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중화전
[clearfix]
1. 소개
德壽宮 中和殿
덕수궁의 정전#s-6이다. 중요한 국가 의식을 거행하거나 조회를 열던 곳이다.
조선의 5대 궁 정전 중 유일하게 '''20세기에 창건'''했으며 처음부터 조선 왕궁의 정전이 아닌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세운 건물이다.
‘중화(中和)’ 뜻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으로, 《중용(中庸)》에서 유래한 말이다.
2. 역사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은 인조 연간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1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에 몸을 의탁했던 고종은 1년 뒤 1897년(건양 2년) 환궁[3] 하면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다.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창건하는 것과 다름 없었다.
그래서 한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s-6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즉조당은 너무 좁았고, 규모있는 정전이 필요했다. 그래서 제국 선포 이후 5년이 지난 1902년(광무 6년)에야 정식 정전으로 지운 것이 중화전이다.
창건 당시에는 2층[5] 이었으며, 겉모습이 창덕궁 인정전과 상당히 흡사했다. 그러나 1904년(광무 8년) 대화재로 불탄 이후 1906년(광무 10년) 중건했는데 재정 상의 문제 때문에 이전과 달리 단층으로 지었다.
이 곳에서 일어난 중요 행사는 1907년(광무 11년) 1월에 치러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 - 순정효황후의 결혼식과 1907년 7월에 열린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하는 의식[6]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고종이 승하한 이후, 일제는 1933년에 덕수궁을 공원화하면서 중화전 뜰의 박석을 걷고 잔디와 꽃을 심는 등 훼손했다. 8.15 광복 이후인 1980년대 말에 문화재관리국에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3. 정문
4. 구조
- 정면 5칸(61.4척), 측면 4칸(58척), 총 20칸이다. 2단으로 쌓은 넓은 월대 위에 높직한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다. 건물 내 · 외부 사이의 기둥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아 언제나 여닫을 수 있게 하였다.
- 처음부터 대한제국의 황궁 정전으로 지었기 때문에 답도에는 제후국을 상징하는 봉황이 아니라 황제국을 나타내는 용 2마리가 새겨져 있다. 또한 내부 천장에도 봉황이 아닌 용이 달려있다. 단 경복궁 근정전에도 용이 달려있는데 비교하면 중화전의 용이 좀 더 땅딸만하고 살쪘다.(...)
- 정전의 격과 맞지 않게 중화전을 감싸는 행각이 없다(....) 일제강점기 공원화 작업 당시에 조성한 석조전의 정원이 중화전 행각을 침범하기 때문에 철거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고 중화전 뜰 동남쪽 모퉁이에 흔적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모습이 많이 달라져 현재는 시민들이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5. 여담
- 해방 이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서울 시내에 마땅한 공간이 없었기 때문인지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중화전 뜰에서 정부행사나 공연 등이 자주 열렸었다. 특히 1961년 5.16 직후에는 공수단이 이 곳에 주둔해서 전국적으로 잡아들인 깡패들을 이 곳에서 굴렸다.(...)
6. 대중 매체에서
대한제국 시기를 다룬 작품 자체가 별로 없고, 있어도 다른 궁궐에서 촬영을 하기 때문에 사극에 등장한 적은 없었다.
2016년에 개봉한 덕혜옹주(영화)에서 단층의 중화전이 나온다.
2018년 7월에 tvN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배경이 20세기 초반의 대한제국을 그렸기 때문에 이 중화전이 사실상 처음 나온다. 하지만 거의 실제 중화전이 아닌 부안에 있는 세트장의 모습으로 나온 것이 함정.
[1] 건물과 문을 포함한 권역의 정식 등재명칭.[2] 중화문 포함. 문화재청의 공식 기준 참조.[3] 還宮. 궁으로 돌아가다.[4] 왜 이 현판이 즉조당에 걸리게 되었는지는 이 포스팅을 참고.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한 때 인터넷 상에서 중층 당시 중화전에 걸었던 현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참고로 중층 중화전 현판은 경운궁 대화재 당시 같이 불 타 없어졌다.[5]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2층보다는 중층(重層)으로 표현한다.[6] 단, 이 때는 고종과 순종이 모두 불참했기에 내관들이 대리했다.(...) 결국 정식 즉위식은 동년 8월 27일 돈덕전에서 행했다.[7] 소의 혀란 뜻으로,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부재를 말한다.[8] 唐家. 옥좌 위에 다는 집 모양의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