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인화문
1. 개요
德壽宮 仁化門
덕수궁(경운궁)의 정문이'''었'''던 문. 현재는 없다. 위치는 후술.
2. 이름
다른 궁궐들의 정문과 마찬가지로 ‘화(化)’자 돌림을 썼다.[1] '인화(仁化)' 뜻은 ‘어진(仁) 덕을 베풀어 교화(化)한다’이다.
참고로, 경운궁 이름이 덕수궁으로 바뀌기 전에 없어졌기에 엄밀하게는 '''경운궁 인화문'''이 맞다.
3. 역사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연간 이후 즉조당과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이 1년 뒤 1897년(건양 2년) 궁으로 돌아갈 때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고종은 애초부터 환궁을 경운궁으로 하려고 했는지,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면서 경운궁 공사를 실시했다.[2]
이 때 인화문도 지은 듯 하다. 확실한 건립 연대는 모르나, 1896년 11월 19일 민병석을 인화문현판서사관으로 임명했다는 1896년 11월 23일 자 《대조선국 관보》를 보아 그 무렵 완공한 듯 하다.# 《일성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97년 2월 고종이 환궁할 때 인화문을 거쳐 수안문, 의록문을 통해 경운궁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이후 이 곳 밖에서 고종이 외국 외교관들을 소견하고#, 명성황후 국장 때 곡하고 영결하기도 했으며# 만민공동회를 열게 했다.# 이렇게 인화문 앞은 황궁의 정문이란 입지를 바탕으로 중요한 정치적 공간으로 쓰였다.
3.1. 철거
그러나 지은 지 불과 6년도 채 안 지난 1902년 경에 헐렸다. 인화문 앞이 좁아서 통행이 뜸했기에 철거했단 의견이 널리 퍼져있는데 틀렸다. 왜나하면 윗 문단에서 썼던 것처럼 인화문 앞은 여러 군중행사가 열릴 정도로 공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화문을 없앤 이유는 이렇다. 경운궁에 번듯한 정전(중화전)을 지으려했지만 기존의 궁역으로는 비좁아서 남쪽으로 확장시키려 했는데 바로 인화문이 그 권역에 있었기 때문이다. 인화문을 새로 넓힌 남쪽 담장으로 옮기면 안되냐고 할 수 있지만, 그러면 언덕 바로 앞에 놓여서 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철거당했다. # 어차피 큰 길에 있어 사람들과 접촉이 쉬웠던 동문(東門) 대안문이 있어 인화문 철거로 인한 불편함은 크게 없었다. 인화문이 사라진 이후 정식 정문은 대안문으로 바뀌었다. 다만 공사 초기에 헐리진 않은 것 같다. 왜냐하면 《승정원일기》 1901년 11월 2일(음력) 기사를 보면, 법전[3] 공사에 들어가는 재목들이 인화문과 돈례문[4] 을 경유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철거 이후 인화문 터 바로 뒤에 새 정전 중화전의 정문 중화문이 들어섰다. 이 곳에 들어가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중화문과 인화문 터의 거리는 도보로 불과 약 6 ~ 7 걸음 밖에 안 될 정도로 굉장히 가깝다. 그리고 1904년 화재 이후 중화문을 남쪽으로 조금 더 옮겨 재건했다. 이를 미루어 보면 인화문 터는 현재 중화문 자리 언저리로 봐도 무방하다. 간혹 인화문 옛 터를 현재 덕수궁의 남쪽 담장 어딘가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1902년 경의 경운궁 궁역 확대를 고려하지 않은 듯 하다.
[1] 경복궁의 광'''화'''문(光'''化'''門), 창덕궁의 돈'''화'''문(敦'''化'''門), 창경궁의 홍'''화'''문(弘'''化'''門), 경희궁의 흥'''화'''문(興'''化'''門), (사라졌지만) 인경궁의 명'''화'''문(明'''化'''門) 등.[2]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고,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새로 짓는 것이나 다름없었다.[3] 정전의 다른 말. 중화전을 가리킨다.[4] 경운궁의 원래 중문(궁궐의 정문과 정전 사이에 있는 문)으로, 인화문과 거의 동시에 헐린 듯하다. 이후 중문은 새로 지은 조원문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