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버
AMBER'''
|
<colbgcolor=#FFD700><colcolor=black> '''등급'''
| 전설
|
'''역할군'''
| 파이어브리더 (FIREBREATHER)
|
'''HP'''
| 3200
|
'''이동 속도'''
| 보통 (720 = 2.4 타일/초)
|
'''코드 네임'''
| FireDude
|
'''성우'''
| 리어 아스코트
|
'''스탯'''
|
<rowcolor=#000000>[image] '''공격'''
|
[image] '''방어'''
|
[image] '''유틸성'''
|
[clearfix]
1. 개요
'''And the burning continues.'''
불타는 건 계속된다.
'''Feel the heat!'''
열기를 느껴봐라!
Amber has always been a firebug. She loves to light up the world and any opponents that come at her!
활활 타오르는 불을 좋아하는 앰버는 주위 세상도, 가까이 오는 적들도 모두 불태워 버립니다!
횃불을 들고 있으며 샌디 이후 오랜만에 출시되는 전설 등급의 브롤러이자 최초의 전설등급 여성 브롤러이다.
[1] 스파이크같은 경우는 베타 시절엔 성별(남성)이 적혀 있었지만 지금은 안 적혀 있으므로 논외.
두 번째로 전용 역할군을 사용하는 브롤러이다.
[2]- [ 승리 / 패배 모션 ]
승리 시 봉을 이용한 여러 동작들을 한 이후 횃불을 던지면서 한 바퀴 돈 이후에 횃불을 받으며 포즈를 취하는데, 이 때 손에 불이 옮겨붙어서 손을 털어서 불을 없앤 이후 부끄러웠는지 식은땀을 흘린 이후에 포즈를 취한다. 패배 시 자책하는 표정을 하다가 온몸이 새까맣게 타 당황한다
- [ 대사 목록 ]
'''Haha, wow, so much heat.'''
하하, 우와, 열이 참 많구나.
'''Does anyone have a fire extinguisher?'''
누구 소화기 있는 분?
'''And the burning continues.'''
불타는 건 계속된다.
'''Hot, hot, hot, hot, hot, hoo hot!'''
앗 뜨뜨뜨뜨뜨 뜨, 뜨거워!
'''I'm still on fire over here.'''
나는 여기서 아직도 불타고 있어.
'''Wooh! Muy caliente!'''[26]
스페인어이다. 앰버의 피부색과 언어를 생각해 보면 쉘리와 같은 히스패닉으로 추정된다.
워, 너무 더워!
리스폰 시
'''Wooh, guess I'm flamous now!'''[A]
'불꽃'을 뜻하는 flame과 '유명한'을 뜻하는 famous를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워, 내가 이제 핫해진 것 같아!
'''Who is flamous now!'''[A]
'불꽃'을 뜻하는 flame과 '유명한'을 뜻하는 famous를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이제 누가 핫하지!
'''Ahh! I'm A-BLAZING!'''[27]
불을 뜻하는 Blaze와 Amazing을 이용한 언어유희.
아! 난 정말 놀라워!
'''I'm on fire.. I'm actually on fire!'''
나는 불타고 있어! 내가 정말 불타고 있다고![28]
'''Finally, my 15 minutes of flame.'''
드디어, 내 불꽃의 15분.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You're playing with fire.'''
너는 불장난하고 있어.
'''Ouch.'''
아야.
'''You wanna play the flame game?'''
불꽃놀이라도 하고 싶은 거야?
'''I'm flaming furious!'''
내가 맹렬하게 불타고 있어!
'''This is fine.'''[29]
뒷배경이 불타고 있는 곳에서 This is Fine.을 외치는 밈을 패러디한 것이다.# 제작자도 이 밈을 밀어주듯이, 버그픽스 썸네일에 밈을 따라하는 앰버를 그려넣기도 했다.
이 정도는 괜찮아.
피격 시 대사
'''Haha, sick burn!'''
하하, 기가 막히게 불타네!
'''Hah, apply cold water to that burn... No, seriously get it checked.'''
하, 탄 곳에 차가운 물을 부어... 아니, 진심으로 확인해보라고.
'''Haha, you got roasted, yikes!'''
하하, 너는 구워졌어!
'''Burn voyage.'''
화형당했군.
'''You burnt!'''
너 불탔어!
-
적 처치 시
'''Time to hibernate.'''
겨울잠 잘 시간이네.
'''I'm burnt out.'''
불에 다 타버렸어.
'''Found the fire exit.'''
비상구를 찾았어.
'''I will RE-AMBER you.'''[30]
'기억하다'라는 뜻의 Remember와 자신의 이름인 Amber을 이용한 언어유희.
앰버가 널 기억할 거야.
사망 시
'''*비웃음*'''
'''*웃음*'''
'''Feel the heat!'''
열기를 느껴봐라!
'''This is lit!'''
이거 참 화끈한데!
'''Fuego!'''[31]
스페인어로 불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엘 프리모의 스타파워 '엘 푸에고'도 이 단어.
[32] 대사는 같은데, 톤만 다른 또다른 대사가 존재한다.
불꽃!
-
일반 공격 사용 시
'''Fire fuel!'''
연료 발사!
'''Fire starter!'''
불쏘시개다!
'''Ignite this!'''
점화해라!
'''Hoo hoo, I flame to please!'''
후후, 나는 불꽃을 튀긴다!
-
특수 공격 사용 시
2. 일반 공격
[image] '''일반 공격'''
| 용의 숨결(DRAGON'S BREATH)
|
피해량
| 220
|
사정거리
| 장거리 (26 = 8.67 타일)
|
재장전 시간
| 매우 빠름 (0.2초)
|
소모 시간
| 4초
|
충전 시간
| 8초
|
연사 속도
| 0.1초
|
특수 공격 충전량
| 4.55%
|
Amber blows a flaming inferno at her opponents. It looks awesome, but watch out or you'll get searded!
적에게 활활 타오르는 불길을 내뿜습니다. 보기엔 멋지지만 가까이 가면 뜨거우니 조심하세요!
칼,
비에 이어서 3번째로 탄창이 1발인 브롤러. 다만 두 브롤러와는 다르게, 작은 탄창들이 소모되는 방식으로 탄창이 소모된다. 발사되는 탄환 1개당 한 탄창이라고 가정하면, 전체 탄창은 40발이 된다.
공격 조이스틱을 눌렀다 떼야 공격이 나가는 여타 브롤러들과 다르게, 공격 조이스틱을 누르고 있으면 누른 시간 동안 공격이 나가는 특이한 조작 방식을 가지고 있다. 빠르게 눌렀다가 떼면 끊어서 발사할 수 있다. 공격 조이스틱을 누르는 동안 조준하는 방향으로 공격이 나아간다. 일반 공격을 사용하는 동안 탄창이 줄어들며 공격을 하지 않는 동안 탄창이 재장전된다.
탄환 1개당 피해량은 낮지만, 관통이 된다는 점과 연사 속도 덕분에 적들이 뭉쳐있을 경우 뛰어난 지속 딜링을 보여줄 수 있다. 탄환을 다 맞을 경우, 1레벨 기준 초당 '''2200''', 도합 '''8800'''이라는 높은 피해량을 입힐 수 있다.
[3] 9/10레벨 기준 초당 '''3080''', 도합 '''12320'''.
모티브는
화염방사기인 듯 하다.
3. 특수 공격
[image] '''특수 공격'''
| 불 쇼(TORCH 'EM!)
|
총 피해량
| 1800[4]
|
사정거리
| 장거리 (21 = 7 타일)
|
범위(반지름)
| 2.67타일
|
특수 공격 충전량
| 6.3% * 4
|
Amber throws a flask of her fire fluid that she cann then light up with her firebreathing. Bushes and opposing Brawlers will be toast! (One flask at a time!)
연료가 든 병을 던져 나중에 점화시킬 수 있습니다. 덤불과 적을 활활 태워버리세요! (주의:한 번에 한 병씩만 사용 가능)
횃불의 끝에 달려 있던 연료통을 던진다. 불이 붙으면 따라서 타는 것으로 보아 휘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모티브는
석유인듯. 던지는 경로에도 연료가 새며, 특수 공격 위치에 일반 공격을 사용하면 발화하며 추가 도트 피해를 주고 풀숲을 제거한다.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장판 형식으로 남게 되는데, 이 때 특수 공격을 한 번 더 사용하면 이전에 사용했던 특수 공격은 사라진다.
[5] 스타 파워 '야생 불꽃'을 사용하면 2개까지 사용 가능해진다.
일반 공격으로 태우거나 새 웅덩이를 깔기 전에는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주요 지점에 얼마든지 오래 깔아둘 수 있다.
[6] 브롤 볼에서 골을 넣었을 때는 로사의 부쉬처럼 없어진다.
적 입장에서는 바닥에 뻔히 깔려있는 언제든 점화할 수 있는 지뢰와 같은 웅덩이로 진입하기 껄끄러울 수 밖에 없으며, 젬 그랩이나 핫 존 처럼 중앙 싸움이 중요한 모드에서는 어쨌든 진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9/10레벨 기준 2520이나 되는 도트 대미지를 받으면서 한타를 시작해야 하는 손해를 보게 된다.
지역장악력 뿐만 아니라 킬 결정력에도 날개를 달아 주는데,
크로우처럼 도트뎀을 주는 주제에 누적 피해량이 높아서 일반 공격 사용 도중 특수 공격을 연계해 사용하면 쉽게 제압된다. 또한 상대가 엄페물 뒤에 숨어도 곡사형이기 때문에 킬을 낼 수도 있다.
다만 교전 시에는 깔려 있는 웅덩이를 일부러 피해서 공격을 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적들도 깔아둬 봤자 다른 곳으로 오기 때문에 깔아두기용 보다는 기습적으로 적들을 태우며 교전을 시작하는 용으로 쓰게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특수공격을 던지고 바로 공격해야지 상대에게 불을 붙일 수 있다
여담으로 듀오 쇼다운에서 두 명의 앰버가 매치될 경우, 서로의 특수 공격에 일반 공격을 사용하여 불을 붙일 수 있다. 또한 벽을 끼고 사용할 경우 불이 정상적으로 벽 건너편으로 옮겨붙지만, 강을 끼고 사용할 경우 강 타일만큼은 석유가 없어져버리고 불 또한 옮겨붙지 않는다.
4. 스타 파워
4.1. 야생 불꽃
[image] '''스타 파워'''
| 야생 불꽃(WILD FLAMES)
|
특수 공격 충전량(초당)
| 5%
|
Amber can have two fuel puddles on the ground simultaneously and she will recharge her Super automatically when standing near one.
연료 웅덩이를 동시에 2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 웅덩이 주위에 서있으면 특수 공격이 자동으로 충전됩니다.
자신의 특수 공격 웅덩이가 필드 위에 2개 존재할 수 있게 되며, 자신의 가젯 또는 특수 공격으로 생성된 웅덩이 위에 앰버가 올라가 있을 경우 특수 공격을 충전시켜준다.
[7] 다만 웅덩이는 1겹만 깔릴 수 있기에 한 곳에 웅덩이를 여러번 깐다고 충전량이 중첩되지 않는다.
특수 공격 충전의 효과를 계속 누리려면 웅덩이 위에서 교전을 할때 기름을 본의 아니게 태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야생 불꽃이 있을 경우 가젯이 본인 한정으로
보의 토템의 상위 호환이 된다. 팀이 효과를 받을 수는 없지만 적이 파괴할 수도 없고 범위도 더 넓은데다 가젯 뿐 아니라 특수 공격으로도 충전이 가능해서 횟수 제한도 사실상 없기 때문.
[8] 또한, 보의 가젯과 달리 오래 머물러 있어도 특수 공격 충전량이 줄어들지 않는 것 또한 큰 장점중 하나.
4.2. 뜨거운 연료
[image] '''스타 파워'''
| 뜨거운 연료(SCORCHIN' SIPHON)
|
While being near a puddle of fire fluid, Amber uses it to reload her firebreathing '''50%''' faster.
연료 웅덩이 주변에 있으면 일반 공격의 재장전 속도가 '''50%''' 빨라집니다.
연료 웅덩이 주변에 있으면 앰버의 몸이 붉게 변하면서 재장전 속도가 50% 빨라진다.
재장전 시간이 0.2초에서 0.15초로, 모든 게이지를 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8초에서 6초로 감소하게 된다. 연료 웅덩이는 무한으로 지속되므로 웅덩이 주변에서 탄창을 채운 이후 빠르게 교전에 임할 수 있게 한다.
야생 불꽃처럼 연료 웅덩이 위에서 발휘되는 효과기 때문에 효과를 계속 받으려면 웅덩이를 실수로 태우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5. 가젯
[image] '''가젯'''
| 불쏘시개(FIRESTARTERS)
|
Amber runs fast for '''3''' seconds while spiling her fire fluid, which she can then ignite.
'''3'''초 동안 연료를 뿌리며 빠르게 달립니다. 땅에 뿌린 연료는 나중에 점화시킬 수 있습니다
발동 시 3초간 이동 속도가 빨라지며
[9] 이동 속도가 820으로 증가되며, 이는 암살자 브롤러들과 같은 속도이다.
, 이동 경로에 특수 공격과 똑같은 웅덩이를 남긴다. 매치 당 3회 사용 가능하다.
처음 발동 했을 때 큰 웅덩이를 남기고 그 뒤에 이동할 때는 캐릭터의 폭만큼 좁은 웅덩이를 남긴다. 특수 공격 웅덩이와 완전히 같은 판정이기 때문에 장판이 특수 공격과 따로 중첩되지는 않으며 야생 불꽃 스타 파워가 있을 경우 가젯으로 만든 웅덩이로도 특수 공격이 충전된다.
가젯으로 생성한 연료 웅덩이는 새로 가젯을 사용해도 없어지지 않아 필드 위에 동시에 3개가 존재할 수 있다.
도주하는 적을 추격하거나 기름을 원하는 곳에 깔아두고 싶을 때, 부쉬를 태워야 할 때 주로 사용되며 특수 공격과 연계하여 엄청나게 먼 거리에서도 기름을 점화시킬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성능의 가젯이다.
6. 레벨 별 스탯
파워 레벨
| [image] '''HP'''
| [image] '''일반 공격'''
| [image] '''특수 공격'''
|
<rowcolor=#ffffff> 단일 피해량(초당 피해량)
| 총 피해량
|
1
| 3200
| 220(2200)
| 1800
|
2
| 3360
| 231(2310)
| 1890
|
3
| 3520
| 242(2420)
| 1980
|
4
| 3680
| 253(2530)
| 2070
|
5
| 3840
| 264(2640)
| 2160
|
6
| 4000
| 275(2750)
| 2250
|
7
| 4160
| 286(2860)
| 2340
|
8
| 4320
| 297(2970)
| 2430
|
9
| 4480
| 308(3080)
| 2520
|
'''10 (스타 파워)'''
| -
| [image]'''뜨거운 연료'''[10]
| [image] '''야생 불꽃'''[11] 연료 웅덩이 2개 생성 가능, 웅덩이 위에 서있으면 특수 공격 충전
|
'''7 ~ 10 (가젯)'''
| [image] '''불쏘시개'''[12] 3초간 이동한 경로에 연료 웅덩이 생성 및 이동 속도 증가
|
제시,
페니,
레온,
맥스,
타라,
진,
미스터 P와 HP가 같다.
7. 성능
앰버의 강점하면 역시 지속적인 화력을 통한 지형 장악으로, 일반 공격의 높은 화력에 덤불까지 없애버리는 특수 공격으로 인해 중거리나 근거리에서든 접근 자체를 꺼리게 만든다. 이는
엠즈와 비슷하지만, 앰버는 원거리에선 밀려도 중근거리 전부 동일한 딜량을 가진데다 서술하듯 부쉬를 영구적으로 제거한다는 메리트가 워낙 좋다보니 더 안정적으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1탄창인 대신에 발동 시 게이지가 서서히 감소되는, 특이한 재장전 방식을 가진 브롤러라서 원하는 순간마다 공격을 중단할 수 있다. 고로 브롤러를 플레이할 시 주로 생기는 딜로스가 일어나는 상황이 잘 생기지 않는 덕분에 안정적으로 화력 지원이 가능하다. 그에 반해 쿨타임도 안정적이라 지속적인 전투 참여가 가능하다.
하지만 지속 딜링에 특화된 공격이라서 순간 폭딜이 불가능한 구조로 인해 킬 결정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탱커를 상대로 중거리에서 상대한다면 당연히 앰버가 유리하지만, 부쉬기습이나 대릴의 특수공격으로 초근접을 허용하는 순간 대응하는게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서술하듯 근거리나 중거리나 동일한 딜량을 가져서 처치하려면 천천히 시간을 들여야 하기 때문. 때문에 애초 기습을 허용해선 안되므로, 견제를 위주로 플레이하면서, 대미지도 넉넉하고 부쉬도 없애주는 장판형 특수 공격으로 거리를 벌리는 것이 핵심이다. 가젯과 스타 파워를 역량껏 활용해서 사방에 기름을 부어 아예 못을 박아버리는게 좋다.
'''장점'''
|
<color=black,white> *'''특별한 일반 공격''' 앰버의 가장 큰 장점으로 일반 공격은 지속형 공격이라는 브롤스타즈에서 유일한 특성을 보유해서, 보통 3발인 다른 브롤러들과 달리 탄창 관리가 쉽고 공격을 자주 끊어서 사용하면서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 사거리도 무시할 만한 수준은 아니고 관통 특성까지 보유하고 있어서 때문에 밀집되어 있는 상대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 *'''우수한 지역 장악력''' 일반 공격의 공격 특성상 좁은 통로나 쥐구멍을 쉽게 차단할 수 있고, 다수의 적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어 상대에게 우회를 강요할 수 있다. 또한 특수공격으로 상당히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엄폐물 관통 특성까지 있어 엄폐물 뒤에 숨어도 안전하지 않다. 이것만으로도 직사공격이라는 단점을 보완해 주는데 스타파워와 가젯을 착용할 경우 어느 브롤러보다도 더욱 압도적인 범위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웅덩이 두 개와 가젯을 사용하면 무려 브롤볼 맵 전체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 *'''안정적인 운용 및 킬 결정력''' 기본적으로 장전속도가 느린 편도 아닌 데다 탄창을 원하는 만큼 끊어 쓸 수 있기 때문에 딜로스가 생기는 일이 거의 없다. 사거리도 중장거리 이상에 준수한 지속 피해량과 DPS까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거리 안에 들어오면 대부분 처치할 수 있다. 여기에 도트 대미지를 주는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가 엄폐물 뒤에 숨거나 사거리에서 벗어나도 킬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
'''단점'''
|
<color=black,white> *'''낮은 원거리 대응력''' 사거리는 비교적 넓은 편이라서 크게 부각되지 않지만, 초원거리 브롤러와 상대하게 되면 두드러지는 단점이다. 일반 공격이 탄퍼짐이 다소 있고 투사체 속도도 약간 느린 편이기 때문에 거리를 내주면 역시 밀릴 수 밖에 없고, 속도도 너프된 관계로 쫓아도 거의 제자리 걸음일 수 밖에 없다. 사실상 원거리는 대처를 거의 못하는 수준이며 제대로 된 피해도 입히기 어렵고 한 두대를 맞춰서 체력 회복을 방해하는 수준에 그친다. - *'''불안정한 HP''' HP는 3200로 낮다고 볼 수는 없지만, 앰버의 충돌 반경이 크고, 기동성이 떨어져서 높은 딜을 넣기 위해 맞아가며 중거리 견제를 해야 하는 일반 공격의 특성 때문에 HP가 낮게 느껴진다. 앰버가 교전 능력이 떨어지는 이유. - *'''부족한 순간 화력''' 중거리에서 꽤 강한 화력을 뽐내는 일반 공격도 불이나 쉘리, 나니같은 근접 강자 브롤러들이 방심한 사이 근접하면 당할 수 밖에 없다. 초근접에서 동시에 때리기 시작하면 조금이라도 근접 대응력이 좋다 싶은 브롤러한테는 거의 진다. 지속 화력이 강하다고 해도 초당 대미지로 따지면 9/10레벨 기준 3080정도로 별로 강하다고 볼 수 없는 수준이며, 위 예시처럼 연사력이 빠르고 순간 폭딜이 강한 브롤러들에 비해서는 턱없이 약하다. 때문에 중거리 견제가 크게 요구될 수 밖에 없다. - *'''지형에 제한되는 공격''' 공격들이 벽에 막히는 덕분에 스로어에게 약한 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수기가 존재하지만, 어디까지 대응을 가능하게 만들 뿐이지 적에게 슬로우를 건다든가 하여 상황을 역전하게 만드는 정도는 아니다. 때문에 상대가 특수기를 피하거나 아니면 작정하고 벽 뒤에서 노리기만 한다면 결국 스로어가 유리하다.
|
출시 시점에서는 안티 탱커 뿐만 아니라 그냥 안티 브롤러급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재장전 시간도 빠른 편에다 지속 대미지는 흉악하고, 체력도 준수한 편에 사거리도 넓고 중장거리도 커버할 수 있다. 이동 속도까지 암살자 브롤러와 같다.
[13] 이 때문에 이동 방향만 적당히 신경쓰면 '''자동 조준으로도 상대를 잘라먹을 수 있다.''' 특이하게도 앰버는 장거리 브롤러임에도 오토에임이 꽤나 유용하다. 빠르게 추적하면서 탄창을 하나하나씩 쏘다보니 방향 전환이 오히려 빠르기 때문. 물론 오토에임을 쓰면 탄창 낭비가 조금 심한 편이고 상대가 앰버와 동등하거나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는 오토에임이 오히려 비효율적이므로 상황 봐 가면서 그때그때 다르게 쓰는 것이 운용 포인트다.
그 당시 단점이라곤 일반 공격이 벽에 막히는 것 말고는 눈에 띄는 단점이 안 보이는 수준으로, 앰버의 플레이 데이터를 종합해 보았을 때 바운티를 제외한 모든 모드에서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하였다. 즉, 사정거리 및 순간딜이 중요한 바운티를 제외하면 못 쓸 모드가 없다. 이렇다보니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너프될 확률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결국 10월 29일, 출시 6일 만에 너프가 이뤄졌다. 허나 너프라기엔 일반 공격의 사거리와 딜량, 이동 속도에는 영향이 없고 체력과 특수공격 데미지도 체감이 안 되는 수준이며, 중장거리 브롤러이므로 체력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아니고 특수공격 데미지 또한 여전히 위협적이다. 커뮤니티에서는 기존 운용과 크게 다름 없을 것으로 보고 위상을 유지할 것이란 의견이 중론.
[14] 이전의 서지와 너프 양상이 유사한데, 서지의 1차 너프에서 광범위 견제력에는 크게 영향이 없었던 것처럼 엠버도 마찬가지로 근본적인 사기요소인 일반 공격을 너프받지는 않았다.
결국 또 너프를 받았다. 이동 속도가 매우 빠름에서 보통으로 대폭 줄어들었으며, 일반 공격의 누적 피해량이 약 17%나 감소하였다.
상당히 치명적인 너프를 먹은 탓에 입지가 많이 떨어졌다. 이동 속도가 느려진 탓에 탱커에게 더 취약해져 중거리 플레이가 리스크를 갖게 되었으며, 순간딜이 낮다는 단점과 겹쳐 앰버의 운용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이동 속도가 너무 느려진 탓에 원래부터 취약했던 스로워들에게 더욱 취약해진 것은 물론, 공격을 회피해가며 원거리에게 접근하는 플레이도 지금은 매우 어려워져 접근하기도 전에 공격을 맞고 녹아버리는 상황에 처했다.
연속된 너프,
에드거의 등장으로 대부분의 모드에서의 평가가 떨어졌으며 딜링 능력도 저열한 수준으로 낮아졌고, 그러다보니 원래 단점이던 원거리에서의 불안정한 딜링 능력이 더 부각돼서 어지간한 브롤러들을 상대로 딜교도 못하게 됐다. 장점이던 지역 장악력도 다른 브롤러가 훨씬 좋아서 가치가 더 떨어진다. 21년 초 기준으로는 이전의 사기캐를 떠올리기 힘들 정도로 저질스러운 성능으로 추락해서 어느 모드에서나 보이던 앰버가 거의 보이지도 않게 될 정도로 추락하며 고인 신세에 머무르게 됬다.
[15] 어느 정도냐면 21년 1월 기준, 글로벌 브롤러 순위표에서 '''평균 850점도 안되는 수준이고,''' 비슷하게 고인 신세에 머물고 있던 크로우와 레온도 최소한 솔로 쇼다운에서만큼은 잘 보인다.
최근에는 앰버의 버프를 요구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결국 2021년 1월 27일 버프를 받게 되었다. HP가 3000에서 3200으로 증가했으며, 초당 피해량이 2000에서 2200으로 10% 상승하였다. 이 버프로 기존의 떨어졌던 성능을 크게 회복했으며, 카운터였던
에드거 또한, 다른 브롤러들의 버프로 인한 메타의 변화로 팀전에서의 입지가 많이 떨어져, 출시 직후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2021년 2월 기준, 강력한 브롤러로 평가받는다. 현재 기준으로 승률은 최상위에 픽률도 최상위로 사기성이 부각된 탓인지 몇몇 유저들은 다시 너프를 요구하고 있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16][17]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티켓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티켓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
으로 분류했다.특이한 방식의 일반 공격으로 부담스러운 견제를 넣을 수 있고, 특수 공격으로 광범위 지역 장악이 가능하다. 중앙 싸움이 중요한 젬 그랩에서는 힘을 발휘하는 편. 다만 벽이 많은 맵에서는 투척 브롤러에게 약한 면모를 보이므로 조심할 필요가 있다.
박스를 여럿 부숴먹을 수 있고 지속 화력으로 말려 죽이는게 가능하다. 장거리 관통 일반 공격 덕분에 상자를 사이에 두고 하는 일대일 상자싸움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부 센터에 상자가 많은 맵에서는 특수 공격이나 가젯으로 적들이 파워큐브에 접근하기 껄끄럽게 만들 수도 있다. 단, 기습적인 1대1 싸움에서는 앰버가 죽기 너무나도 쉬우며, 벽이 많은 일부 쇼다운 맵에서는 스로워 상대로 우위를 점하기 힘들다는 문제도 있다.
듀오 쇼다운 특성상 팀원과 뭉쳐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앰버가 둘을 동시에 쌈사먹는 구도가 자주 나온다. 거기다 부각되는 단점도 근접 폭딜러나 원거리 저격수 혹은 힐러가 커버해 주기 때문에 완벽한 조합이 된다. 티밍도 드물게 일어나므로 웬만해선 안정적으로 순위 방어가 가능하다.
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굉장히 아프고 적을 관통하며,
칼 및
비와 마찬가지로 공을 받아서 던질 때 딜 손실이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난전에서 유용하다. 사거리 또한 탱커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탱커 상대로도 강력하다. 그러나 기동성이 좋지 않은데다 직사 공격 방식이기 때문에 투척 브롤러에게 비교적 약한 모습을 보이며
[18] 다만, 특수 공격이 있으면 어느 정도 대항이 가능하다.
,순간화력이 낮기 때문에 부쉬가 많은 맵에서 기습 당하면 당해낼 재간이 없다. 또한 체력도 낮아서 스트라이커로는 써먹기 힘들 것도 단점. 하지만 적당한 사거리와 엄청난 누적 피해량 덕에 파일럿이 이러한 각을 주지 않는다면 상대 탱커들의 활약을 위축시킬 수 있고, 브롤 볼 특성상 앰버보다 사거리가 긴 초원거리 브롤러들 또한 거의 없어 라인을 밀고 나가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좋은 브롤러로 평가 받는다.
그냥저냥 무난하지만 특정 역할 수행에 있어선 부족한 편에 속한다. 우선 앰버의 초당 데미지를 1탄창이라고 간주하면 다른 극화력 브롤러들의 1탄창당 데미지와 차이점이 없는 수준이다. 여기에 사거리도 부족하고, 순간화력과 지속화력 면에서도 비교적 밀리는 편이다. 덕분에 안정성과 접근성도 높지 않은 편인데, 사거리가 중장거리 수준이라 어느 정도 금고에 접근해야 하는데 체력이 결코 높지 않아 한 탄창을 다 소모하기도 전에 처치되는 경우가 많고, 탱커보다 속도가 느려 금고에 빨리 도달하기도 힘들다. 그나마 있는 차별점은 일반공격이 관통이 된다는 점 뿐으로, 다른 브롤러에 비해 상위의 성능을 지녔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앰버의 일반공격 사거리가 저격수와 맞딜이 가능할 정도로 길지도 않고 지속형이라 딜교환에서도 약하기 때문에 보이는 대다수의 저격수들에게 불리하다. 물론 엄폐물을 끼며 서서히 접근하면서 유효 사정거리 안에 들게만 하면 확킬을 낼 수는 있으나, 킬 뿐만 아니라 자신의 체력관리 또한 중요한 바운티 모드에선 이러한 플레이가 리스크가 있다. 출시 시점에서는 화력 자체가 강해서 딜링 능력이 중요한 바운티에서도 써봄직 했으나 크게 너프된 이후로는 장점이던 지속화력도 별볼일 없는 수준으로 변하고 이동 속도까지 느려져서 좋은 픽이 아니다.
막강한 화력 때문에 공격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화력이 강한 브롤러들과 조합 시 첫 턴만에 게임을 끝내기도 한다. 그렇다고 수비에 약한 편도 아닌데, 로봇이 본진에 오기도 전에 4초간 강력한 데미지를 박는데다 관통이라 상대 브롤러들이 로봇을 따라 쉽게 접근하기도 힘들고, 만약 아군 중 불 등이 있으면 데미지 없이 방어에 성공하기도 한다. 다만 벽이 많은 맵에서는 투척 브롤러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직사 공격 방식인 앰버에게 다소 불리한 측면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따로 오는 적과 하나씩 오는 적들 순식간에 갈아버릴 수 있다. 특히 길목에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적이 접근하기 까다로워진다. 하지만 순간 피해량이 낮은 편이므로 쉘리 등 근접 브롤러가 붙을 경우 까다로울 수 있다.
지속적으로 높은 피해량을 빅 브롤러에게 입힐 수 있지만, 기동성이 좋지는 않아 빅 브롤러가 근접 브롤러가 아닌 경우 죽기 쉽다. 하지만 사거리가 나쁘지 않고 특수 공격으로 위치를 노출시키기 쉬워서 괜찮은 픽.
화력이 좋아 쓸만할 것 같지만 의외로 장전 시간 때문에 크게 활약하지는 못한다. 낮은 체력의 적이 적게 몰려오는 초반부에는 여유롭지만, 체력이 6천대가 넘어가는 로봇이 떼거지로 몰려오는 중후반부부터는 하나의 적 처치에도 많은 탄창을 쏟아 부어야 하기 때문에 쉽게 무력해진다. 탄창이 차는대로 공격해도 효율이 달라지지 않는 다른 브롤러들과는 다르게 앰버는 장전방식 특성상 효율적인 공격을 위해선 공격을 멈추고 별도의 재정비 시간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데, 초 단위로 로봇이 몰려오는 로보럼블에서는 그럴 여유가 없으니 후반부에 가서는 크게 힘을 쓰지 못한다. 다만 벽이 많아 로봇들의 동선이 제한되는 맵에서는 유용하게 쓸 수 있는데, 나란히 줄지어 오는 로봇들을 관통으로 지져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크레이지 이상부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앰버의 지속 딜량이 준수하더라도 그것은 경기 내내 지속적인 공격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정비 할 시간이 충분한 일반 교전 상황에서나 그런 것이고, 무조건 목표가 파괴될 때 까지 극딜을 넣어야 하는 보스전에서는 4초 동안 극딜을 퍼부을 수 있는 것은 게임 시작 직후 1회 뿐이고, 그 다음부터는 장전 시간이 적용되기 때문에 사실상 12초
[19] 동안 빠지는 정도로, 1초에 천을 약간 넘어서는 데미지밖에 주지 못한다. 특수 공격의 피해량도 보스의 체력에 비하면 쥐꼬리만한 수준이고 잡몹 처치에도 유용하지 않다. 큐브를 먹어도 마찬가지. 물론 트롤픽은 아니지만, 앰버보다 더 좋은 브롤러가 많기 때문에 다른 모드에서나 사용하자.
뛰어난 지속 피해량에 관통 기능이 있는 일반 공격과 꽤나 넓은 범위를 커버해주는 특수 공격까지 더해져 좋은 장악력을 보여준다. 거점을 지켜야 하는 핫존 모드 특성상 체력 좋은 탱커가 높은 빈도로 출몰하는데, 앰버가 이들에 대해 대처력이 좋은 점도 한몫 한다. 지켜야 할 거점이 한 군데인 모드에서 크게 활약한다. 다만 개활지가 큰 맵이라 원거리 브롤러가 자주 나온다면 딜교 자체를 할 수가 없어서 힘을 못쓴다.
보스전과 비슷한 이유로 크레이지 이상부터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벽을 부수지 않는 다는 점을 제외하면 보스가 건물을 부수기 전에 빠르게 화력을 부어서 잡아야 하는 모드 특성상 보스전 보다도 순간화력이 강요되는데, DPS가 다소 부족한 앰버는 좋은 픽이라고 할 수 없다. 가젯을 이용한 이동속도 증가를 통해 빠르게 점핑 패드로 피할 수 있긴 하지만, 모든 아군에게 속도버프를 걸어주는 맥스와는 다르게 자신에게만 적용되고, 특수 공격은 보스전보다도 더 쓸모가 없어 아무런 의미가 없다.
8. 상성
9. 추천 조합
쉽지는 않겠지만 넓은범위를 기름밭으로 만들고 불을 지르면, 넓은 범위의 부쉬제거, 적들에게 화염데미지를 주기 쉽다.
<rowcolor=#ffffff> [image]
| '''앰버''' 기본 스킨
|
무기가
비비와 비슷하다. 불의 모양과 색깔을 갖춘 모자를 쓰고 있고, 벨트에 불 모양의 장식이 있다. 횃불의 끝에는 휘발성 물질이 담겨져 있는 불 모양의 장식이 있다.
11. 업데이트 내역
[image] 브롤러 선택창에 추가
[image] 가젯 '불쏘시개'의 지속 시간이 4초에서 3초로 감소
[image] 체력이 3300에서 3000으로 감소
[image] 특수 공격의 총 피해량이 2000에서 1800으로 감소
[image] 일반 공격의 특수 공격 충전량 25% 감소
[image] 특수 공격 자체 충전량 16% 감소
[image] 앰버의 파워 레벨이 높을수록 특수 공격의 자체 충전량이 증가하던 버그 수정
[image] 연료 웅덩이 점화로 적에게 불을 붙인 직후 사망 시 1의 피해만 주는 문제 수정
[image] 이동 속도가 820에서 720으로 감소 (매우 빠름에서
보통으로 감소)
[image] 일반 공격의 탄당 피해량이 240에서 200으로 감소
[image] 적 앰버의 특수 공격 이펙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던 문제 수정
[image] 브롤 TV로 관전할 시 앰버의 연료 웅덩이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던 문제 수정
[image] 체력이 3000에서 3200으로 증가
[image] 일반 공격의 탄당 피해량이 200에서 220으로 증가
- 이름은 숯을 뜻하는 영어 amber(앰버)에서 유래되었다.
- 위의 일러스트와 같이 포코와 엘 프리모보다 더 큰 인기를 얻기 위해 불을 이용한 묘기를 한다는데 잘 하지는 못한다고 한다.[20]
애니메이션에서 횃불의 불을 손으로 옮기려는데 실패했다.
해당 일러스트를 보면 알다시피 묘기고 뭐고 전부 태워먹고 있는 상황. 이렇게보면 허당인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에서도 마찬가지로 온갖 사고를 친다.[21] 불 막대기를 던지는 묘기를 했는데 엉뚱한 곳으로 날려 애꿎은 로사의 식물과 비비의 방망이만 태우게 되었고 이것으로 인해 무대가 난장판이 되었다.
- 비에 이어 두번째로 출시 전에 너프를 먹었다.[23]
개발자 빌드에서는 가젯의 지속시간이 4초였는데 3초로 너프된 채 공개되었다.
- 어떤 한 유저가 앰버의 성능이 너무 강력하다며 너프를 요청하는 글을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리는 해프닝이 일어났다. [24] 당연하지만 청와대 청원은 현 정부의 국정 현안이나 정부의 미흡한 부분 등 행정부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정치적인 부분에서의 소통을 위해 만든 것이지 개인의 하소연을 듣고 답해주기 위해 만든 게 아니다.
- 앰버가 수풀에 들어갈 때,앰버가 들고있는 횃불의 불이 수풀로 들어가기 직전 위치에 남아있는 버그가 있다.
- 현재 전설 브롤러 중에서 홍일점이다.[25]
스파이크는 성별이 삭제되어서 알 수 없으므로 제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