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
LOU'''
|
'''등급'''
| 크로마틱
|
| 서포터(SUPPORT)
|
'''HP'''
| 3100
|
'''이동 속도'''
| 보통 (720 = 2.4 타일/초)
|
'''코드 네임'''
| IceDude
|
'''성우'''
| 존 몬델리[1] 브롤스타즈와 같은 회사 게임인 클래시 로얄에서 바바리안, 기사 등의 유닛들 목소리를 낸 적도 있는 성우다.
|
'''스탯'''
|
<rowcolor=#000000>[image] '''공격'''
|
[image] '''방어'''
|
[image] '''유틸성'''
|
[clearfix]
1. 개요
'''Uncle Lou is here for you.'''
루 삼촌이 널 위해 왔어.
'''Feel the freeze!'''
추위를 느껴봐!
Lou is a cool guy, literally! He can dole out all kinds of chill stuff. But watch your step on the ice, and be careful not to get brain freeze!
말 그대로 '쿨한 남자' 루는 온갖 차가운 것들을 던집니다. 꽁꽁 언 바닥과 머리까지 띵하게 얼려 버리는 빙수에 조심하세요!
브롤 패스 시즌 4의 신규 크로마틱 브롤러, 얼음을 사용하는 로봇이다.
여러 가지 맛의
빙수를 파는 친절한 로봇의 컨셉이다.
전체적으로
서지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머리 뒤에 손잡이가 있는 등 빙수 기계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 [ 승리 / 패배 모션 ]
승리 시 빙수를 던지고 윙크를 한 후 받으며, 패배 시 어지러워하며 자신이 들고 있던 빙수를 자신의 얼굴에 묻혀버린다.
- [ 대사 목록 ]
목소리가 심하게 변조되어 있어서 알아듣기가 약간 힘들며 귀여운 외모와 달리 목소리가 딱딱한 편이라서 조금 어색한 편이다. 또한
발리와 비슷하게 서빙을 도와주는 로봇이라는 컨셉 덕분인지 음료나 디저트에 관한 대사가 많다.
'''Keep it frosty!'''
차갑게 해야지!
'''Try a blizzball y'all.'''[12]
모두 블리즈볼을 먹어봐.
'''Uncle Lou is here for you.'''
루 삼촌이 널 위해 왔어.
'''I'm just shoo-tin the freeze!'''
나는 그저 얼음을 쏘고 있을 뿐이라고!
'''Now with 12% more goodness!'''
12% 더 좋아졌네!
'''Gee whiz, try a bliz!'''
아 해봐, 블리즈볼을 먹어봐!
'''A frosty treat that will keep you on your feet!'''[13]
treat과 feet의 음이 비슷한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
차가운 간식이 너의 자리를 대신 지켜줄거야!
리스폰 시
'''Un-cone-trollabe.'''[14]
Uncontrollable에서 con과 cone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조절이 불가능해.
'''I'm in the cone zone!'''
난 아이스크림 콘 구역에 있지!
'''Y'all be lovin' the sour apples flavor!'''
너희들은 시큼한 사과 맛을 좋아하고 있어!
'''Freeze frame, I'm winning the game!'''
정지 화면, 내가 이기고 있어!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Oh my days!'''
세상에!
'''Gosh golly!'''
세상에나!
'''Gee willikers!'''
어머나!
'''Your on thin ice, my friend.'''
자네는 얇은 얼음위에 있다네, 친구.
'''B-B-B-B-B-Brain Freeze!'''
브-브-브-브-브-브레인 프리즈!
피격 시
'''Bad to the cone.'''
콘 속까지 멋진 나![15]
Bad to the bone에서 bone과 비슷한 발음인 cone으로 바꾼 표현.
]'''Easy breezy!'''
식은 죽 먹기지!
'''You got coned!'''
속았지!
'''I'm frostalicious!'''
'''Raspberry crush!'''[아이스크림]
라즈베리 크러쉬!
'''Blueberry twirl!'''[아이스크림]
블루베리 트월!
'''Mango Tango!'''[아이스크림]
망고 탱고!
적 처치 시
'''I got crushed.'''
나 박살났어.
'''Shame on you!'''
창피한 줄 알아!
'''*울음*'''
'''Don't you worry, I'll be right back!'''
걱정마, 난 다시 돌아올거야!
'''Uncle Lou needs a rest.'''
삼촌 루가 좀 쉬어야 할 것 같아.
사망 시
'''Feel the freeze!'''[16]
추위를 느껴봐!
'''You want ice with that?'''
얼음 넣어줄까?
'''Have a blize ball!'''
'''Woohoo!'''
우후!
'''Whoo!'''
후!
'''Yahoo!'''
야호!
'''*웃음*'''
'''Aha!'''
아하!
일반 공격 사용 시
'''Slip n' slide!'''
미끌 미끌!
'''New and improved flavour sauce!'''
새롭고 개선된 맛 소스!
'''100% certified flavour sauce!'''[17]
100% 끝내주는 맛의 소스!
'''Filled with Vitamin G!'''
비타민 G로 가득 차 있지!
'''I got the drip to make you slip!'''
난 널 미끄러지게 만들어버리는 방울을 가지고 있지!
'''I got the sauce!'''[18]
서지의 "I got the juice!" 대사와 비슷하다
소스 가져 왔어!
특수 공격 사용 시
<rowcolor=#ffffff> 핀
|
- [ 핀 목록 ]
- [ 킹 루 핀 목록 ]
|
2. 일반 공격
[image] '''일반 공격'''
| 머리가 띵(BRAIN FREEZE)
|
피해량
| 3 x 400
|
사정거리
| 초장거리 (28 = 9.33 타일)
|
재장전 속도
| 매우 빠름 (1.3 초)
|
특수 공격 충전량
| 14.28% * 3
|
Barraging opponents with snow cones, Lou can eventually freeze them in place for 1 seconds.
꽁꽁 얼린 빙수로 상대를 집중 공격해 결국엔 1초 동안 얼려버립니다.
투사체 3개를 순차적으로 발사한다. 루의 일반 공격에 맞은 적/소환물은 빙결 모양의 표식이 HP 옆에 표시되는데, 이 표식이 일정량만큼 쌓일 경우 적/소환물이 1초간 기절된다. 투사체 7개를 맞추면 효과가 발동되며, 표식은 초당 5%씩 감소한다.
상당히 파격적인 효과로, 적을 기절시킬 경우 적의 딜로스를 유발하거나 자신 혹은 아군이 적을 처치하기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혹은 상대하기 까다로운 근접 브롤러들을 상대로 거리를 벌릴 시간을 버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1초 기절은 적지 않은 시간이기에, 표식이 많이 쌓인 상태의 적은 루를 상대할 때 상당한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다만 순차적으로 발사되고, 투사체의 폭이 좁은지라 적이 좌우로 움직여도 투사체 1 ~ 2개가 빗나가는 등, 최대 사정거리에서의 딜량이 상당히 불안정하다. 이로 인해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자신도 움직이면서 공격하는 등의 운용을 필요로 한다.
여담으로, 일반 공격 사용 시 숟가락들이 떨어지는 이펙트가 있다.
3. 특수 공격
[image] '''특수 공격'''
| 꽁꽁 시럽(CAN DO!)
|
사정거리
| 장거리 (21 = 7 타일)
|
범위
| 1200 = 4 타일
|
지속 시간
| 10 초
|
Lou lobs a can of freezing cold syrup that creates an icy, slippery area on the ground. Very tough for his opponents' fancy footwork!
차가운 시럽이 담긴 캔을 던져 미끄러운 얼음 지역을 생성합니다. 발이 빠른 상대에게 효과적이죠!
맵의 일정 범위를 얼려 미끄럽게 만든다. 영향을 받는 브롤러들은 이동이나 정지, 방향 전환이 어려워진다.
특히 벽을 끼고 있는 브롤러들에게 유용한데, 이동을 잘못하여 벽에 부딪힐 경우 방향 전환이 안 되어서 이동이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체적인 대미지가 아예 없고 상황에 따라 편차가 심한 ''미끄러지는 효과'' 밖에 없으며, 후술할 빙결 지대 스타 파워가 있어도 표식이 천천히 차는 효과만 추가되어 루의 딜링 수단은 일반 공격밖에 없다.
미끄러지는 효과도 상황에 따라 갈리는데, 일반적으로 브롤스타즈의 다른 장판형 기술들은 안에 들어오는 것 자체 만으로 즉각적인 손해를 입힌다.
[2][3] 앰버는 예외지만, 효과를 발동하는 시점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하지만 루는 대미지 없이 미끄러지는 효과를 보유했는데, 물론 장판안에 있으면 무빙이 크게 제한된다는 손해가 생기긴 하지만 그냥 쭉 지나쳐갈 때는 거의 아무 효과도 줄 수 없다는 맹점이 있다.
그래도 어쨌든 안에 있으면 껄끄러워지는 것은 맞기 때문에 적들은 장판에 되도록 발을 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여타 장판형 기술들과 조금 다르게, 적들이 지나쳐야되는 길목 보다는 적들이 '무빙'을 해야 하는 지역에 깔아두는 편이 좋다. 장판 안에서 방향을 반대로 꺾으면 거의 몇 초 동안 멈춰있는 수준으로 많이 미끄러지고 벽에 조금이라도 비비게 되면 아예 멈춰버릴 수도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해당 장점을 살리는 것.
4. 스타 파워
4.1. 빙결 지대
[image] '''스타 파워'''
| 빙결 지대(SUPERCOOL)
|
Opponents standing on Lou's Super area get gradually frozen, like from his Brain Freeze attack.
특수 공격의 효과 지역에 서 있는 적이 서서히 얼어붙습니다.
특수 공격에도 일반 공격의 표식이 차게 되도록 변경된다.
버프 이전엔 특수 공격만으로는 표식이 애매하게 남아서 애매한 성능을 보유했었다. 하지만 효과가 무려 '''40%'''나 증가하는 버프를 받아 쓸만한 성능이 됐다.
이 스타 파워가 있음으로써 위에 올라가 있는 것 만으로는 미끄러지는 것 외에 아무 효과도 없던 장판이 빙결 표식이 증가하는 손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표식이 차는 속도도 은근히 빨라서 표식이 없는 상태에서 꽉 차기까지 약 7초가 걸린다. 그래서 장판 위에 있는 상태에서는 루의 공격으로 얼기 더욱 쉬워진다.
[image] '''스타 파워'''
| 저체온증(HYPOTHERMIA)
|
Opponents lose up to '''35%''' of their reload speed based on how frozen they are from Lou's attack.
상대는 루의 공격으로 얼마나 얼어붙었는지에 따라 재장전 속도를 최대 '''35%'''를 잃습니다!
일반 공격의 표식 수에 따라 상대의 재장전 속도의 최대 35%까지 '''잃는다.''' 일반 공격 하나 당 재장전 속도를 5% 늘릴 수 있다.
퍼센트 단위로 재장전 시간을 늘리기 때문에
파이퍼, '''
모티스''' 같이 재장전 속도가 느린 브롤러들이 불리해진다. 이런 브롤러들은 대부분 평타 한 방 한 방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견제에 성공한다면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특히
모티스의 경우, 일반 공격의 재장전 시간이 최대 '''3.24초'''가 되어 공격, 수비 모두 불리해진다.
재장전 속도가 빠른
엘 프리모,
로사 등의 브롤러들에게는 효과가 더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상 일반적인 장전 속도를 가진 대부분의 브롤러들을 상대로도 좋은 효과라고 볼 수 없다. 최대 페널티를 주기 위한 조건부는 거의 끝까지 찬 빙결 수치이므로 꽤나 까다로운데, 그 이상 때리면 얼어버리기 때문에 장전 속도 페널티도 어차피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일부러 얼리지 않고 거의 꽉찬 빙결 수치를 유지해서 지속적인 손해를 유도한다는 것도, 얼려서 죽이는 것이 훨씬 이득이기에 어불성설이다.
또한 근접 브롤러나 상술된 모티스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장전 속도가 목숨에 직결되는 상황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예를 들어 장전 속도가 1.6초인 브롤러의 경우 35% 느려지면 2.16초 가량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포킹을 엄청나게 적극적으로 하는 타입이 아닌 이상은 탄창을 남발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기에 장전 속도가 느려지더라도 엄폐물에 잠시 숨어서 포킹을 조금만 덜하면 그만이기 때문. 근접 브롤러라고 하더라도 애초에 장전 속도가 모자라서 급박한 정도라면 가까이 붙어있는 상황일텐데, 그렇게 되면 루의 목숨도 보장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재장전 시간 증가 페널티는 조건부에 비해 별로 좋은 효과라고 보기가 어려우며, 일반 공격의 특성과도 충돌하기 때문에 활용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서, 현재 브롤스타즈에서 '''가장 좋지 않은 스타파워 중 하나'''로 평가된다.
5. 가젯
5.1. 얼음 방패
[image] '''가젯'''
| 얼음 방패(ICE BLOCK)
|
Lou shields himself with ice, becoming invulnerable for '''1''' seconds.
얼음으로 자기 자신을 보호해 '''1'''초 동안 무적 상태가 됩니다.
사용하는 즉시 1초 동안 피해를 받지 않는다. 매치 당 3번 사용할 수 있다. 가젯의 발동 시간 동안 이동할 수 없으며, 일반 공격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어떻게 보면 1초는 굉장히 짧아서 효율적으로 쓰기는 어렵게 보이지만, 순간적으로 높은 피해량을 입히는 공격이 날라오거나 기습을 당했을 때 이 가젯의 진가가 드러난다. 가젯을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일반 공격이나 특수 공격을 소모시켰기 때문에 후상황을 유리하게 만들어주기 때문. 변수 창출을 쉽게 만들어주는 능력으로, 1대1 상황에서도 이 가젯의 유무로 인하여 심리전을 대폭 증가시키는 가젯이다. 기습을 당해도 빠르게 얼음 방패를 사용하면 근접 브롤러를 죽이기는 좋지만 저격수를 상대로 쓰면 녹아버린다.
대신 돌려말한다면 변수 창출을 봉쇄시키는데엔 유리하지만, 기본적인 생존에선 쓸모없는 기술이다. 특히 원거리 견제하는 상황에선 평타 한 방을 무효화시키려고 쓰는게 아닌 이상 필요가 없고, 체력 회복도 없고 본인도 1초간 움직임이 봉쇄되기에 오히려 무적시간이 풀린 후에 완벽히 무방비 상태가 되므로 얻어맞기 딱 좋다. 때문에 재장전 속도가 빠른 브롤러를 상대론 이 가젯을 활용하기 어려우며, 판단력이 돋보여야한다.
맥스의 첫번째 가젯의 하위호환 가젯으로 취급되고,
틱의 두번째 가젯의 명백한 하위호환 가젯이다. 맥스의 가젯은 무적시간은 조금 더 짧지만 무적이 되면서 짧은 거리를 돌진하고 틱은 똑같이 발동시간이 1초에 무적이고 사용 중 움직일 수 있으며 1000 피해도 주기 때문이다.
6. 레벨 별 스탯
파워 레벨
| [image] '''HP'''
| [image] '''일반 공격'''
| [image] '''특수 공격'''
|
1
| 3100
| 3 x 400
| -
|
2
| 3255
| 3 x 420
|
3
| 3410
| 3 x 440
|
4
| 3565
| 3 x 460
|
5
| 3720
| 3 x 480
|
6
| 3875
| 3 x 500
|
7
| 4030
| 3 x 520
|
8
| 4185
| 3 x 540
|
9
| 4340
| 3 x 560
|
'''10 (스타 파워)'''
| -
| [image] '''저체온증'''[4] 표식에 따라 적의 재장전 시간이 최대 35%까지 증가
| [image] '''빙결 지대'''[5] 적이 특수 공격에 닿을 경우 적의 빙결 표식 증가
|
'''7 ~ 10 (가젯)'''
| [image] '''얼음 방패'''[6]
|
7. 성능
기본적으로 적을 잠시 스턴시키는 것으로도 충분히 메리트가 크다. 비비처럼 명중만 하면 어느 기술이든 손쉽게 끊을 수 있는데, 루 곁에 아군이 붙어있으면 스턴되는 순간 아군이 손쉽게 마무리를 해주는 덕분에 표식이 쌓일수록 압박이 커진다. 특수기를 활용한 광역 디버프 또한 특히 루의 강점으로, 비록 엠즈마냥 슬로우는 아닐지라도 미끄러지는 것 자체가 굉장히 거슬려서 충분히 방해가 되는데다, 스타파워를 통한 디버프도 딸려오면 더더욱 체감된다.
대신 이런 무지막한 디버프를 주는 것의 대가로 대미지 딜링은 제한적인데, 게일의 특수공격도 최소한의 피해량을 가졌지만 루는 아예 피해량 자체가 없으며, 일반 공격도 대미지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면서도 직사로 3발을 점사하기 때문에 빗맞추기가 쉬워서 딜링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때문에 스턴을 걸 수 있다면 몰라도 풀피인 적을 단신으로 제거하기는 까다롭다.
결론적으로 스턴 능력과 광역 디버프로 적들에게 끊임없는 물리/심리적 압박을 주면서도 혼자선 딜량이 낮다보니 스턴이나 디버프에 걸린 적들은 팀원과 함께 마무리 해야한다. 전반적으로 팀플레이에 특화된 브롤러.
'''장점'''
|
<color=black,white> * '''쉽고 빠른 스턴 능력''' 프랭크처럼 장기간 무력화에 특화되지 않았지만, 일반 공격만으로 쉽게 스턴을 걸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큰 메리트다. 특히 cc기에 봉쇄되는 특수기나 일반기를 가진 브롤러를 상대로 하면 더더욱. 1초 스턴이 별거 아닌 것처럼 보여도 신속한 무빙이 필요한 브롤스타즈에선 꽤나 큰 요소로, 그 틈에 아군들이 무방비해진 적을 처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 * '''강력한 지형 장악 및 압박 능력''' 위 장점과 이어지는데, 이러한 스턴 능력을 발동시키기 위해선 표식을 쌓아야하는데, 표식이 줄어들지 않고 끝까지 유지되는 덕분에 표식을 쌓아두다 결정적인 순간에 스턴을 걸 수 있어 거의 다 채워질수록 루의 공격은 더욱 조심해야한다. 특수기 또한 미끄러지는 능력으로 인해 지형에 따라선 슬로우 능력보다도 거슬릴 수 있으며, 스타파워랑 연개되는 순간 스턴 능력이나 재장전 시간 증가로 더더욱 성가셔진다. 근데 특수기 충전은 빠르게 차오르고, 지속시간도 굉장히 길어서 장기간으로 지형을 장악할 수 있다.
|
'''단점'''
|
<color=black,white> * '''낮은 DPS''' 일반 공격의 무력화 능력을 대가로 루의 일반 공격 피해량은 평균 대비 낮게 책정되어 있다. 데미지 자체로 보면 오히려 브록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질 데미지가 낮은 것처럼 보이는데, 3연발로 공격하기 때문에 킬 결정력이 낮아지고, 옆으로 피하면 한두대 맞는 선에서만 끝나기 때문에 최대 레벨 기준에선 560, 1120의 낮은 데미지가 부각된다. 또한 후딜레이도 은근히 길어서 4연발이 아닌 3연발임에도 맥스보다 빠르게 쏘는 건 불가능하다. 무엇보다 루의 딜링 수단은 일반 공격을 제외하면 '''전무'''하기 때문에 더더욱 dps가 낮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 * '''한계가 큰 특수기''' 타 광역 특수기와 비교해서 보면 루의 시럽은 여러모로 빈약한 부분이 많다. 특히 데미지를 줄 수 없는 점이 꽤 치명적인데, 최소한의 데미지도 없어서 부쉬 체크가 불가능하여 [7] 당하는 상대가 실수로 미끄러져서 부쉬에 나오지 않는 이상 파악이 어렵다. 그래도 이 실수 덕분에 들켜서 다시 부쉬로 돌아가는 방향 전환이 매우 오래 걸리는 덕분에 손쉽게 처치가 가능하다. 지형 장악력이 부족해진다. 그리고 미끄럼 효과는 둔화에 비해 안정성과 실질적인 영향력이 떨어져 크기도 비교적 적은 마당에 부쉬 체크도 안되는데다 스타파워도 없다면 정말 미끄러지는 것 말고는 아무 효과가 없어서 실용성이 떨어진다. - * '''수동적인 게임 운영''' 위의 단점들과 합쳐져 생겨난 단점. 딜량이 부족한데 스턴을 걸어도 혼자 처치할 수 없고, 특수기로 디버프를 줘도 미끄러지는 것과 스턴 능력을 주는 것에 불과하여 본인이 이 특수기를 유용히 활용을 못하는데, 체력도 어중간해서 말 그대로 혼자서 캐리하기엔 굉장히 어렵다. 반대로 이 능력들은 팀원에겐 굉장히 유리한 능력이라서 덕분에 팀원을 위한 무대를 만들어주는데에 최척화된 브롤러로, 그만큼 팀원에 의존이 되는 단점을 가졌다. - *'''빈약한 1대1 능력''' 엘 프리모 같이 약한 브롤러를 제외한 웬만한 브롤러가 대부분 루 정도는 쉽게 잡는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도 결국 좋은 특수공격을 가지는 댓가로 매우 높은 에임 난이도와 낮은 대미지에 애매한 HP을 지녀서 에임이 안 좋을 경우 더욱 쉽게 카운팅 당한다. 루가 스턴을 건다면 뭐라도 해보지만 결국 그 역시 쉽지가 않다. 총 7발을 맞추면 스턴이 걸리는데 무려 3탄창 모두 비워야하고 에임이 좋아야지만 스턴이라도 걸 수 있다. 그로인해 장거리 전에서는 뭘 할수가 없다. - *'''매우 높은 난이도''' 루가 강력한 특수 공격과 스턴 패시브가 있음에도 나락으로 떨어진 결정적인 이유. 사실 낮은 대미지를 스턴으로 해결할 수 있고, 특수 공격을 통한 라인 장악도 플레이어의 에임이 좋다는 선에서만 그렇다는 거지 하나도 맞추지 못한다면 차라리 맥스를 하는 쪽이 더 낫다. 무엇보다 루의 스턴효과도 7발이나 맞춰야 적용되는 데 3탄창을 비우므로 1발 차이로 딜로스가 많이 발생하고 6번 적중하더라도 마지막 한번을 못 맞춰서 빙결이 바로 풀려지기 쉽다. HP도 생각보다 높지 않아서 집중포화를 잘못 맞았다간 저 세상행이다.
|
일단 잠재성 하나는 있지만 그것 뿐이고, 그 전에 스탯이 약해서 뭐 하기도 어렵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특히 데미지가 너무 낮은 점이 워낙 크게 적용되는데, 때문에 거의 무조건 팀원이 동원해야만 본격적인 밥값을 한다.
포지션 자체도 애매모호한 편이기도 한데, 변수창출이 뛰어난가 하면 진이나 타라가 더 유용하고, 광역 디버프를 걸자니 엠즈가 차라리 나아보일 지경이고, 스턴을 걸자니 어려워도 프랭크가 더 폭발적으로 스턴을 일으켜주니, 심지어 장거리 직사형 브롤러 중에서도 버프전 콜레트보다도 처참한 피해량을 가졌다. 한 탄창 3번 발사하는데 옆으로 비껴가기만 해도 1,2대 맞는 선에서만 끝나니까.
결국 나온지 '''1일'''만에 버프를 받게 되었다. 공격력과 HP가 소폭 증가되고, 빙결 지대 스타 파워의 효과가 증폭되었다. 더더욱 자주 스턴을 거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높은 에임난이도, 어려운 스턴 활용, 애매한 HP, 매우 낮은 DPS 등 여러 단점이 남아있어 큰 변화는 없었지만, 그래도 유저들의 의견은 확실히 전보다 괜찮아졌다는 의견이 많다. 브롤스타즈에서는 약간의 증가도 변동이 크다는 걸 생각하면 매우 적절한 패치다. 물론 소폭이라서 한번 더 버프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2020년 12월 패치로 여러 브롤러들이 버프받고 너프받는 와중에 아무런 패치도 받지 못했다. 심지어 에드거와 바이런의 등장으로 더더욱 고인 신세다.
2021년 2월 업데이트 때 여러 고인 브롤러들이 버프를 받는 시기에 다시 아무런 패치도 받지 못하였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8][9]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티켓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티켓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
으로 분류했다.일단 젬 케리어를 단순간에 스턴시키고 제압하는 용도로 잘 쓰이며, 사거리랑 탄속도 좋아 원거리 포킹도 쉽고, 특수기로 이동을 방해시키는 점 덕분에 주도권을 가져가면 게임을 쉽게 굴릴 수 있다. 체력이 떨어져 젬 케리어론 힘들다는 것은 알아두자.
파워 큐브를 충분히 먹어치울 수 있다면 의외로 잘 쓰일 수 있다. 체력과 공격력을 커버칠 수 있기 때문. 또한 티밍을 하게 된다면 서포터로 유용히 쓰이는데, 스턴 능력으로 압박을 걸고 다른 브롤러가 마무리 시킬 수 있다. 본인이 티밍 대상이면 한 명을 스턴시켜 양각을 벗어날 수 있어서 나름 유용하다. 쇼다운이면 특수기로 지형 장악을 편리하게 활용이 가능하기도 하다. 물론 파워 큐브가 많다는 가정하에고, 큐브 수가 부족하면 뭘하기도 힘드니 루팅 잘해둬야 한다.
표식이 다 찰 경우 팀원과 합세해서 한 명을 확정적으로 잡는 점이 강점으로, 특수 공격으로 광역으로 상대 팀에게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상대방을 지속적으로 스턴시켜 공을 놓치게 만들어주는 점은 유용하며, 골대를 수비하는 적군에게 특수 공격을 사용하여 수비하기 껄끄럽게 만들어줄 수 있다. 수비할 때도 일반 공격의 기절 효과를 활용할 수 있지만, 피해량이 낮아 단독으로 수비할 경우 높은 HP를 바탕으로 밀고 들어오는 탱커 브롤러들을 막기 힘들 수 있다.
수비에선 그래도 스턴 능력을 바탕으로 운영이 가능하지만, 혼자 잡는게 어렵고 1초 스턴시켜봐야 금고를 계속 친다면 무의미해진다. 거기다 특수 공격에는 피해량이 없어서 수비가 강제되는데, 팀원 한 명이 동원된다면 수비에서 매우 유리해지지만 그러면 금고를 공격하기 어렵다.
사거리가 길고 탄속도 빠른 덕분에 원거리전에 능하다. 지속적인 교전을 통하여 표식을 중첩시킬수록 상대방을 압박할 수 있다.
시즈 로봇에게도 표식이 적용이 되어, 로봇 수비를 매우 잘 해낼 수 있고 특수 공격 또한 시즈 로봇에게 효과가 있어서 엄청난 수비력을 보여준다.
[10] 만약에, 적의 방해가 없을 경우 단독으로 IKE포탑에 피해 없이 로봇을 수비 할 수 있다.
특수 공격을 활용하여 볼트를 먹으려 하는 적군을 막을 수도 있지만, 피해량이 낮아 단독으로 활동하는 무대에선 활약하기엔 힘들 수 있다. 로봇 공장처럼 로봇이 반드시 우회해야하는 경로가 포함되어 있는 맵에선 로봇을 거의 무력화시킬 수 있으니 맵에 따라선 OP급 캐릭터로 변모한다.
재장전 속도가 빨라져서 단일 대상에게는 기절 효과를 더 자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높은 매리트이지만, 일반 공격이 관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적군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경우 상대하기 힘들 수 있다.
빅 브롤러는 스턴 지속 시간이 감소되는 버프를 받기 때문에 일반 공격의 기절 시간이 짧아져 효율이 떨어진다. 그나마 특수 공격을 활용하여 빅 브롤러의 이동을 제한할 순 있다.
모든 로봇에게 일반 공격의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로봇들을 저지시키거나 보스의 벽을 부수는 패턴을 무시하는 등의 활용을 할 순 있지만, 일반 공격의 피해량이 낮아서 수비하기 어려우며 특수 공격도 벽 근처에 있는 로봇들을 제외하곤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스의 패턴을 손쉽게 끊어버릴 수 있다는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예로 들어 표식은 거의 다 채우고 기술을 시전하기 전에 바로 스턴을 시키는 식으로. 또한 지형이 많은 곳에서 특수기로 보스의 움직임을 어렵게 만드는 점 또한 도움이 된다. 다만 일반 공격이 피해량이 낮기 때문에, 잡몹 처리를 다른 아군에게 맞겨야 한다. 잘 쓰면 거의 콜트 성능이지만 난이도가 까다롭기 때문에 사용할 자신이 없다면 크레이지 이하에서만 사용하는 게 좋다.
일반 공격을 통한 기절을 통해 적군을 쉽게 제압할 수 있으며, 특수 공격 덕분에 지역 장악력이 좋은 편. 낮은 피해량과 낮은 HP로 인해 거점에 오래 있을 수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보스는 슬로우, 넉백, 기절 효과 등의 CC기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기 때문에, 일반 공격의 기절 효과를 거의 활용할 수 없다. HP도 낮은데다가 지속 피해량도 낮기 때문에, 매우 좋지 않은 픽.
8. 상성
9. 스킨
9.1. 기본 스킨
<rowcolor=#ffffff> [image]
| '''루''' 기본 스킨
|
직육면체 모양의 몸통, 반구형의 골반 부분이 서지와 비슷하다. 하지만 루는 멜빵을 매고 있고, 표정 변화가 자유롭다.
머리 뒷부분에는 손잡이가 있는데, 빙수 기계의 모습도 넣은 것이다.
몸통의 앞뒤에는 문이 있는데, 앞은 빙수를 보관하는 냉장고, 뒤는 특수 공격에 사용하는 시럽통이 담긴 보관함으로 보인다.
9.2. 킹 루(KING LOU)
<rowcolor=#ffffff> [image]
| '''킹 루''' 브롤 패스 진척도 스킨
|
[image]
|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이펙트 전용 애니메이션 전용 텍스쳐
|
획득
| 브롤패스 시즌 4 70티어 달성
|
- [ 킹 루의 승리/패배 모션 ]
<colcolor=#fff>[image]
| '''승리 모션'''
| [image]
| '''패배 모션'''
|
|
루의 브롤 패스 스킨.
친절한 빙수 파는 아저씨의 인상인 기본 스킨과는 다르게 탐욕스러운 왕의 인상이다.
일반 공격을 사용할 시 에그컵을 던지며, 특수 공격의 투사체에 왕관이 씌어지고, 특수 공격의 장판에는 귀금속이 펴져있다.
승리 시 자신의 배 속에서 황금알을 꺼낸 다음 오른손으로 살핀 다음 왼손으로 황금알을 스피너처럼 돌린 다음 주위를 둘러보고 황금알을 쓰다듬은 다음 배 속에 넣어두고 위압감이 있는 포즈를 취하며, 패배 시 왕관을 벗다가 갑자기 어지러워하며 뒤로 넘어지며 자신의 배 속에 들어 있던 황금알이 튀어나온다.
9.3. 멋쟁이 루(SMOOTH LOU)
<rowcolor=#ffffff>'''멋쟁이 루'''
|
발렌타인 기념으로 출시된 스킨.
일반 공격 시 마이크를 던지며, 특수 공격은 범위 주변에 음표들이 생기도록 변경된다.
여담으로 승리/패배 모션이 기존 루와 같아서 승리 시 마이크를 던지고 받는다. 또 패배 시에는 마이크를 얼굴에 박는다.
[11] 하지만 일반 루랑은 달리 마이크가 떨어져 나간다.
10. 업데이트 내역
[image] HP가 2800에서 3100으로 증가
[image] 일반 공격의 탄당 피해량이 380에서 400으로 증가
[image] 스타 파워 '빙결 지대'의 효과 40% 증가
- 게일과 미스터 P 트리오의 세번째 멤버로 빙수를 만드는 로봇이라고 한다. 빙수라기는 하지만 아이스크림 같이 생겼는데, 얼굴 모양도 아이스크림이랑 꽤 비슷하다.
- 모델링을 보면 서지와 비슷한 외형에다 거기에 미스터 P를 합쳐놓은 듯한 모습인데 귀엽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있지만 외형이 너무 단순한데다 개성이 부족하고 유치하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존재하며 이후에 출시된 바이런과 에드거의 외형이 큰 호평을 받으면서 비교적 좋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 로딩 스크린을 보면 미스터 P의 호텔 앞에서 빙수를 파는 모양이며 니타 때문에 애를 먹고 있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얼굴이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8비트를 제외하면 로봇 브롤러 중 표정 변화가 가장 자유롭다.
- 컨셉 아트를 보면 머리에 얼음을 넣어서 빙수를 만드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