좋아지며, 자신이 보는 모든것을 이미지로 하여금 전부 기억해내는 능력이 존재한다고 하지만, 현재까지 실제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비슷한 개념으로는 기억술이 있긴 하나, 위 능력과는 선천성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금붕어의 기억력이 3초라는 소문이 있는데, 이는 거짓이다. 사실 '''금붕어는 최소 12일부터 3개월 이상을 기억할 수 있다.'''
기억력이 나쁘다면 덜렁이 소리를 듣기도 한다. 기억력 테스트도 있다. 기억력은 유전일 수도 있지만 노력하면 더 늘어난다는 설도 있다.
사실, 인간의 기억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이 부정확하다. 왜곡된 기억이 아버지를 성범죄자로 몰게된 사건도 있고, 왜곡된 기억을 대중들이 공유하면서 음모론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4.1. 기억술


mnemonics
해당 문서 참고.

5. 기억과 관련된 작용들



5.1. 자이가르니크 효과


사람들은 끝마친 일보다 끝마치지 못한 일을 더 잘 기억한다는 효과

5.2. 초두효과최신효과


해당 문서들 참조.

6. 매체에서



7. 관련 문서



[1] 이것이 인간이 잘못된 기억을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서로 무관한 기억들을 잘못 연결 시키면서 문제가 생기는것이다. 예시로 도널드 톰슨 사건이 있는데 TV에서 처음 본 도널드 톰슨을 같은 날 자신이 당한 강간사건과 연결하면서 도널드 톰슨에게 강간당했다로 기억할 수도 있다.[2] 보르헤스의 단편인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읽어보면 모든 것을 기억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환상적으로 묘사해놨다.[3] 기억 조작이 아니더라도 잘못된 기억을 하기는 너무 쉽다. 제니퍼 톰슨 사건처럼 너무 사소한 특징을 기억하려 노력하다가 다른 부분을 무시해 기억하지 않거나 도널드 톰슨 사건처럼 중요하지 않은 단서(TV에서 처음봤다)를 기억하지 못하면서 그날의 다른 중요한 경험(처음보는 사람에게 성폭행 당함)과 연결 시켜버리는 등 사람의 기억은 어느 상황이냐와 무관하게 신뢰도 높지 않다.[4] 세는나이 6~7살[5] 세는나이 8~10살[6] 유년시기의 일부로서 유치원에서 혹은 놀이터에서 동네 친구들과 놀았던 기억이 날것이며 가족여행당시에 찍은 사진을 통해서도 기억이 날것이다.[7] 물론 정확한 기억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예 오기억인 경우도 있고, 자신은 기억하지 못했지만 제3자에게 들은 기억을 간직하고 있던 기억이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고, 그 당시의 기억은 가지고 있지만 크면서 일부분이 왜곡된 것 일수도 있다.[8]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놀이공원에서 부모님을 잃고 두려움을 떨었다는 기억은 실제로 없었지만 그렇다고 믿을수도, 자신은 잊었지만 부모님이 그런 사건이 있었다고 들어서 기억을 할 수도, 부모님을 잃고 딱히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미아보호소에서 직원들과 재밌게 놀았지만 두려워했다고 다르게 기억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기억은 생각보다 부정확하다.[9] 란다우어의 원리에 따라 정보 자체도 에너지로 취급된다. 즉 질량(질량-에너지 동등성), 정보(란다우어의 원리)는 모두 에너지 보존 법칙을 따르며, 한정된 질량, 부피를 가진 뇌에는 무한한 정보가 기록 될 수 없다.[10]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Richard H. Hall, 1998. 원본 pdf 파일 아카이브 [11] 이론가에 따라 선호하는 용어가 다를 수 있다.[12] 기억을 데이터화 시킨 후, 과거의 자신의 휴대전화에 전파를 보내 스피커와 관자놀이 부근을 통해 뇌에 전파가 도달하면 과거의 자신이 미래의 기억을 떠올린다는 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