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충

 


'''중기 문벌귀족의 상징
김원충
'''
'''시호'''
'''정간공(貞簡公)'''
'''수직'''
'''수사도(守司徒)'''
'''직위'''
'''문하시중(門下侍中)'''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이름'''
원충(元沖)
'''생몰연도'''
? ~ ?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


고려시대의 인물. 대다수 고려 초중기 인물처럼 생몰연도가 불확실하며 단편적인 기록만 있다. 김원충은 고려왕실과 긴밀히 연결되어있었고, 이천 서씨, 안산 김씨, 인천 이씨와도 매우 가까워 그야말로 혈연(血聯)의 중심에 서 있었다.
현종 원문왕 ~ 문종 인효왕 시기의 문벌귀족이며 시호가 유인저와 같다.[1]

2. 생애


정종 2년(1036) 진봉사(進奉使, 조공 사절) 겸 고주사(告奏使, 고하고 아뢰는 목적의 사절)로 황해 연안을 따라 북송에 가다가 황해도 옹진현에서 배가 파손되는 사고가 일어나는데, 김원충은 무사히 살아서 돌아온다. 정종 4년(1038)에는 거란에 조공품을 바치고 거란 연호를 받아 돌아온다.
정종 6년(1040) 지중추원사를 지내다가 딸이 정종의 왕비가 된다. 문종 원년(1047) 내사시랑평장사에 임명되고 문종 3년(1049) 딸이 문종의 왕비가 된다. 이듬해 문종 4년(1050)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형부사에 오른다. 수태위 문하시중에 오르고 물러난 것으로 보이며, 죽은 뒤에는 정종의 묘정에 배향된다.

3. 가족관계


김원충의 본관은 경주다. '김지우 묘지명'에 상세한 가계가 나온다. 김지우는 신라 원성대왕의 후손으로 원성왕 → 김예[2] → 김인윤[3]김신웅[4]김인위[5]김원황김경용김인규 → 김지우 순이다. 이를 보아 김인위의 아들인 김원충은 원성왕의 후손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했듯 김원충의 아버지는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6] 김인위로 보인다. 김인위로 추정하는 이유는 김원충이 김인위의 아들이 아니면 설명할 수 없는 혈연관계가 많기 때문이다.[7]
김원충의 형은 김원정이다. 문하시중(門下侍中) 김원정은 딸을 낳았는데 이 딸이 서눌의 후손에게 시집을 갔다. 김원정의 10대손 김균(金稛)은 고려말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김원충의 형제는 김원황이다. 김원황의 첫째 딸 낙랑군대부인은 수원 최씨 최사위의 손자와 결혼했고, 둘째 딸, 즉 김원충의 조카 낙랑국대부인은 정주 류씨 유홍과 결혼했다.
김원충의 누나는 원순숙비(元順淑妃)와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이다. 원순숙비는 현종의 왕비이며 덕종의 왕후 경성왕후를 낳았다. 계림국대부인은 다크호스 이자연(고려)과 결혼해 문종의 후비 인예태후, 인절현비(仁節賢妃), 인경현비(仁敬賢妃)를 낳았다.
김원충의 딸은 정종의 왕비 용절덕비(容節德妃)와 문종의 왕비 인목덕비(仁穆德妃)이다.
이렇듯 김원충은 본인이 최고위층 관료였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 형제가 모두 고위직을 역임했고 누나, 조카, 자식들이 모두 왕실, 문벌귀족 가문과 연은 맺으면서 계급을 강화했다.
[1] 우연의 일치인지 유인저 또한 문벌귀족 가문 출신이다.[2] 대광(大匡) 품계를 가졌다고 한다.[3] 신흥사 공신당에 초상화가 올라간 삼한공신이다. 고려 개국공신에 등재되어 있다.[4] 경주 김씨 족보에는 김순웅으로 등재되어있는데, 장군공파의 파조라 한다.[5] 현종의 후비 원순숙비의 아버지이자 이자겸의 할아버지 이자연의 장인이다.[6] 고려 최고위 정부기관인 중서문하성의 차관.[7] 김인위의 아들은 모두 원 자 돌림 이름을 가졌고 딸들은 모두 왕실이나 문벌귀족에게 시집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