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롤스타즈/브롤러
1. 개요
브롤스타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들.[1] 새로 얻는 브롤러 등장 시 실루엣으로 빙글빙글 돌면서 등장하는 효과가 있다.[2]
2. 브롤러
2.1. 희귀도
2.2. 역할군
브롤러들은 '''파이터(FIGHTER)''', '''저격수(SHARPSHOOTER)''', '''헤비웨이트(HEAVYWEIGHT)''', '''스로어(THROWER)''', '''어쌔신(ASSASSIN)''', '''서포터(SUPPORT)''', '''4번 타자(BATTER)''', '''파이어브리더(FIREBREATHER)'''의 역할군으로 나뉘어진다. 각 브롤러의 역할군은 이름 아래에 나와있으며, 각 역할군은 브롤러들의 공격 방식 및 플레이 방식에 따라 나뉘어진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크게 의미가 있는 편은 아니다. 유저들이 임의적으로 탱커, 딜러, 서포터로 나누는 게 더 유용하다.[13]
베타 때는 역할군의 이름이 브롤러마다 전부 제각각이였지만, 여러 번의 패치를 거쳐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14]
[ 역할군 설명 ]
매칭을 잡아줄 때는 역할군에 크게 고려하지 않고 '''브롤러'''의 트로피를 기반으로 잡아준다. 때문에 팀에 저격수만 세명이거나 근접 브롤러들로만 잡아주는 경우도 흔하다. 그러나 브롤러의 파워레벨은 조금만 고려하기에 500점 이상부터는 되도록이면 파워레벨을 높인후 하는것이 좋다. 브롤스타즈 게임 자체가 단독 플레이에 특화된 면이 있으며[16] 탱커도 진입기와 CC가 특수 공격에만 있고 아군 보호도 부실해서 굳이 역할군별로 조합을 갖출 필요는 없다. 역할군은 대략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그냥 참고사항 정도이다.
2020년 4월 1일부터 개최되는 브롤 마스터 이벤트에서는 인게임과는 별개로 포지션을 다섯 가지로 나누고 있다.
2.3. 브롤러 업그레이드
"파워 포인트(PP)"와 코인을 이용해 브롤러를 업그레이드 한다. 레벨 업을 하면 세 가지 능력치(체력, 일반 공격 피해량, 특수 공격의 능력치)가 동시에 오르며, 따로 올릴 수 없다. 클래시 로얄의 업그레이드 방식을 생각하면 쉽다.[17] 1레벨 업그레이드 할 때 마다 5%씩 단리로 스탯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레벨 6이면 모든 스탯이 레벨 1의 125%이고 레벨 9,10은 레벨 1의 140%이다.[18] 이는 전작인 클래시 로얄에서 1레벨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10%씩 복리로 스탯이 증가하는 것에 비하면 격차가 작은 편.[19]
파워 포인트로 인해 2017년 12월 이전에 비해 업그레이드가 힘들어지게 되었다. 전에는 신규 브롤러가 나오면 모아놓은 토큰으로 바로 업글할 수 있었지만 이제 파워 포인트를 모아야만 업글이 가능하다. 즉 자주 쓰는 브롤러를 선택적으로 키우기가 이전보다 힘들다. 물론 초반에 좋아하는 브롤러가 있으면 트로피 보상으로 얻는 선택 가능한 파워 포인트[20] 와 상점을 이용하면 자신이 좋아하는 브롤러를 레벨 6까진 2~3주면 키운다. 다만 집중 육성으로 다른 브롤러들의 업그레이드가 밀려 총 트로피 증가량이 적어질 수 있다. 트로피 등반가라면 주의할 것.
하지만 이제 브롤 패스의 등장으로 PP를 거의 1000개 가까이 한 시즌에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자신이 원하는 브롤러가 있다면 브롤 패스를 통해 손쉽게 9레벨까지 키울 수 있게 되었다. 코인 역시 브롤 패스에서 지급되는 양을 고려하면 한 브롤러 9레벨 찍는게 많이 쉬워졌다.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파워 포인트와 코인은 다음과 같다.[21] (단, 가젯 및 스타파워 비용은 누적 개수에서 제외)
2.3.1. 스타 파워
브롤러에게 패시브 격인 능력을 부여하거나 각 브롤러에 원래 있는 능력을 더 강화 시켜주는 시스템이다.
각 능력은 패치 후에도 바뀌지 않았으며 얻는 방식과 가격이 조금 변경되었다. 과거 1000토큰으로 구매가 또는 상자 획득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상자에서 얻거나 상점에 가끔 2000코인 혹은 169보석에 판매를 하는데, 이때 얻을 수 있다. 나머지는 위와 동일.
스타 파워가 있는 브롤러는 플레이할 때 캐릭터 아래에 있는 원에 브롤스타즈 로고 (해골) 모양이 있다.
스타 파워가 두 종류 존재하는 브롤러는 두 스타 파워를 다 잠금 해제하더라도 둘 중 하나의 스타 파워만 선택해 플레이해야 한다.
스타 파워는 현재 각 브롤러당 2개씩이지만, 미래에 3번째 스타파워가 출시될 수도 있다고 한다.[22]
2번째 스타파워가 출시되었을 당시에는 브롤스타즈의 밸런스를 붕괴시키는 주범이자 현질 유도를 점점 심해지게 하는 장본인이라고 평가를 받았다. 쉘리나 파이퍼의 경우는 스타파워 추가 전에도 충분히 좋은 브롤러라는 평을 받았지만, 새로운 스타 파워를 가지게 된 이후 사기로 날아올랐다. 기존 스타 파워의 성능이 영 아닌 브롤러들도 성능이 좋은 스타파워를 가지게 된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신규 스타파워의 성능이 영 아닌 경우도 있다. 그리고 두 스타파워, 더 나아가 캐릭터 간 스타파워의 능력이 균등하지 않아 기존, 신규 스타 파워가 묻히거나 밸런스 붕괴가 생긴 경우도 있었다. 현질 유도 문제도 마찬가지로 위에 서술되어 있듯이 브롤러를 9레벨을 만들어야 하고, 스타파워 자체의 가격도 비싼 편이다. 결국 스타파워를 얻기에는 오랜 시간과 투자가 필요한데, 신규 스타파워들의 출시로 현질 유도가 늘어났다. 지속적인 밸런스 패치로 두 스타파워 간의 성능 격차가 줄어 현재 대부분의 브롤러가 맵과 상성에 따라 스타파워가 선택된다.
현재 브롤러의 두 번째 스타 파워가 출시 될 때 일러스트와 같이 공개된다.
2.3.1.1. 구분 방법 및 스타파워 설명
기존에는 브롤러 하단에 브롤스타즈의 로고가 존재할 경우 스타 파워를 소유한 것이 확인되어 인게임에서 확인이 가능했는데, 각 브롤러마다 보유할 수 있는 스타 파워가 2개가 돼서 각 스타 파워 별 구분 방법과 스타 파워의 기능을 적어보았다. 모든 브롤러가 10레벨인 파워 플레이에서 특히 유용할 것이다.
[ 구분 방법 및 스타 파워 설명 ]
2.4. 가젯
2020/3월 업데이트로 출시된 브롤러들의 액티브 특수 스킬이다.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횟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파워 레벨 7부터 상자나 상점에서 얻어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하단의 초록색 버튼을 눌러서 사용한다. 해당 브롤러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보조 스킬에 가까운 성능을 가지고 있다.
가젯 역시 두번째 가젯이 추가되며, 2020년 7월 2일부터 2020년 9월 8일까지 시범적으로 10개의 가젯이 추가되었으며, 10월 22일부터 매주 금요일마다 2개씩 추가된다. 두가지 가젯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 스타파워와 마찬가지로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2020년 7월 2일부터 출시된 가젯들은 일러스트와 함께 공개되었으나, 2020년 10월 23일부터 추가되는 가젯들은 2개씩 추가해서 그런지 일러스트 없이 공개한다.
2.4.1. 특징
- 각 플레이어마다 한 번의 매치에서 3회까지 사용이 가능하며[23] , 사용 횟수가 0이 되면 그 매치에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 가젯 버튼은 버튼을 눌러야만 발동되며, 조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가젯이 설치 능력이라면 자신이 서 있는 위치에만 소환할 수 있다.[24]
- 가젯 발동에 조건이 필요할 경우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가젯 버튼이 비활성화된다.
[ 브롤러들의 가젯 비활성화 시 ]
}}}
- 브롤 볼에서 공을 잡은 상태로는 발동시킬 수 없다.[25]
- 적 브롤러를 공격하는 가젯의 경우 대릴의 가젯을 제외하면 적 브롤러를 맞춰도 브롤러들의 특수 공격을 채워주진 않는다.
- 각 가젯은 1번 사용 후 6초의 쿨타임을 가지고 있다.(연속으로 사용 불가)
- 가젯 사용 후 가젯 충전 시 체력이 동시에 차지 않는다.
3. 수치 정보
- 참고 수치
- 반지름, 거리(속도): 300 = 1타일(/초)[26]
- 각도: 2 = 1˚
- 폭발 너비: 30 = 1타일
- 돌진 넉백 거리: 60 = 1타일
- 사정거리: 3 = 1타일
특수 공격 게이지 충전은 각 브롤러마다 일반 공격으로 채워질 때의 특수 공격 충전 상수, 특수 공격으로 채워질 때의 특수 공격 충전 상수가 따로 있고, (충전 상수 * 1렙 기준 총 공격량)로 결정되고, 총 400,000을 채우면 특수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라의 일반 공격으로 3회 맞췄다면, 총 공격량은 3 * 400 = 1,200 이고 일반 공격으로 특수 공격 충전 상수가 82이므로 82 * 1,200 = 98,400으로, 98,400 / 400,000 ≒ 0.246, 즉 24.6% 만큼 특수 공격 게이지가 충전된다.
공격 수단이 관통이거나 폭발이라면, 한 번에 여러 명을 맞추게 되면 특수 공격 게이지는 빠르게 충전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적 브롤러의 체력이 얼마나 남았는가는 관계없이 실제 가해진 공격량이 특수 공격 게이지 충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대방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더 많은 공격을 넣을 수 있다면 특수 공격 게이지 충전에 도움이 된다. 각 문서에서는 간단하게 (충전 상수*기본 공격력)로 계산한다.
참고로, 스타 파워 능력을 이용하여 추가로 입히게 되는 공격량의 경우(네이팜 로켓, 불협화음 등) 게이지 충전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각 스킬에는 보통 딜레이(MsBetweenAttacks), 액티브 타임(ActiveTime), 쿨타임(Cooldown)이 있다. 딜레이는 버튼 누르고 행동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 액티브 타임은 행동 시작해서 끝내는 데 걸리는 시간, 쿨타임은 같은 행동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프랭크 일반공격은 딜레이 0.6초 액티브 타임 0.7초 쿨타임 0.05초이고 프랭크의 궁극기는 딜레이 1.1초 액티브 타임 1.2초 쿨타임 0.05초인 것을 생각하면 되고, 액티브 타임만 따로 보려면 브록의 궁극기가 딜레이 0.2초 액티브 타임 1.85초 쿨타임 0.25초인 것을 생각하면 된다. 쿨타임은 파이퍼, 재키, 나니, 바이런이 0.5초로 가장 길다.[27] 예를 들어, 타라의 일반 공격으로 3회 맞췄다면, 총 공격량은 3 * 400 = 1,200 이고 일반 공격으로 특수 공격 충전 상수가 82이므로 82 * 1,200 = 98,400으로, 98,400 / 400,000 ≒ 0.246, 즉 24.6% 만큼 특수 공격 게이지가 충전된다.
공격 수단이 관통이거나 폭발이라면, 한 번에 여러 명을 맞추게 되면 특수 공격 게이지는 빠르게 충전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적 브롤러의 체력이 얼마나 남았는가는 관계없이 실제 가해진 공격량이 특수 공격 게이지 충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대방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더 많은 공격을 넣을 수 있다면 특수 공격 게이지 충전에 도움이 된다. 각 문서에서는 간단하게 (충전 상수*기본 공격력)로 계산한다.
참고로, 스타 파워 능력을 이용하여 추가로 입히게 되는 공격량의 경우(네이팜 로켓, 불협화음 등) 게이지 충전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1. HP(체력)
체력 개편 이전에는 현 체력의 1/4배 수치였다.(공격력도 1/4배 수치)[28]
3.2. 이동 속도
브롤러들을 이동 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분류 및 나열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3.3. 사정거리
사정거리의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근거리: 4.67 타일 미만
- 중거리: 4.67 타일 이상 ~ 6.67 타일 이하
- 장거리: 7 타일 이상 ~ 9타일 이하
- 초장거리: 9 타일 초과
3.4. 피해량
3.4.1. 일반 공격 피해량
3.4.2. 특수 공격 피해량
회복 능력은 피해량을 마이너스로 계산한다.
3.4.3. 기타 피해량
3.5. 재장전 속도
칼은 단발 탄창으로 곡괭이를 던지고, 벽에 부딪히면 튕기고, 받을 때 장전되므로 던지고 받는 위치, 벽 튕김 등에 따라 장전시간이 일정하지 않다. 정지 상태에서 벽에 튕기지 않을 경우 약 1.6초 정도 걸린다. 벽에 붙어서 튕겨 받으면 최소 0.5초가 걸린다.[86]
칼과 비, 앰버를 제외한 브롤러들은 한 탄창에 다수의 일반 공격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대부분은 최대 3발을 보유할 수 있다. 맥스와 로켓 4호기 스타파워를 장착 중인 브록은 최대 4발을 보유할 수 있다. 공격할 때마다 한 발이 소모되고, 탄창이 비어있으면 공격할 수 없다. 일반 공격 또는 특수 공격을 하고 있는 중이 아니면 장전 시간만큼 기다리면 탄창이 찬다. 따라서 공격시간이 길면 공격이 다 끝난 뒤 장전이 시작되므로 실질적인 장전시간이 길어진다.
3.6. 상대 성능(상성)
4. 스킨
앰버, 바이런, 에드거를 제외한 모든 브롤러들은 외형과 이펙트 등을 변화시켜 주는 스킨을 가지고 있으며, 보석을 지불하고 구입할 수 있다. 각 브롤러별 스킨은 각 브롤러의 개별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스킨은 단순히 외형만 변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공격 이펙트, 효과음, 승리/패배 시 애니메이션, 목소리가 변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전용 대사를 가지기도 한다. 물론 변화하는 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비싸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87]
스킨은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한국 기준 오후 5시가 지날 때 마다 4개씩 갱신된다.
스타 포인트로 살 수 있는 '스타 스킨'도 존재한다. 대부분 기존 스킨의 팔레트 스왑 버전이지만, [88] 스타 포인트가 보석에 비해 모으기가 월등히 쉬운 만큼 구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 스킨처럼 한국 기준 오후 5시가 지날 때 마다 2개씩 갱신된다.
브롤 패스의 마지막 티어 보상으로 크로마틱 브롤러의 한정 스킨을 얻을 수 있다.
특정 스킨들은 시즌 기간[89] 에 한정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즌 기간동안 언제든지 스킨을 구입할 수 있지만, 대신 시기를 놓치면 다음 시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 스킨들의 경우 스킨 이름 옆에 전용 아이콘이 달려 있다. 2021년 1월 8일 이후에는 2018년 브롤리데이 스킨의 판매가 종료되고, 2021년 3월 2일 이후에는 2019년 설날 스킨의 판매가 종료되어 더이상 구매할 수 없어진다.
콜라보레이션 스킨이나 이벤트, 배포 스킨 등도 스킨 이름 옆에 전용 아이콘이 달려 있기도 하다.
가끔 브롤러 리모델링을 할 때 스킨도 같이 리모델링이 되거나 스킨에 이펙트가 추가되는 경우가 있는데, 스킨이 더욱 고퀄리티가 되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리모델링 전에 해당 스킨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올라가는 수치만큼의 보석을 가져간다던가 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득을 본다.[90]
5월 업데이트 이후로 로커 모티스, 터치다운 불, 셰프 마이크, 붐박스 브록, 원시인 프랭크의 스킨이 '아카이브'로 이동될 예정이다. '아카이브'로 이동된 스킨은 상점 로테이션에서 제외되어, 1년에 한두 번, 짧은 기간 동안만 팔아서 스킨의 희소성이 높아진다.
팀원이나 적의 스킨을 보고 실력이 어느 정도일지 추측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비싼/기본 스킨을 끼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잘하는/못하는 것은 아니다.[91]
2020년 7월 업데이트로 일부 브롤러에게 트루 실버, 트루 골드 스킨이 추가되었다. 9레벨 이상의 브롤러를 가지고 있다면 10000골드로 그 브롤러의 트루 실버 스킨을 구매할 수 있으며, 트루 실버 스킨을 보유하고 있다면 25000골드로 해당 브롤러의 트루 골드 스킨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몸 전체가 은색, 금색으로 변하는 것이 전부이다. 한마디로 스타포인트 스킨처럼 팔레트 스왑.[92]
스킨에는 기존 브롤러와 비교하면 많은 변경점들이 있다. 물론 한 스킨을 사면 모든 요소가 그 스킨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93]
2020년 12월 15일 이후에는 보석으로 구매하는 스킨의 가격이 1보석씩 감소하였다.
[ 스킨의 요소 ]
4.1. 종류
[ 스킨의 종류 ]
4.2. Supercell MAKE
브롤스타즈는 종종 스킨 공모전을 열기도 하는데, Supercell MAKE라는 사이트에서 열게 된다. 우승한 스킨은 '''실제로 게임에 추가'''되며, 브롤 플레이어들이 이 스킨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 금액의 일부를 디자인한 사람이 '''현실 돈'''으로 지급받게 된다. 우승작 및 입상작 선정은 유저 투표와 슈퍼셀의 심사를 거친다.
5. 체험(훈련 지역)
2019년 4월 패치로 추가된 기능. 브롤러 정보 프로필에서 '선택' 탭 아래에 '체험' 탭을 누르면 플레이 가능하며, 자신이 얻지 않은 브롤러도 플레이가 가능하니 미리 성능이 어떤지를 볼 수도 있다.
화면 우측 상단에는 초당 피해량이 실시간으로 집계된다.
들어가면 훈련 지역으로 입장하게 되는데, 젬 그랩 풍의 맵에 로보 럼블과 보스전에서 봤던 로봇들이 고정된 채로 놓여 있으며, 총을 든 로봇을 제외한 다른 로봇들은 공격하지 않는다. 이 소총수 로봇의 피해량은 500이고, 공격 속도는 1.4초이며, 소총수에게 저격당하게 된다면 다시 부활한다.
로봇들은 처치 시 초당 피해량 수치가 0이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생성된다.
브롤러의 레벨은 자신이 해당 브롤러를 가지고 있다면 브롤러의 레벨로, 없다면 1레벨로 입장하게 된다.
일반 모드처럼 13분 14초의 시간제한이 있다. 체험 공간에 들어간지 약 13분 14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나가지는데, 브롤러들이 각각 졌을 때의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20개가 4x5의 크기의 작사각형 모양으로 놓여 있는 작은 소형로봇을 진이 특수 공격으로 끌어와서 특이한 모양을 이루게 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8월 업데이트 이후로 훈련장에 덤불이 생겼다. 파이퍼나 로사의 스타파워 등 덤불이 있어야 발동되는 능력을 시험해 볼 수 있게 되었다.
9월 업데이트 이후로 훈련장 테마가 광산 테마에서 스타 파크 테마로 변경되었다.
2020년 10월 업데이트로 명칭이 스타 파크에서 스타 파크 정문으로 변경되었다.
6. 시즈 로보
브롤스타즈에는 일부 모드(훈련장 포함)에 등장하는 AI 로보들이 존재한다. 싸우는 방식은 무빙 없이 단순하지만, 슈터, 복서, 소형 로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강하고 많은 수가 떼로 몰려오기 때문에 갈수록 난이도가 점점 올라간다. 각 로보들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image]
- 슈터 로봇[96]
사실 모든 로보 중 가장 성가시게 하는 로보. 방어력은 낮고 공격력은 강하다. 등장하는 모드는 보스전, 로보 럼블이다. 이 모드에서 로보들은 경과 시간이 지날수록 강화되어 플레이어들을 공격하는데 강화된 슈터 로보의 데미지는 절대로 무시를 못한다.[97] 더 무서운 점은 탄속, 공속 모두 위협적이다. 마지막으로 공격력 뿐만 아니라 이속과 체력도 올라가므로 하나 죽일려면 두세 탄창은 소비해야 한다. 로보 럼블에서는 벽을 미세하게 끼고 코너샷을 하는 슈터 로보도 보이는데 이러면 슈터 로보는 멀리서 다 때려 박는데 내 브롤러는 근접에서만 때려지는 상황도 생긴다.[98] 여담으로 리코의 구 모델링인 리코셰의 모델링이 이 슈터 로보를 재활용 한 것이다. 또한, 체험장에서 유일하게 공격을 하는 로봇이다.[99]
[image]- 복서 로봇
양 손에 권투 글러브를 끼고 싸우는 로봇. 공격력은 상당히 낮지만 방어력이 아주 좋다. 공격 방식이 니타의 곰을 떠올리면 쉽다. 그런 탓에 첫 등장시에는 그냥 탄창 낭비만 시키게 하는 잉여이지만 노랗게 강화되면 체력이 무려 16200에다 이속도 좋아져 철거하려면 단단히 각오해야 한다. 공속도 좋아 금고에 하나 둘 달라 붙으면 아주 치명적이다. 과거 로보 럼블 초창기때는 거대 로봇이 없는 대신 복서 로봇이 돌진을 했다. 한가지 다른점이 있다면 거리가 시야 속에 있는 가장 가까운 타게팅된 브롤러의 위치까지다.
[image]- 소형 로봇[100]
[image]
- 거대 로봇
복서 로봇의 특대형 버전. 마찬가지로 양 손에는 권투 글러브를 끼고 공격 방식은 복서 로봇과 같다. 등장하는 모드는 쇼다운[101] , 시즈 팩토리[102] , 로보 럼블[103] 뿐이다.
[image]- 보스 로봇
보통 거대 로봇 보다 큰 사이즈에 화난 듯이 외눈 위에는 v자 눈썹에 양 손에는 가시 박힌 철퇴를 달고 다닌다. 이 로봇은 근접 공격뿐만 아니라 여러 특수 공격을 가지고 있다. 보스전[104][105] 에서 등장하며, 브롤러 체험 훈련장에서도 프랭크보다 조금 큰 사이즈에 엄청 높은 체력(100,000 HP)으로 가만히 서 있는 상태로 등장한다.
과거에는 테이크다운에도 등장했으나, 테이크다운이 삭제되면서 현재는 보스전에서만 등장한다.
7. 외형 리모델링
매달 패치 때마다 브롤러를 리모델링한다. 2019년 1월 패치에서는 많은 브롤러를 한번에 리모델링 한 적도 있다.[106]
리모델링을 진행하는 브롤러의 대부분은 구 모델 규격에 맞게 모델링이 된 브롤러들[107] 로, 신 규격 브롤러의 모션이 적용되지 못한채 T자 자세를 해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모델의 퀄리티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신 모델 규격에 맞는 새로운 모델링을 만든 것이다.
리모델링을 하는 것은 좋으나 문제점이 있는 브롤러들도 있어, 호불호가 심각하게 많이 갈리는 편이다.[108] 물론 모든 브롤러가 호불호 갈리는것은 아니며 리모델링으로 호평받는 브롤러도 있다. 대표적으로 크로우와 파이퍼. 그리고 리모델링을 한 브롤러는 색상이 진해진다.[109]
2020년 7월 업데이트 때 크로우[110] 를 마지막으로 구 모델 규격을 사용하는 브롤러는 없게 되었다.
2020년 7월부터는 단순했던 브롤러들의 표정을 다양하게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쉘리와 콜트, 9월에는 제시, 10월에는 파이퍼, 11월에는 8비트, 2021년 1월에는 니타, 불, 다이너마이크, 재키, 프랭크, 비비, 모티스, 맥스.
정식 출시 이후 출시된 브롤러들부턴 출시되었을 때부터 새로운 모델 규격이 적용된 상태로 나왔다.
8. 기타
원래 각 브롤러의 설명이 브롤러에 대한 짤막한 스토리였지만 2018년 12월 5일 패치로 삭제되었다.[111] 단 개발팀 소식에 따르면 추후에 다시 추가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한다.
[스토리 목록]
브롤러의 성별을 모르겠다면 언어를 영어로 바꾼 후 브롤러의 설명을 보면 된다. 콜트, 불, 레온 같이 his라고 되어 있으면 남자, 쉘리, 니타, 제시 같이 her이라고 되어 있으면 여자다. 스파이크의 경우 his나 her라는 설정은 존재하지 않는다.[112]
각 브롤러마다 혈연 관계가 존재한다. 니타와 레온은 남매 관계라고 하며, 제시와 팸은 엄마와 딸 관계[113] , 모티스와 엠즈는 삼촌과 조카 관계라고 한다.[114][115]
브롤스타즈의 캐릭터 디자이너인 폴 체임버스(Paul Chambers)에 의하면 브롤러는 한 테마 당 3개씩으로 만든다고 한다.
[트리오 목록]
현재 브롤스타즈는 남성 브롤러 27명, 여성 브롤러 16명[116] ,성별 불명 1명.[117]
초창기 신화 브롤러들은 저승사자, 점쟁이, 지니처럼 신비로운 느낌의 브롤러였는데 연관성이 거의 없는 슈퍼 히어로, 펭귄, 식물, 약장수가 나왔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신화는 등급의 일종일 뿐 컨셉과는 별개다.
최근에 브롤러가 브롤패스 브롤러까지 추가 되서 폭발적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
9. 브롤러 별 성우 목록
브롤스타즈의 브롤러들 대부분은 게임 내에서 목소리를 낸다. 타라, 진, 미스터 P 등 사람 목소리가 아닌 이상한 소리를 내는 브롤러도 있지만, 대다수의 브롤러들은 사람 목소리를 내고 이 목소리들은 성우가 녹음한 것이다.
브롤스타즈에서 내외적 요인을 통해 담당 성우가 밝혀진 브롤러는 다음과 같다.[118]
- 쉘리[119] , 엠즈, 재키 - 샌드라 에스피노자
- 니타 - 마리사 렌티
- 콜트 - 빌리 카메츠 [B]
- 불 - 빌 러셀[120]
- 제시 - 마야 터틀
- 브록, 에드거 - 스콧 윌리엄
- 다이너마이크 - 재스 패트릭
- 보 - 브라이언 스티베일
- 포코 - 대런 로벅 [121]
- 로사 - 셰일라 윌리엄스
- 페니 - 마리아 아르티가
- 칼 - 윌 어든
- 파이퍼 - 엘리자베스 세이다
- 팸 - 제니퍼 위드라
- 비비 - 빈디 코다
- 비 - 티파니 그랜트
- 모티스 - 에드 메이스 [B][122]
- 맥스 - 샌드라 오스본
- 바이런, 서지 - 스티븐 켈리
- 레온 - 벤저민 토마스
- 샌디 - 패트릭 페드라자
- 앰버 - 리어 아스코트
- 게일 - 딘 컴포기니스
- 콜레트 - 케이티 스나이더
- 루 - 존 몬델리
- 러프스 대령 - 블라이스 멜린
10. 관련 문서
[1] 싸움을 뜻하는 브롤(Brawl)에 접미사 er을 붙인 것으로, 한국어로 치면 '''싸움꾼''' 정도의 뜻이 된다.[2] 몇몇 눈썰미 좋은 유저들은 실루엣만 보고 무슨 브롤러인지 맞추기도 한다.[3] 브롤 패스, 혹은 도전 보상 스킨이 간혹 진척도 브롤러의 스킨인 경우가 있는데,(예: 브롤 패스 시즌 2, 4, 듀오 챌린지) 이 경우 해당 보상을 획득하게 되면 트로피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물론 과거 일반 브롤러 시절에 얻어두거나 타 희귀도에서 내려온 경우도 트로피가 맞지 않아도 진척도 브롤러를 갖고 있을 수 있다.[4] 간혹 베타 시절의 이름이었던 '일반 브롤러'라는 이름을 혼용할 때도 있다. 게임 내 도움말이 대표적.[5] 과거 일반 브롤러일 때 상자에서 6% 확률로 나왔다.[6] 트로피를 진출하자마자 자동으로 얻어지는 것은 아니고, 트로피 진척도 페이지에 들어가서 수령을 하면 잠금해제 된다.[행운수치] A B 초희귀 및 전설 브롤러 확률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행운수치 시스템 때문인데, 상자를 많이 열면 열수록 행운 수치(0.005%)가 초희귀 획득 확률에서 전설 등급 뽑기 확률에 미세하게 올라간다.[7] 다른 희귀도처럼 일일 특가에 뜨는 건 아니고 보통 신규 전설 브롤러가 출시 되면 그 브롤러를 700보석에 판다.[8] 2020년 12월 24일에는 앰버를 629개로 세일해서 팔았다.[9] 전설, 신화, 영웅 순으로 브롤 패스 시즌이 지날 때마다 확률이 상승하며, 영웅 등급에서 더 내려가지 않는다.[10] 크로마틱 브롤러는 상자에서 획득해도 행운 수치, 즉 전설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크로마틱 브롤러의 획득 확률도 확률 분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2020년 11월 업데이트 이후로 크로마틱 브롤러도 획득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11] 해당 시즌의 브롤 패스에서의 크로마틱 브롤러는 티어 30을 도달하여야만 얻을 수 있다.[12] 획득 확률이 높아질 때마다 해당 희귀도의 브롤러 가치에서 0~1개의 보석을 뺀 값으로 판매한다.[13] 사실, 탱딜힐로 나누는 게 유저들 입장에서도 편하고 훨씬 간단하다.[14] 주요 1차 : 2018년 12월 5일, 주요 2차 : 2020년 1월 24일, 중간중간에 일부 브롤러의 분류가 조금씩 바뀌기도 했다.[15] 출시 직후에는 Sniper라는 고유의 역할군에 포함되어있었다. 한국어판은 Sharpshooter나 Sniper모두 저격수로 표기되어 있었다.[16] 대표적으로 팸은 역할군은 서포터이나 능력치를 보면 탱커나 딜러로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이다.[17] 파워 포인트가 각 브롤러마다 고유하므로 클래시 로얄의 카드, 코인는 그대로 업그레이드 할때 드는 비용이라 생각하면 된다.[18] 레벨 9, 10의 차이는 스탯이 아니라 스타 파워로 인한 특수 능력 유무이다.[19] 클래시 로얄의 일반 등급의 카드일 경우 레벨 13의 스탯이 레벨 1의 313.8% 정도 된다.[20] 특히 트로피 2300 보상의 150 파워 포인트가 크다 [21] 파워 포인트의 요구량이 피보나치 수열의 일부를 이룬다.(단 각 항에 10배 곱했다)[22] 발견된 더미 데이터의 경우 쉘리, 콜트, 불, 제시, 다이너마이크, 포코, 파이퍼, 비비, 모티스, 칼, 스파이크, 레온 등이 있다. 당분간은 스타파워를 가진 유저가 적은 문제로 출시되지 않는다고는 하나 공식적으로 추후에 출시할수 있다고 밝혔다.이런 식으로 된다면 현재 2개씩 출시되고 있는 가젯도 3번째가 추가될 가능성도 높다.[23] 가젯이 출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는 일부 가젯의 사용 횟수가 2회로 줄어들기도 했지만, 결국 해당 가젯들도 밸런스 패치로 인해 전부 사용 횟수가 3회가 되어서 모든 가젯의 사용 횟수는 3회로 통일되었다.[24] 조이스틱을 꾹 누르면 가젯의 사정거리를 볼 수 있는 가젯들도 있다.[25] 공을 잡고 있을 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고 뜬다.[26] 인포그래픽 참조. 발리의 화염병 폭발 반지름이 정확히 2타일, 이에 대응되는 반지름 값이 600.[27] 보통 쿨타임은 0.05초나 0.25초 [28] 보통 100단위에다가 4배로 되어 400단위로 이루어지다가, 밸런스 패치가 되감에 따라 꼭 400단위로 나누어지지는 않게 되었다. (예시: 불-5000)[29] 스타 파워 '스펀지' 장착 시 '''10900.'''[30] 가젯 '서비스 벨'로 강화할 시 2960[31] 분신은 피해를 2배로 받는다.[A] A B C 돌진, 도약 특성은 제외. '''왼쪽(파란)''' 조이스틱으로 조종이 가능한 경우만 서술.[32] 게이지가 모두 충전되어 있을 때의 탄환은 40발이다.[33] 피해량은 낮으나 연사력이 매우 높다.[34] 최소 피해량부터 HP가 가장 높은 프랭크 사이의 피해량이다.[35] 스타 파워 '스펀지'를 장착한 프랭크를 상대로는 최대 4033까지 피해를 준다.[36] 2700은 첫 대상을 맞춘 바로 뒤의 적에게만 해당된다.[37] 스타 파워 '네이팜 로켓'을 장착할 시 1456 + (520 x 2) (2496)[38] 일반 공격이 전이될 경우 전이될 때마다 피해량이 25%씩 감소한다.[39] 스타 파워 '영혼 따귀'를 장착할 경우 1812 / 302 x 6 (1812)(2차 공격)[40] 상대가 두 명 이상 히트박스를 겹치고 있으면 2차 공격을 모두 적중시킬 수 있다. 3단계 업그레이드가 되어 있으면 2차 공격의 탄환을 3개까지 적중시킬 수 있다.[41] 보스 로봇 기준, 모든 탄환을 맞출 수 있다.[42] 스타 파워 '약한 먹잇감'을 장착할 시 (568 x 3) + (142 x 4(독 피해량)) (2272)[43] 스타 파워 '유독성 알코울'을 장착할 시 1092 x 2 (2184)[44] 스타 파워 '매복' 장착 + 덤불에 있을 경우 875 ~ 2928[45] 속도가 빠른 브롤러들이 일반 공격을 맞고 일반 공격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는 최대 4회까지 타격이 가능하다.[46] 스타 파워 '나쁜 냄새'를 장착할 시 (720 + 873 + 1019) (2620)[47] 헤비웨이트 브롤러들과 8비트, 팸와 같은 히트박스가 넓은 상대로는 가시를 3개 까지 적중시킬 수 있으며, 나머지 브롤러 상대로는 가시를 2개 까지 적중시킬 수 있다. 보스 로봇 상대로는 모든 가시를 적중시킬 수 있다.[48] 스타 파워 '슈퍼 통통탄' 장착 + 전탄이 벽에 튕길 시 572 x 5 (2860)[49] 가젯 '추가 코인'이 적용될 시 448 x 18 (8064)[50] 스타 파워 '불협화음'을 장착할 시 -2940 / 800[소환물] A B C D E F G 소환물이므로 소환물이 제거되지 않는 한 무한으로 피해량이 적용되기에 1회 타격 기준으로 작성.[51] 스타 파워 '엄마의 폭풍 압박'을 장착할 시 -448 / 800[52] 진은 특수 공격이 적중한 적의 치유를 중단시킴[53] 스타 파워 '은신 치유'를 장착할 시 -1000 x 6 (-6000)[54] 스타 파워 '거친 모래'를 장착할 시 100 x 9 (900), 스타 파워 '치유의 바람'을 장착할 시 -250 x 9 (-2250)[55] 스타 파워 '하드 랜딩'을 장착할 시 1000[56] 가젯 '서비스 벨'로 강화할 시 514[57] 스타 파워 '곰과 나'를 장착할 시 니타 한정으로 400 + (-500)[58] 상대의 최대 HP에 비례.[59] 스타 파워 '후원 감사'를 장착 + 특수 공격 사용 시 336 x 5 + (-420 x 5) (1680 + 2100)[60] 1번째 스타 파워를 장착할 경우 2400[61] 가젯 '선장의 나침반'을 사용하면 대포알을 2개까지 적용시킬 수 있고 스타 파워 '불꽃탄도 적용된다.[62] 스타 파워 '마지막 한 방' 장착 + 대포 파괴 시 1680 x 4 (6720), 스타 파워 '불꽃탄'을 장착할 시 1680 + (400 x 3(장판) (2880)[63] 스타 파워 '파워 그랩' 장착 + 적 처치 후 12초 이내일 시 2520[64] 스타 파워 '따뜻한 햇살' 장착 + 특수 공격 범위 내에 위치할 시 560 + -800 (2800 + -4000)[65] 스타 파워 '자동 집중'을 장착할 시 2812 ~ 5300[66] 스타 파워 '폭파'를 장착할 시 4080[67] 로켓이 모두 적중한다면 9000이 넘어가는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로켓이 넓게 퍼져서 3개까지만 명중할 수 있다.
보스 로봇은 5개까지 적중이 가능하다.[68] 탄이 모두 적중한다면 9000이 넘어가는 피해를 줄 수 있지만 탄이 히트박스 바깥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10개 까지만 적중할 수 있다.
보스 로봇에게는 모든 탄을 적중시킬 수 있다.[69] 스타 파워 '약한 먹잇감' 장착 + 상대의 HP가 50% 이하일 때 (568 x 10) + (142 x 7(독 피해량))(6834)[70] 스타 파워 '슈퍼 통통탄' 장착 + 일반 공격 전탄이 벽에 튕길 시 (448 x 12) + (100 x 12) (6576)[71] 최대 '''-5319'''. 쇼다운과 같이 파워 큐브를 통해 능력치를 높일 수 있는 모드에서는 더 높은 HP를 회복할 수 있다.[1타_피해량] A B 타격 횟수가 정해지지 않아 1타 피해량만 작성[72] 히트박스가 클 경우 520 x 30 (15600)까지 피해를 입힐 수 있다.[73] 받는 피해의 30%를 반사한다.[74] 바위 하나 당의 피해량이라 바위를 몇 개를 맞는지에 따라 피해량이 달라진다.[75] 히트박스가 크다면 400 x 15 (6000)까지 가능하다.[76] 피해량만 따지면 1200 x 20 (24000)으로 매우 높지만 다이너마이트가 매우 넓게 퍼지고 바로 터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 맞히기도 어렵다.[77] 히트박스가 크거나 주변에 벽이 많다면 '''320 x 16 (5120)''' 까지 가능하다.[78] 스타 파워 '야생 불꽃' 장착 시 0.15초.[79] 공격 사거리 이내의 벽의 유무, 스타파워에 따라서 장전 속도가 달라짐.[80] 런 앤 건 스타파워 장착 시 약 1.1초.[81] 불은 스타 파워 '버서커' 장착 + HP 60% 이하일 시 0.8초[82] 대릴은 스타 파워 '롤링 리로드' 장착 + 특수 공격 사용 시 0.9초[83] 재빠른 저격 스타파워를 장착하고 적을 맞췄을 시 1.38초.[84] '오토매틱 재장전' 장착 시 2.07초.[85] 생존용 삽 가젯 사용 시 1.2초.[86] 이전에는 벽에 붙어서 재장전 딜레이가 매우 짧아서 곡괭이를 엄청 빠른 속도로 튕겨 엄청나게 많은 딜을 넣을 수 있었다.[87] 예외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해변의 브록, 해변의 제시, 바캉스 팸 스킨은 80보석에 판매하지만 외형 외에 이펙트, 사운드까지 변하지만, 프랭크의 스킨들은 가격은 같은데 외형 변화 외에는 변하는 것이 없다. 특히 이블 진과 엘 브라운은 메카 스킨과 변하는 것이 똑같으면서 반값에 판다.[88] 장식이 추가된 아이리스 타라와 가방 모양, 복장이 바뀌는 대학생 엠즈 등 팔레트 스왑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 기존 스킨에 비해 비주얼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89] 추석(중추절), 크리스마스, 설날, 할로윈[90] 가격이 올라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91] 초반에 현질을 해서 고가의 스킨들이 많은 사람도 있고, 계속 보석을 모으거나 다른 재화를 구입해 스킨이 많이 없는 사람들도 있다. 게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대부분 비싼 스킨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스킨만으로는 가늠이 불가능하다.[92] 그나마 스타 포인트 스킨은 더 화려해지고 이펙트가 바뀌는 경우도 있으나 실버/골드 트루 스킨은 그런 거 없다. 이후 2020년 11월 업데이트로 둘 다 반짝이는 효과, 골드 스킨의 경우 후광 효과까지 추가되었다.[93] 다만 값비싼 스킨들은 대부분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94] 출시할 때는 이름이 언더월드 보로 변경되었고, 약간 리디자인 되었다.[95] 언더월드 보처럼 이름이 바뀌진 않았지만, 약간 리디자인 되었다.[96] 리코의 구형 버전인 리코셰와 외형을 일부 재활용하였다.[97] 화남 상태(보라색)만 되어도 데미지가 1000을 넘어간다.[98] 다만 메커니즘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므로 자기가 낀 벽에 총을 쏴대기도 한다(...).[99] 슈터로봇때문에 보스전을 못깨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100] 원래 계획하려던 브롤스타즈의 캐릭터들중, 이 로봇이 있다. 하지만, 게임 컨셉을 바꾸면서 이 로봇을 제외한 캐릭터들은 출시가 되지 않았다.[101] '앵그리 로보' 모드 옵션 한정. 제일 가까운 적을 향해 쫓아가며 잡으면 무려 파워 큐브 3개를 떨군다.[102] IKE포탑을 향해서만 나아가므로 진이 아무리 끌어온다 한들 다시 전진한다. (대신 어떤 브롤러/소환수가 앞에 있으면 그것부터 때리고 본다.) 이전에 시즈 로봇이 플레이어만 쫓아다니는 버그가 있었으나 현재는 고쳐졌다.[103] 5번째 라운드에서 등장하고 로켓을 난사하는 경우가 있다.[104]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옵션이 하나씩 추가된다. 처음엔 레이저 발사만으로 그치지만, 나중에는 돌진이나, 로켓 발사도 한다. 게다가 크레이지부턴 파워큐브를 지급한다.[105] 공격 옵션만 추가되면 그것도 부족한지, 화남, 분노함, 격분함, 그리고 천하무적 단계로 근접 펀치, 돌진, 레이저 등의 모든 공격의 피해량이 올라간다. 무엇보다 악명이 높은 건 바로 레이저 발사인데, 분노함 단계부터는 레이저가 벽을 파괴하기 시작하고, 격분함 부터는 사정거리 내의 모든 대상과 벽을 관통한다.[106] 콜트, 대릴, 스파이크, 리코셰(이름도 리코로 개명), 포코.[107] 스파이크, 리코셰, 콜트, 포코, 보, 파이퍼, 타라, 엘 프리모, 대릴, 팸, 크로우, 프랭크가 이에 해당되는 경우였다.[108] 대표적으로 호불호가 갈리는 브롤러는 보와 엘 프리모, 대릴. 물론 대릴의 경우는 보, 엘 프리모보단 덜 하다. 대릴은 리모델링 후 더 멋져졌다는 평이 다수이지만, 리코와 똑같은 머리와 목소리에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109] 3D 업데이트 후 리모델링을 받은 모든 브롤러가 동일하다.[110] 기본 크로우, 화이트 크로우 한정. 이미 신 모델 규격을 사용중인 불사조 크로우와 메카 크로우는 바뀐 거 없이 그대로이다.[111] 브롤러에 대한 짤막한 스토리를 읽는 재미가 있었지만 12/5 패치로 모두 브롤러의 공격에 관한 내용들로 변경되었다.[112] His라고 되어 있었으나 벚꽃 스파이크 때문인지 지워졌다.[113] 흔히 오해하기 쉬운데, 콜트와 제시는 남매가 아니다. 그리고 팸의 아들도 아니다. 팬아트나 팬픽에서 주로 머리 색 때문에 가족으로 그려지는데 주로 철없는 오빠와 여동생 관계로 그려진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팬 설정이지 공식이 아니다.'''[114] 타라, 진, 샌디가 혈연관계라는 설이 있었으나 슈퍼셀이 공식적으로 부정했다. 레온과 니타를 커플로 엮는 사람이 많았으나 슈퍼셀 공식 트윗에 레온과 니타는 남매 관계라고 했다.[115] 또한 동물과 관련된 모자,옷 등등을 입고 있다는 공통점으로 레온과 니타는 보와 엮인다. 주로 보가 레온과 니타의 부모님이나 입양한 부모님 등으로 나오며 부족의 일원 관계나 족장과 일원 사이 등등등..으로 나오기도 한다. 물론 아직은 명확하진 않다.[116] 나니를 제외한 모든 로봇 브롤러들은 남성으로 분류하며, 나니는 여성 브롤러로 분류한다.[117] 스파이크다. 과거엔 남성형으로 지칭되었지만 여성쪽에 가까운 외형인 벚꽃 스파이크 스킨이 출시된 후로는 성별 언급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스파이 발리 스킨이나 암흑 마녀 모티스가 있음에도 성별 묘사가 남아있는 케이스를 근거로 단순히 식물이라서 성별이 없는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같은 식물계열인 스프라우트도 커뮤니티 매니저가 him이라고 지칭하기 전에는 성별 미상이어서 이 주장에 더욱 힘이 실렸으나 남성 브롤러로 밝혀지며 금세 묻혔다.[118] 스파이크의 목소리는 캐릭터성을 위해서 절대 나오지 않을 것이라 한다.[119]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정미숙.[B] A B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강수진. 그 광고에서 콜트, 모티스와 크로우 모두 강수진 성우가 목소리를 냈다.[120] 농구 선수 빌 러셀과는 동명이인이다.[121]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이인성[122] 단편 애니메이션 "모티스의 묘지에서 무슨 일이...?!"에서는 김승준.
보스 로봇은 5개까지 적중이 가능하다.[68] 탄이 모두 적중한다면 9000이 넘어가는 피해를 줄 수 있지만 탄이 히트박스 바깥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10개 까지만 적중할 수 있다.
보스 로봇에게는 모든 탄을 적중시킬 수 있다.[69] 스타 파워 '약한 먹잇감' 장착 + 상대의 HP가 50% 이하일 때 (568 x 10) + (142 x 7(독 피해량))(6834)[70] 스타 파워 '슈퍼 통통탄' 장착 + 일반 공격 전탄이 벽에 튕길 시 (448 x 12) + (100 x 12) (6576)[71] 최대 '''-5319'''. 쇼다운과 같이 파워 큐브를 통해 능력치를 높일 수 있는 모드에서는 더 높은 HP를 회복할 수 있다.[1타_피해량] A B 타격 횟수가 정해지지 않아 1타 피해량만 작성[72] 히트박스가 클 경우 520 x 30 (15600)까지 피해를 입힐 수 있다.[73] 받는 피해의 30%를 반사한다.[74] 바위 하나 당의 피해량이라 바위를 몇 개를 맞는지에 따라 피해량이 달라진다.[75] 히트박스가 크다면 400 x 15 (6000)까지 가능하다.[76] 피해량만 따지면 1200 x 20 (24000)으로 매우 높지만 다이너마이트가 매우 넓게 퍼지고 바로 터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 맞히기도 어렵다.[77] 히트박스가 크거나 주변에 벽이 많다면 '''320 x 16 (5120)''' 까지 가능하다.[78] 스타 파워 '야생 불꽃' 장착 시 0.15초.[79] 공격 사거리 이내의 벽의 유무, 스타파워에 따라서 장전 속도가 달라짐.[80] 런 앤 건 스타파워 장착 시 약 1.1초.[81] 불은 스타 파워 '버서커' 장착 + HP 60% 이하일 시 0.8초[82] 대릴은 스타 파워 '롤링 리로드' 장착 + 특수 공격 사용 시 0.9초[83] 재빠른 저격 스타파워를 장착하고 적을 맞췄을 시 1.38초.[84] '오토매틱 재장전' 장착 시 2.07초.[85] 생존용 삽 가젯 사용 시 1.2초.[86] 이전에는 벽에 붙어서 재장전 딜레이가 매우 짧아서 곡괭이를 엄청 빠른 속도로 튕겨 엄청나게 많은 딜을 넣을 수 있었다.[87] 예외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해변의 브록, 해변의 제시, 바캉스 팸 스킨은 80보석에 판매하지만 외형 외에 이펙트, 사운드까지 변하지만, 프랭크의 스킨들은 가격은 같은데 외형 변화 외에는 변하는 것이 없다. 특히 이블 진과 엘 브라운은 메카 스킨과 변하는 것이 똑같으면서 반값에 판다.[88] 장식이 추가된 아이리스 타라와 가방 모양, 복장이 바뀌는 대학생 엠즈 등 팔레트 스왑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 기존 스킨에 비해 비주얼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89] 추석(중추절), 크리스마스, 설날, 할로윈[90] 가격이 올라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91] 초반에 현질을 해서 고가의 스킨들이 많은 사람도 있고, 계속 보석을 모으거나 다른 재화를 구입해 스킨이 많이 없는 사람들도 있다. 게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대부분 비싼 스킨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스킨만으로는 가늠이 불가능하다.[92] 그나마 스타 포인트 스킨은 더 화려해지고 이펙트가 바뀌는 경우도 있으나 실버/골드 트루 스킨은 그런 거 없다. 이후 2020년 11월 업데이트로 둘 다 반짝이는 효과, 골드 스킨의 경우 후광 효과까지 추가되었다.[93] 다만 값비싼 스킨들은 대부분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94] 출시할 때는 이름이 언더월드 보로 변경되었고, 약간 리디자인 되었다.[95] 언더월드 보처럼 이름이 바뀌진 않았지만, 약간 리디자인 되었다.[96] 리코의 구형 버전인 리코셰와 외형을 일부 재활용하였다.[97] 화남 상태(보라색)만 되어도 데미지가 1000을 넘어간다.[98] 다만 메커니즘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므로 자기가 낀 벽에 총을 쏴대기도 한다(...).[99] 슈터로봇때문에 보스전을 못깨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100] 원래 계획하려던 브롤스타즈의 캐릭터들중, 이 로봇이 있다. 하지만, 게임 컨셉을 바꾸면서 이 로봇을 제외한 캐릭터들은 출시가 되지 않았다.[101] '앵그리 로보' 모드 옵션 한정. 제일 가까운 적을 향해 쫓아가며 잡으면 무려 파워 큐브 3개를 떨군다.[102] IKE포탑을 향해서만 나아가므로 진이 아무리 끌어온다 한들 다시 전진한다. (대신 어떤 브롤러/소환수가 앞에 있으면 그것부터 때리고 본다.) 이전에 시즈 로봇이 플레이어만 쫓아다니는 버그가 있었으나 현재는 고쳐졌다.[103] 5번째 라운드에서 등장하고 로켓을 난사하는 경우가 있다.[104]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옵션이 하나씩 추가된다. 처음엔 레이저 발사만으로 그치지만, 나중에는 돌진이나, 로켓 발사도 한다. 게다가 크레이지부턴 파워큐브를 지급한다.[105] 공격 옵션만 추가되면 그것도 부족한지, 화남, 분노함, 격분함, 그리고 천하무적 단계로 근접 펀치, 돌진, 레이저 등의 모든 공격의 피해량이 올라간다. 무엇보다 악명이 높은 건 바로 레이저 발사인데, 분노함 단계부터는 레이저가 벽을 파괴하기 시작하고, 격분함 부터는 사정거리 내의 모든 대상과 벽을 관통한다.[106] 콜트, 대릴, 스파이크, 리코셰(이름도 리코로 개명), 포코.[107] 스파이크, 리코셰, 콜트, 포코, 보, 파이퍼, 타라, 엘 프리모, 대릴, 팸, 크로우, 프랭크가 이에 해당되는 경우였다.[108] 대표적으로 호불호가 갈리는 브롤러는 보와 엘 프리모, 대릴. 물론 대릴의 경우는 보, 엘 프리모보단 덜 하다. 대릴은 리모델링 후 더 멋져졌다는 평이 다수이지만, 리코와 똑같은 머리와 목소리에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109] 3D 업데이트 후 리모델링을 받은 모든 브롤러가 동일하다.[110] 기본 크로우, 화이트 크로우 한정. 이미 신 모델 규격을 사용중인 불사조 크로우와 메카 크로우는 바뀐 거 없이 그대로이다.[111] 브롤러에 대한 짤막한 스토리를 읽는 재미가 있었지만 12/5 패치로 모두 브롤러의 공격에 관한 내용들로 변경되었다.[112] His라고 되어 있었으나 벚꽃 스파이크 때문인지 지워졌다.[113] 흔히 오해하기 쉬운데, 콜트와 제시는 남매가 아니다. 그리고 팸의 아들도 아니다. 팬아트나 팬픽에서 주로 머리 색 때문에 가족으로 그려지는데 주로 철없는 오빠와 여동생 관계로 그려진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팬 설정이지 공식이 아니다.'''[114] 타라, 진, 샌디가 혈연관계라는 설이 있었으나 슈퍼셀이 공식적으로 부정했다. 레온과 니타를 커플로 엮는 사람이 많았으나 슈퍼셀 공식 트윗에 레온과 니타는 남매 관계라고 했다.[115] 또한 동물과 관련된 모자,옷 등등을 입고 있다는 공통점으로 레온과 니타는 보와 엮인다. 주로 보가 레온과 니타의 부모님이나 입양한 부모님 등으로 나오며 부족의 일원 관계나 족장과 일원 사이 등등등..으로 나오기도 한다. 물론 아직은 명확하진 않다.[116] 나니를 제외한 모든 로봇 브롤러들은 남성으로 분류하며, 나니는 여성 브롤러로 분류한다.[117] 스파이크다. 과거엔 남성형으로 지칭되었지만 여성쪽에 가까운 외형인 벚꽃 스파이크 스킨이 출시된 후로는 성별 언급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스파이 발리 스킨이나 암흑 마녀 모티스가 있음에도 성별 묘사가 남아있는 케이스를 근거로 단순히 식물이라서 성별이 없는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같은 식물계열인 스프라우트도 커뮤니티 매니저가 him이라고 지칭하기 전에는 성별 미상이어서 이 주장에 더욱 힘이 실렸으나 남성 브롤러로 밝혀지며 금세 묻혔다.[118] 스파이크의 목소리는 캐릭터성을 위해서 절대 나오지 않을 것이라 한다.[119]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정미숙.[B] A B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강수진. 그 광고에서 콜트, 모티스와 크로우 모두 강수진 성우가 목소리를 냈다.[120] 농구 선수 빌 러셀과는 동명이인이다.[121] 한글판 '설명할 시간이 없어' 광고에서는 이인성[122] 단편 애니메이션 "모티스의 묘지에서 무슨 일이...?!"에서는 김승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