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1. 冬季
2. 東界


1. 冬季


겨울의 다른 말.

2. 東界



[image]
고려행정구역 5도 양계 중 하나.
일반 행정 구역인 도(道)와 달리, 계는 군사적 목적의 행정 구역으로 북방-동방 변경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병마사가 파견되었다. 특히 동계는 여진 해적 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동해안과 태백산맥을 따라 길쭉하게 펼쳐진 모양을 갖추고 있다. 대강 지금의 함경남도 남부, 강원도 영동 지역, 경상북도 일부(울진군)에 해당하며 통일신라명주 지역에 해당한다.
고려초기 10도행정구역 체계당시는 삭방도[1]에 포함되어있었다. 고려의 다른 행정구역들과 달리 현재까지 내려오는 조선 팔도 체계에는 이에 정확히 해당하는 행정구역은 강원도 내의 강원동도 정도다.[2]
지금처럼 도로가 잘 닦이기 전만 해도 태백산맥을 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해방 직후에 강릉시에 사는 사람이 서울을 가려고 하면 먼저 부산까지 배를 타고 가서(...) 거기부터 부산역에서 경부선을 타고 거슬러 올라가는 길을 택할 정도였으며[3] 그러다가 군사정권 시절 때는 상황이 많이 좋아져서 포항시(...)까지 배를 타고 간 다음 포항에서 서울까지 기차를 타고 갔다고 한다.[4] 따라서 옛날에는 이런 구획이 실제 생활권과 더 맞았다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우회 루트로 시간과 품을 절약하는 것도 어느 정도 육상교통이 발달했을 때고, 철도고 뭐고 없을 때는 닥치고 산으로 걸어가야 했으니 조선시대 기준으로 완전 어이없는 행정구역은 아니다. 이동속도가 크게 차이 없으면 서울에서 강릉 가는데 그냥 산을 넘고 말지 뜬금없이 동래를 왜 가는가.
원 간섭기 때 쌍성총관부가 설치되어 북부가 원 직속령이 되었으며 고려 말에 수복되어 남쪽 길쭉한 부분이 영서의 교주도와 합쳐져 '교주강릉도'가 되었다. 이 시기 교주강릉도의 영역은 현대의 강원도와 거의 같다. 위 지도를 보면 그럼 동한만 근처 일부만 남은 동계가 너무 작아지는 거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고려 말엽에는 동북쪽 국경이 많이 넓어져서 동계(=동북면)도 훨씬 커졌다. 이 시기 동계는 동북면으로 지칭하기도 했고, 훗날 고려를 무너뜨리는 조선 태조(조선) 이성계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이 동북면은 이후 함경도로 이어진다.
[1] 원래는 교주도와 하나였었다.[2] 지금의 영동 남부에 속하는 영월, 정선, 평창 역시 이 지역에 속해 있었다. 강릉의 속현이었기 때문이다.[3] 해방 이전에는 원산시까지 올라가서 경원선을 타기도 했다.[4] 1970년대가 되어서 비로소 영동선의 개통으로 영서에서 영동으로 직접 건너갈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