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 프리모

 



'''브롤스타즈의 최초의 브롤러'''
'''최초의 브롤러
22명'''




'''엘 프리모
EL PRIMO
'''
<colbgcolor=#00ff00><colcolor=black> '''등급'''
희귀
'''역할군'''
헤비웨이트
(HEAVYWEIGHT)
'''HP'''
6000
'''이동 속도'''
빠름 (770 = 2.57 타일/초)
'''코드 네임'''
Luchador
'''성우'''
Alejandro Sanchez
'''스탯'''
<rowcolor=#000000>[image] '''공격'''





[image] '''방어'''





[image] '''유틸성'''





1. 개요
1.1. 구 모델링 & 일러스트 / 핀
2. 일반 공격
3. 특수 공격
4. 스타 파워
4.1. 엘 푸에고
4.2. 유성 러시
5. 가젯
5.1. 보충제 수플렉스
5.2. 유성우 벨트
6. 레벨별 스탯
7. 성능
7.1. 장단점
7.2. 변천사
7.3. 모드별 평가
8. 상성
9. 추천 조합
10. 스킨
10.1. 기본 스킨
10.2. 엘 루도 프리모(EL RUDO PRIMO)
10.3. 엘 레이 프리모(EL REY PRIMO)
10.4. 엘 브라운(EL BROWN)
10.5. 트루 실버 엘 프리모(TRUE SILVER EL PRIMO)
10.6. 트루 골드 엘 프리모(TRUE GOLD EL PRIMO)
10.7. 엘 아토미코(EL ATOMICO)
11. 업데이트 내역
12. 기타

[clearfix]

1. 개요


'''El Primo is here.'''

엘 프리모가 왔다.

'''For pain and for glory!'''

노력과 영광을 위해!

El Primo throws a flurry of punches at his enemies. HIs Super is a leaping elbow drop that deals damage to all caught underneath!

적에게 분노의 주먹을 날립니다. 특수 공격으로 점프한 뒤 팔꿈치로 범위 안에 있는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

모티브는 루차 리브레 챔피언. 이름의 뜻은 스페인어로 일인자[1]라는 뜻이다.
리모델링 전에는 승리 시 왼손으로 하늘을 가리켰고 패배 시 육중한 몸과 대비되게 왼손으로 얼굴을 가리면서 울었다.
[ 승리/패배 모션 ]
[image]
[image]
'''승리 모션'''
'''패배 모션'''
9월 업데이트로 모델링이 개편되었다. 승리 시 벌크업 포즈를 취한 다음 점프해서 한 바퀴 돈 다음 왼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패배 시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면서 운다.

[ 대사 목록 ]

'''El Primo is here.'''

엘 프리모가 왔다.

'''¡Vámanos!'''

가자!

'''Hahahahaha!'''

하하하하하!

'''For pain and for glory!'''

노력과 영광을 위해!

'''Soy el major!'''

내가 최고야!

'''El campeòn!'''

내가 챔피언이다!

'''Show time!'''

쇼타임!

'''와하하하하!'''

인게임 기본 대사

'''¡Buenas Noches!'''

잘 자라!

'''You lose!'''

너의 패배다!

적 처치 대사

'''Macho Punch!'''

마초 펀치!

'''Primo Punch!'''

프리모 펀치!

'''Fists of Fury!'''

분노의 주먹!

일반 공격 사용 시 대사

'''El~ Primo!'''

엘~ 프리모!

'''El Primo!'''

엘 프리모![52]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Sin dolor no hay gloria!'''

고통 없인 영광도 없지!

'''The show must go on!'''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Grrr!!'''

으으윽!!

피격 시 대사

'''Adiós, amigos...'''

잘 있어, 친구들아...

'''Me muero...'''

나는 간다...

'''Adiós, mundo cruel!'''

잔혹한 세상이여, 안녕![53]

'''Aaaaaaao~~~'''

에오 ~

사망 시 대사



1.1. 구 모델링 & 일러스트 / 핀


'''구 모델링'''
[image]
[image]
[image]
[image]
기본 스킨
엘 루도 프리모
[image] 30[2]
엘 레이 프리모
[image] 80[3]
구 일러스트
[1] (남자) 사촌이라는 뜻도 있다.[2] 기존 스킨 보유자는 50 보석 이득이다.[3] 기존 스킨 보유자는 70 보석 이득이다.
'''핀'''
[ 핀 목록 ]

상태
희귀도
대사
[image]
Neutral
일반
Show time!
[image]
Happy
일반
Soy el major!
[image]
Sad
일반
Adiós, amigos...
[image]
Angry
일반
The show must go on!
[image]
GG
희귀
You lose!
[image]
Thanks
영웅
¡Vámanos!
[image]
Phew
영웅
웃음소리


2. 일반 공격


[image]
'''일반 공격'''
<colcolor=#000000> 분노의 주먹(FISTS OF FURY)
피해량
4 × 360
사정거리
근거리 (9 = 3 타일)
재장전 속도
매우 빠름 (0.8 초)
특수 공격
충전량

11.16% * 4

El Primo fires off a furious flurry of four fiery fists. That's a spicy jalapeno knuckle sandwich!

분노로 불타오르는 주먹을 4번 연속 날립니다. 매운 주먹맛 좀 보실래요?

0.65초간 4발의 펀치를 날려 공격한다. 관통형 공격이라 인원수와 상관없이 범위 내의 적을 모두 공격한다.
높은 위력과 매우 짧은 재장전 시간을 가지고 있어 빠른 딜 누적으로 상대를 잘라먹기 좋다. 투사체의 속도도 빨라서 적을 쫓아가며 두들겨 패기도 편하다. 광역 피해라 밀집된 지역에서의 전투에서 위력이 미친듯이 상승한다.
다만, 높은 총 대미지에 비해 순간 화력은 부족하다. 연사형 공격이라 3탄창을 다 쓰는데 시간이 꽤 오래 걸린다. 이 때문에 샷건러를 상대로는 조금 불리하므로 불이나 쉘리는 항상 조심해야 한다.
4번의 공격을 나눠서 때리기 때문에 적이 좌우로 무빙을 하거나 엘 프리모의 공격 방향 바깥으로 넘어가거나 엘 프리모와 몸을 비비는 경우 명중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때리는 타이밍과 거리가 생명이다.
오토 에임과의 시너지가 좋다. 어차피 사거리가 짧아서 오히려 조준해서 쏘는 게 더 시간이 걸릴 정도. 다만 근접에서 좌우 무빙을 적이 칠 경우 다 피할 수 있으니 근접에임도 연습해두자.

3. 특수 공격


[image]
'''특수 공격'''
<colcolor=#000000> 플라잉 엘보 드롭
(FLYING ELBOW DROP)
피해량
800
돌진 거리
장거리 (27 = 9 타일)
특수 공격
충전량

25%
넉백 사정거리
2.17 타일

높이 점프한 뒤 팔꿈치로 적을 때려눕히고 지형물을 파괴합니다!

Leaping high, El Primo drops an Intergalactic Elbow that knocks around enemies and destroys cover!

높이 점프해서 일정한 범위 내에 대미지를 준다. 점프 거리도 굉장히 길며 날아가는 속도도 꽤 빨라서 빠르게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4]
착지한 지점에는 대미지와 함께 넉백을 주는데, 넉백 성능을 이용해 상대의 행동을 캔슬시켜버릴 수 있다. 프랭크처럼 공격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필요한 적에게 사용하면 공격하는데 남은 시간이고 뭐고 바로 캔슬된다. 게다가 날아가는 도중에는 체공상태이기 때문에 진입이나 도주 양쪽으로 활용도가 높다. 또한 게임 특성상 체공 중에는 무적 판정이다.[5] 여러 부분에서 이동기 계열의 특수 공격 중에서는 최상위권에 속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는 특수 공격이다. 특히나 사거리가 최하위권인 엘 프리모의 단점을 잘 보완해 준다.
쉘리나 불 등의 브롤러와 근접전을 벌일 때도 상당히 유용하다. 초근접 상태에서 오토에임으로 특수 공격을 쓰면 바로 점프해서 때려박기 때문에 순간 무적 판정으로 공격을 한번 무시하고 넉백을 통해 일방적으로 딜을 넣는 식으로 쓰인다.
다만, 시전 중에도 그대로 브롤러가 노출되어 특수 공격 시전 위치 및 방향을 적이 예상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피할 수 있거나[6] 미리 매복하고 있던 또 다른 적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베타테스트 기간 까지는 OP 그 자체였으나 패치로 사정거리가 줄어들고 공격에 약간의 딜레이가 생기는 너프로 OP 소리 까지는 못 듣게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돌진계열 특수 공격 중에서는 최고의 성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평가가 매우 높은 편이다.
참고로 시전한 거리에 따라 시전 시간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7]

4. 스타 파워



4.1. 엘 푸에고


[image]
'''스타 파워'''
<colcolor=#000000> 엘 푸에고(EL FUEGO)

Enemies caught in El Primo's Super will burn for '''1200''' damage over 4 seconds.

특수 공격에 적중당한 적을 불태워 4초 동안 '''1200''' 피해를 줍니다.

특수 공격 사용 시 몸에 불이 붙는 효과가 추가되며 특수 공격을 맞은 적에게 크로우의 일반 공격과 비슷하게 도트 피해를 입힌다. 초당 1200의 피해가 아니라 4초 동안 총 1200의 피해를 입기에, 초당 300의 피해를 입는다.
문제는 피해량이 너무 적고 일반 공격이 공격 간의 간격이 적은지라 체감량이 매우 작다는 점, 그리고 후술할 두 번째 스타 파워인 유성 러쉬가 압도적으로 좋다는 점이다. 이러한 악재들이 겹쳐 2020년 12월 기준 '''안 좋은 스타 파워 중 하나'''로 평가받는 중이다.
그나마 포탑, 금고 피해 1%가 중요한 하이스트나 시즈 팩토리에서 채용할만 하나, 유성 러시를 이용해 킬을 내거나 증가된 이동 속도를 활용하여 안정적으로 딜을 넣는 플레이가 오히려 더 선호되기도 한다.
여담으로, 푸에고(Fuego)는 스페인어로 '불꽃'이라는 뜻이다.

4.2. 유성 러시


[image]
'''스타 파워'''
<colcolor=#000000> 유성 러시(METEOR RUSH)

El Primo gains a '''25%''' speed boost for '''4''' seconds after using his Super.

특수 공격을 사용한 후 이동 속도가 '''4'''초간 '''25%''' 빨라집니다.

2019년 8월 14일에 출시된 엘 프리모의 2번째 스타 파워.
엘 프리모가 특수 공격을 사용한 후 4초 동안 이동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데,[8] 적에게 특수 공격을 적중시켰을 때는 물론 실수로 빗나가도 이동속도 증가로 적을 따라잡을 수 있게 되므로 특수 공격의 리스크를 대폭 낮춰준다. 지속 시간도 4초로 넉넉하므로 적을 잡고 도주까지 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특히 이 스타파워를 잘 활용하면 궁극기으로 넉백한 틈에 빠른 속도로 다가와서 연타로 궁게이지를 채우고 다시 궁극기로 공격하는 등 연속 궁극기와 연타로 상대방 브롤러를 순식간에 제거할 수 있다.
무엇보다 큰 힘을 발휘하는 모드는 '''브롤 볼'''로, 안그래도 엘 프리모의 슛-궁 연계는 위협적인데 여기에 이동 속도 증가까지 겹쳐 엄청난 속도로 골대에 직진할 수 있으므로 위력이 배로 상승한다. 사실상 대릴이나 같은 엘 프리모라도 반응이 늦으면 쫒아가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상대방이 엘 프리모에 대한 저지력이 부족할 경우 그냥 골을 쑤셔넣을 수 있다.

5. 가젯



5.1. 보충제 수플렉스


[image]
'''가젯'''
<colcolor=#000000> 보충제 수플렉스
(SUPLEX SUPPLEMENT)
반지름
(효과 범위)

700 = 2.33 타일
날라가는 거리
4 타일

El Primo grabs the closest enemy within his reach and flips them like a pancake over his broad shoulders.

범위 내의 가장 가까운 적을 잡아, 넓은 어깨너머 뒤로 메칩니다. 마치 팬케이크 같군요![9]

2.33칸 이내에 있는 적을 뒤로 던지며, 이 때 적은 4칸을 뒤로 이동한다. 한 판 당 3번씩 쓸 수 있다.
가젯을 사용해 상대방을 뒤로 넘겨도 전혀 피해를 입힐 수 없지만, 벽이나 강과 같은 장애물을 넘어서도 던져지기 때문에 변수를 만들 수 있다. 브롤 볼에서 자신을 방어하려고 하는 적을 뒤로 날려버리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10][11] 또한 판정이 매우 좋아 앵간한 브롤러들의 궁극기보다도 먼저 발동되므로 수풀에 들어갈 때 가젯을 연타하면서 들어가면 적어도 원거리 브롤러가 아닌 이상 끔살당할 일이 없어진다.
다만 가젯을 사용하는 도중엔 브롤 볼의 공이 엘 프리모를 통과한다. 공격 등의 모션을 취하는 도중에 공을 받을 수 없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적을 수비하려다가 오히려 적을 골대로 배달을 하는 장면이 많이 연출되니, 적이 공을 찰 것 같으면 가젯 사용에 주의하자.
가젯 사용시 적이 날아가는 방향은 '''자신이 적에게 진입하는 방향[12] 의 반대 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 단순히 잠시동안 띄우는 용도라면 별 상관없지만 만약 상대를 강이나 벽 너머로 던져버리는 플레이를 하게 된다면 위치 선정이 굉장히 중요해진다. 이때 팁으로, 날려버릴 방향을 바라봄과 동시에 상대를 등진다는 마인드로 가젯을 사용하면 초근접 상황이라 할지라도 원하는 위치에 날릴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보충제 수플렉스에 걸린 적은 체공형 특수 공격을 사용한 것처럼 공격에 맞지 않는다. 이 때문에 쓰기 전 먼저 전장 상황과 팀원의 위치를 잘 파악해야 한다. 실제로 브롤볼이나 하이스트와 같은 모드에서 적 탱커가 그냥 걸리적거린다고 냅다 아군 딜러쪽으로 집어 던져 팀킬을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쇼다운 맵을 플레이 시 적 브롤러를 던져버린 후 다 깨놓은 파워큐브를 뺏는 웃픈 장면이 연출되기도 한다.[13] 또한 앵그리로보 맵에서는 적을 로봇쪽으로 던져버려서 로봇어그로를 피할 수 있고,적과 내가 교전 중에 적이 가젯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면 벽 너머로 던져버리고 자리를 뜨거나,적을 다른 적들이 싸우는 곳에 던져버림으로써 싸움을 붙일 수도 있다. 여러모로 사용할만한 상황이 나오기 어렵지만 적절할 때 사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생각보다 1:1 상대할 때와 궁 연계를 할때 좋은 가젯이다. 공중에 뜨여진 브롤러가 땅에 닫기 직전에는 엘프리모가 1타를 더 때릴 수 있고 만약 상대가 당황하여 궁을 뺐을때 궁으로 피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적을 잡을 수 있다
종합하자면 잘 쓸 때못 쓸 때나 게임의 판도를 뒤집어버리는 변수 창출 가젯이라 할 수 있다.

5.2. 유성우 벨트


[image]
'''가젯'''
<colcolor=#000000> 유성우 벨트
(ASTEROID BELT)
사정거리
(발동 범위)

9 타일
폭발 반지름
900 = 3 타일

El Primo summons a small meteor to strike the nearest enemy. It deals '''2000''' damage and destroys walls.

가장 가까이 있는 적의 위치에 작은 유성을 소환합니다. 유성은 '''2000''' 피해를 주며 벽을 파괴합니다.

사정거리 내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적에 유성이 떨어진다. 한 판 당 3번씩 쓸 수 있다.
이 가젯을 쓰면 가장 가까운 적의 위치에 쇼다운 운석 떨어질 때와 유사한 원이 생기고 그 자리에 운석이 떨어진다. 가젯 사용 2.5초 후 하늘에서 유성이 떨어지면서 2000의 피해를 입히며 넉백시킨다.
2000이라는 높은 피해를 주어 일대일 상황에서 유용해 보이지만 딜레이가 길어서 대인전에선 거의 사용하기 힘들다. 특수 공격과 연계해 유성 착탄지점으로 넉백시켜 유성을 맞추는 고급 테크닉이 있으나 굉장히 어려운 편으로, 일대일 상황에서는 무턱대고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범위가 유성 모드의 유성보단 조금 작고 선딜레이 때문에 이동 속도가 느린 8비트를 제외하곤 쉽게 피할 수 있어서 쓸모없는 가젯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으나, 특정 지역에서 적들을 밀어내서 진형을 붕괴시키거나 벽을 파괴해서 스로어나 벽 뒤에 주로 설치하는 일부 터렛들을 노출시키는 용도로 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14] 딜레이가 길다는 것은 그만큼의 시간 동안 해당 지역에 적들이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도 된다. 때문에 무턱대고 쓴다면 당연히 아무도 안 맞고 날리는 것이겠지만 예를 들어 브롤 볼에서 적들이 공을 들고 돌진하는 스트라이커를 막으려고 골대 앞을 수비하는 상황 등,[15] 특정 지역에서 움직여서는 안되거나 못하는 상황일 때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가장 가까운 적의 위치를 공격하기 때문에 사정거리 내에 적이 여러 명이 있는 경우 원하는 적을 맞추기 힘들며, 덤불에 들어간 적 및 은신 상태가 된 적을 상대론 사용할 수 없다.
브롤 볼, 하이스트, 시즈 팩토리에서 사용하여 적 수비력을 크게 낮추거나, 말 그대로 금고에 때려박는 등 특정 모드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인다. 특히 하이스트의 금고에서 적이 수비 중인 금고에 사용하면 적 수비력이 크게 약해지는데, 금고에는 2000딜이 그대로 들어가고, 엘 프리모의 주먹 세례도 끊임없이 들어가게 된다.
쇼다운에선 유사 유성 모드로 활용할 수 있다. 쇼다운에서 쓰게 된다면 맵의 범위가 1/6 이하로 좁아졌을 때부터 쓰면 좋다.
예전에는 적을 맞추면 특수 공격을 절반 이상 충전했으나 언제인지 사라진 기능이 되었다.[16]

6. 레벨별 스탯


파워
레벨

[image] '''HP'''
[image] '''일반 공격'''
[image] '''특수 공격'''
1
6000
4 × 360
800
2
6300
4 × 378
840
3
6600
4 × 396
880
4
6900
4 × 414
920
5
7200
4 × 432
960
6
7500
4 × 450
1000
7
7800
4 × 468
1040
8
8100
4 × 486
1080
9
8400
4 × 504
1120
'''10
(스타 파워)'''

-
[image] '''엘 푸에고'''[17]
[image] '''유성 러시'''[18]
'''7 ~ 10
(가젯)'''

[image] '''보충제 수플렉스'''[19]
-
[image] '''유성우 벨트'''[20]
[4] 대릴의 특수 공격과 불의 특수 공격의 중간 정도.[5] 다만 대표적으로 크로우의 지속 도트뎀을 맞은 경우에는 체공 중에도 데미지를 입는다.[6] 스로어 브롤러처럼 프리모 궁극기도 어느 정도 예측샷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7] 가령 최대 거리까지 시전하면 파이퍼의 특수 공격과 체공 시간이 동일하지만 초근접 거리에서 사용하면 거의 딜레이 없이 시전된다.[8] 770에서 970으로 증가한다.[9] 한국어 설명에는 없으나 팬케이크를 뒤집듯이 적을 뒤집는다는 말이다.[10] 전방에 있는 적 브롤러에게 공을 패스한 뒤 바로 가젯을 사용하면 간단히 한 명을 제칠 수 있는 것이다.[11] 또한 던져진 적은 공을 놓치게 되기에 방어용으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12] '''바라보는 방향이 아니다.''' 자신과 상대의 위치를 양 끝점 삼아 선분을 그리고 상대쪽에 화살표를 그리면 그것이 진입 방향이 된다. 바라보는 방향이 상대를 등지고 있어도 진입 방향이 반대라면 바라보는 쪽으로 날아가게 된다.[13] 심지어 독구름으로 적을 던져버릴수도 있다![14] 대신 벽이 부서지면 엘 프리모도 불리하기 때문에,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15] 다만 이 경우에는 앞의 가젯으로 상대를 던져버리는게 훨씬 효율적이다.[16] 대신 유성우 피해 범위가 넓어졌다.[17] 특수 공격에 맞은 적은 4초간 초당 300 피해(총 1200)[18] 특수 공격 사용후 이동 속도가 4초간 25% 증가[19] 2.33타일 내에서 가장 가까운 적 한 명을 뒤로 내던짐[20] 가장 가까운 적에게 2000의 피해량을 주는 유성우 소환
HP가 프랭크 다음으로 높아 모든 브롤러들 중 2위이다.

7. 성능


전형적인 탱커 포지션의 브롤러. 짧은 사거리를 지녔지만 높은 체력과 공격력, 특수 공격을 통한 괜찮은 기동성을 지닌 등 탱커로써 운용하기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빅 게임, 쇼다운, 바운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에서 두루 쓰인다. 브롤스타즈에서 탱커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는 [21], 프랭크, 로사, 대릴보다 '''훨씬 뛰어난 범용성'''을 가지고 있는 셈. 불과는 은근히 포지션이 비슷한 편인데, 높은 체력, 높은 근접 화력, 우수한 기동성, 짧은 사거리 등 비슷한 점이 많다.[22] 특히 거리가 1타일만 떨어져도 딜이 급감하는 불과는 달리 엘 프리모는 3타일 이내라면 항상 동일한 딜링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무빙만 잘 친다면 상대를 쉽게 제압할 수 있다.
조작 난이도도 매우 쉽다. 일반 공격은 콜트브록처럼 신중한 조준이 필요하지 않고 사격 버튼을 연타해서 오토에임만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23] 특수 공격도 난전이 일어나는 곳에 뛰어들어서 진형을 붕괴시키거나 중요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도망가는 데에만 써도 1인분은 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엘 프리모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는 것은 일반 공격의 '''3'''밖에 안되는 매우 짧은 사거리와 좁은 판정이다. 사거리가 긴 콜트, 제시의 사거리가 9나 된다는 걸 생각하면 그 3분의 1도밖에 안되는 엘 프리모의 사거리가 매우 짧다는 걸 알 수 있다.[24] 이는 환경적 요인(점프 발판, 부쉬, 벽)을 동원하지 않고는 엘 프리모 혼자서 커버하기 힘든 단점이다.
그리고 잘 체감되진 않지만 심하게 판정과 범위도 좁다. 그래서 관통임에도 불구하고 적들이 겹쳐 있지 않는 한 여러 명을 맞추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엘 프리모를 플레이 할때는 부쉬를 활용하여 적 브롤러들을 기습할 기회를 노리고, 돌진기인 특수 공격 또한 적재적소에 활용해야 한다. 그래도 이 짧은 사거리만 제외하면 생존력, 지속 화력, 기동성 모두 준수한 좋은 브롤러이다.
모든 한타형 브롤러가 그렇겠지만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은 한타 상황을 잘 재고 써야한다. 비등비등한 상황에서 굳이 무리할 필요가 없다면 급한맘에 홀로 적진으로 특수 공격을 쓰지는 말자. 도주용 특수 공격을 다시 채우기 전에 상대팀의 특수 공격 셔틀이 될 것이다.[25]

7.1. 장단점


'''장점'''
<color=black>
* '''매우 높은 HP'''
엘 프리모는 전체 브롤러 중에서 기본 체력이 2번째로 높다.[26] 이를 이용해 최전방에서 공격을 대신 맞아주며 아군에게 쏠리는 어그로를 대신 받는 탱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강력한 특수 공격과 빠른 기동력'''
탱커 브롤러인지라 이동 속도가 빠른 편이다. 여기에 특수 공격인 플라잉 엘보 드롭을 이용해 전장을 종횡무진 날아다닐 수 있어서 종합 기동력은 웬만한 암살자 브롤러에게도 꿀리지 않는 수준이다. 특히 유성 러시 스타파워까지 있으면 금상첨화. 플라잉 엘보 드롭은 다른 탱커의 직선 돌진기와 다르게 돌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약중엔 무적 상태나 다름없다.[27] 특수 공격도 선딜이 굉장히 짧고 넉백도 줄 수 있다는 강점 덕분에 근접전에서도 선딜이 요구되는 특수 공격을 봉쇄하는 능력으로 훌륭하고,[28] 엘 프리모를 떨쳐내기 어렵게 만드는 기술로 굉장히 좋은 편이다.[예시]

* '''적 브롤러 관통이 가능한 기본 공격'''
다른 브롤러랑 같이 겹쳐서 때리는 게 가능하다. 오히려 둘이 뭉치면 탄창의 문제로 아무도 못 잡는 경우가 생기는 다른 브롤러들과는 달리 이를 메꿀 수 있다. 상자와 함께 겹쳐서 상자와 다른 브롤러를 타격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적을 상대로 더블 킬도 가능하다. 단 벽은 관통할 수 없다. 하이스트에서 금고와 상대 수비병력을 같이 때릴 수 있어서 금고체력 1%가 아쉬운 상황에서는 몸으로 상대의 공격을 일부러 막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엘 프리모에게는 무용지물이다.

* '''빠른 재장전 속도'''
프랭크와 함께 재장전 속도가 2위이다. 덕분에 근접했을 시에 특수 공격을 빠르게 채울 수 있으며, 빠르게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 '''위 장점들의 조화로 인한 높은 캐리력'''
높은 체력 덕에 적팀에 궁 있는 쉘리나 불같은 캐릭터가 없는 한, 적진에 대놓고 들어가도 지장이 덜하며, 훌륭한 성능의 진입기이자 진영 붕괴기인 특수 공격과 함께 높은 공격력과 관통 공격까지, 딱 봐도 캐리에 적합한 스탯을 가졌다. 잘만 하면 혼자 궁쓰고 들어가서 적 3명을 다 잡고 유유히 나오는 것도 가능할 정도로 캐리력이 훌륭하다.[29]
'''단점'''
<color=black>
* '''짧은 사정거리'''
'''엘 프리모의 가장 큰 단점이자 약점'''으로 엘 프리모의 기본 공격 사거리는 고작 '''3 타일'''로, 전체 브롤러 중에서도 거의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 프리모는 적에게 바짝 붙지 못하면 일방으로 두들겨 맞아 적들의 특수 공격 충전제로 전락하는 일이 부지기수다. 저랭크 단계에서는 풀숲으로 다니는 것 만으로도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지만, 랭크가 높아질수록 적에게 붙는 것이 힘들어져서 심하면 특수 공격을 한번 충전하는 것도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30]

* '''펀치의 좁은 좌우 판정'''
위의 사정거리 문제와 공유되는 일반 공격의 문제로, 펀치의 좌우 판정이 '''1타일'''밖에 되지 않는다. 이 단점은 4발을 나누어 날린다는 단점과 공유되어 상대가 회피기동을 잘하면 패배하는 경우도 잦다. 비슷한 공격을 하는 로사가 사정거리도 더 길고 좌우 판정이 부채꼴 모양으로 매우 넓은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근접 상황에서 무턱대고 오토에임만 난사했다가 대릴에게도 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로사가 사거리가 부채꼴 모양이라서 판정이 좋은 편이라는 점과 비교가 된다.

* '''순차적으로 나가는 딜로 인한 낮은 킬효율'''
순간폭딜이 아닌 지속되는 공격으로 인해서 다른 브롤러들에 비해 실질적 킬 가능성은 낮은 편으로 만약 엘 프리모보다 빠른 브롤러나 근접 대응력이 강한 브롤러들과 상대하면 특수 공격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두 번째 스타 파워가 없는 이상)실질적인 킬효율은 낮은 편이다.

* '''높은 특수 공격 의존도'''
엘 프리모는 능력치가 고루고루 준수하지만, 위의 단점에서도 봤듯이 평타의 결점이 뼈아픈 브롤러이다. 그래서 엘 프리모는 적과의 근접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는 특수 공격을 빠르게 채워줘야 한다. 문제는 상위권으로 갈수록 특수 공격을 채우기 쉽지 않다는 것.[31] 스타파워의 혜택도 모두 특수 공격에만 적용되는지라 특수 공격을 계속해서 채우지 못하거나 날렸을 때에는 그냥 체력만 많은 샌드백이 되어버린다.

* '''위 단점들의 조화로 인한 낮은 경쟁력'''
위 장점과 단점을 보면 요구해야할 컨트롤의 숙지가 상당히 많아야하고 그에맞는 전투센스도 뛰어나야 하므로 자연히 브롤러의 난이도가 올라갈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엘 프리모보다 순간딜과 공격 범위, 공격 딜레이가 우월한 재키, 특수 공격에 쉴드가 달리고 공격 판정도 넓으며 조건부 자가힐링(자연이 좋아 스타파워)도 가진 로사 등 헤비웨이트 계열에서 엘 프리모의 평가가 절하될 수 밖에 없다.


7.2. 변천사


정식 출시 때부터 브롤 볼 1티어 탱커라고 평가받았으며, 하이스트, 시즈 팩토리, 로보 럼블 등의 모드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그 후 유성 러시 스타 파워가 나왔을 때 그 장점이 더욱 부가되었다.
그러나 로사, 재키 등의 더 좋은 탱커들이 나오면서 밀리기 시작하더니, 가젯이 출시된 이후 더더욱 평가가 떨어졌다.
결국 쉘리와 더불어 하위권 브롤러로 평가받고 있는데, 공격의 폭과 사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궁 채우기도 어렵고 순간 화력도 약한데다가 근접전도 쉘리, 불 등의 샷거너에게 밀리기 때문. 그나마 '유성 러시' 스타 파워가 있으면 사정은 나아지지만 여전히 사거리 문제는 해결하기가 힘든 편.
그나마 다른 탱커들 비해 기동성이 좋고 체력과 생존력이 높기 때문에 컨트롤을 잘한다면 여전히 좋은 브롤러는 맞다. 즉 다른 탱커들 비해 까다롭긴 해도 상황판단과 단점을 어떻게 극복하는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엘 프리모는 스펙상 체력, 공격력, 기동성, 생존력, 범용성, 등 다른 근접 브롤러에게도 끌리지 않는 편이다. 단지 '''사거리가 너무 짧아서''' 뛰어난 스펙들이 묻혀서 그렇다.
이로 인해 2020년 9월에 버프를 받게 되었다. 일반 공격의 특수 공격 증가량이 살짝 올라 기존 주먹 10개에서 주먹 9개에 특수 공격을 채울 수 있게 되었으며, 특수 공격의 자체 특수 공격 충전량이 소폭 증가했다. 또한 '유성우 벨트' 가젯의 범위가 살짝 커졌다.
비록 미세한 버프이나, 플레이하는 입장에서는 체감이 될 정도로 특수 공격을 채우기 쉬워진 편이다. 또한 특수 공격을 사용한 이후에도 특수 공격을 채우기 쉬워진 편. 하지만 지속적으로 원거리 브롤러가 출시되고 있는 마당에, 종합적으로 보면 여전히 하위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 현 메타가 원거리 브롤러 중심이기 때문에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는 안습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콜레트의 연속 버프와 에드거가 출시된 이후로 엘 프리모의 좋지 않았던 평가는 더욱 안 좋아졌다. 버프 전에도 체력 비례 피해를 주어 엘 프리모의 높은 체력을 종잇장처럼 여기는 콜레트가 버프로 입지와 킬 결정력이 매우 크게 상승한데다가, 에드거와 비교해봐도 단순 브롤러의 기본 스탯을 제외하면 엘 프리모에게 필요한 빨리 순환되는 특수 공격, 기동성, 체력 회복 같이 유용한 것을 에드거가 전부 가지고 있기 때문.[32] 결국 엘 프리모는 쉘리와 함께 고랭크에서 나오면 트롤 취급은 받고가는 안습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33]
2021년 1월 기준 맵 메이커 우승 맵에서 가끔 보이는 것이나 대회 참가 맵에서 자주 보이는 걸 제외하면 완전히 입지를 잃어, 최악의 브롤러라는 평가가 대다수이다. 그저 강렬한 타격감에 한다는 브롤러라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34]
2021월 1월 5시즌 패치로 각종 원거리, 투척 브롤러나 제시, 비비, 앰버 등 고인 신세에 머물러 있던 브롤러들은 눈에 띄게 큰 버프를 받거나 신규 가젯의 출시로 입지가 나아지는 반면 엘 프리모는 어떠한 버프 하나도 받지 못하고 오히려 경쟁자들과 하드 카운터들만 늘었으며 원거리 메타도 그대로라서 상황이 전보다 더욱 암울해졌다.
결론적으로, 엘 프리모는 원거리 메타가 끝나거나 따로 사거리나 이동속도 등 구체적으로 큰 버프를 먹지 않는 이상은 '''더 이상 엘 프리모의 입지는 없다.'''[35]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보통''',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36][37]으로 분류하였다.
맵에 따라, 그리고 상대하는 브롤러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덤불이나 벽을 이용하여 상대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막고 아군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운용하는 것이 좋다.[38] 불리한 상황에서도 특수 공격으로 아군과 합을 맞춰 돌진하면 상대 젬 캐리어를 쉽게 자를 수 있어서 판을 뒤집는 능력은 상당히 출중한 편. HP도 높고 특수 공격으로 진입 및 도주가 모두 가능하기에 젬 캐리어로서의 역할도 가능하지만 근거리 브롤러인지라 전선에는 참가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벽과 부쉬가 적은 맵에선 오히려 원거리 브롤러의 샌드백 신세가 될 수 있으니 주의. 짧은 사거리 때문에 적의 일반 공격을 낭비하게 만드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못한다. 그냥 돌진하면 사방에서 공격을 맞고 죽는 경우가 많으며 적들이 투척 계열일 경우 벽이나 부쉬를 이용하기 까다로울 수 있다.
빠르게 파워 큐브 상자를 부술 수 있다는 점 외에는 장점이 별로 없다. 평균 컨트롤과 부쉬체크 능력이 절륜해지는 상위권 쇼다운에서는 그런 경향이 훨씬 더 커진다. 물론 엘 프리모는 근접 탱커 브롤러 답게 파밍도 빠르고[39] 근접 맞다이도 강력하여 덤불에 숨어있다가 체력이 약한 브롤러들을 사냥하기에 최적화 되어 있다. 맞다이, 도망 등 다방면에서 사용이 가능한 궁극기는 덤. 다만 사정거리가 짧기 때문에 부쉬 기습이 강제되고, 콜트 같은 브롤러를 보면 무조건 숨거나 도망갈 수 밖에 없다. 이속이 빠르고 근접딜이 쎄서 기본적으로 강캐 축에 속하지만, 부쉬가 많은 맵에선 쉘리나 불 등의 샷건러가 순간화력이 압도적이라 맞다이에서 털리고[40] 개방된 맵에선 원거리 딜러한테 썰리기 때문에 이도저도 아니게 된다. 즉 근거리나 원거리나 하드 카운터가 너무 많아 포지션이 흐려진다. 그나마 상위권에서는 벽이 많은 맵에서 근접 티밍이 자주 일어나기에 어느 정도 써먹을만 한게 그나마 위안.[41]
듀오 쇼다운에서는 순간 화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을 팀원과의 협공으로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부쉬 플레이를 할 수가 있어 솔로보단 사정이 조금 더 나은 편이긴 하나 난이도가 높다. 혼자서는 특수 공격을 채울 수가 없으며, 가까이 다가가다가 오히려 역관광당할 수 있다. 혼자서 다니는 적들을 특수 공격으로 처치하는 플레이를 하자. 사거리가 짧고 개활지 맵이 많다보니 듀오 쇼다운에서의 승률과 픽률은 처참하다. 여러모로 듀오 쇼다운에서 쓰기에는 부적합한 브롤러.
대릴, 프랭크와 함께 강력하다고 평가받았던 모드. 대릴이 공격수, 프랭크는 하드CC에 특화되었다면 엘 프리모는 올라운더로 평가받는다. 관통 공격으로 근접/난전에 강하며, 특수 공격으로 장애물을 넓게 부수거나 상대 브롤러를 넉백시켜 공을 놓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한 높은 HP로 상대 골대로 공을 그냥 들고 들어가는 전술도 유효하다. 특수 공격이 있는 상태에서 공을 들고 있다면 공을 먼저 차고 그대로 공이 있는 지점에 특수 공격을 사용하여 다시 공을 챙기는, 유사 드리블을 할 수도 있다.[42] 그러나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는 원거리 메타에 더해 엘 프리모의 상위호환이라고 할 수 있는 에드거의 출시로 설 자리가 없어졌다.
샷거너들보다는 위력이 조금 적게 들어가지만 빠른 재장전 속도와 무시못할 대미지로 엘리전에서도 막강한 화력을 보여주고 높은 체력으로 니타나 제시의 공격 정도는 적당히 무빙만해주면서 금고를 때려도 죽지않거나 매우 오래 버티면서 금고에 딜을 넣기 괜찮다. 또한 궁극기가 곡사여서 안정성도 높고 적의 금고와 적 브롤러를 같이 공격할 수 있어 샷거너들과는 다른 장점이 있으며, 궁극기로 금고를 기습하는 등 전장을 종횡무진 날아다니기도 한다. 과 함께 하이스트의 탱커 역할로 채용되는 브롤러로 엘프리모의 체력 및 궁극기 평타 등 많은 요소들을 활용하기 좋은 모드였으나 엘 프리모보다 더 좋은 활약을 보이는 브롤러들이 등장하면서 엘 프리모의 평가가 떨어졌다. 그래도 유성우 벨트가 있다면 금고에 유성이 확정적으로 박기 때문에 나쁘진 않다.[43]
원거리 공격 브롤러들이 많은 바운티 특성상 전혀 활약하기 힘들다. 근접 브롤러여서 일반 공격으로는 적 저격수들을 건들기가 힘들며 더 빠르게 이동하는 궁극기조차 공격 범위가 생각보다 좁아서 궁을 채우기도 힘들다. 뱀의 초원에서도 경쟁력이 없는데 화력은 같은 근접 브롤러인 쉘리나 불에게 밀리며 만일 부쉬에서 궁 있는 쉘리나 불이라도 만나면 순간화력이 부족한 엘 프리모는 순식간에 녹는다.
부품을 쉽게 가져갈 수 있고, 체력이 높아 보스전이나 로보 럼블처럼 상대 로보가 기지 대신 엘 프리모를 공격하도록 유인하는 플레이가 가능하여 수비에 좋으며, 공격을 갈 때 수비하는 브롤러들을 제거하기 좋은 브롤러다. 궁을 모은 다음 적이 기지에서 멀리 떨어졌을 때 기습적으로 궁을 사용해 기지 앞으로 바로 가서 큰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상대방의 포탑의 체력이 애매하게(5천~6천 정도) 남아있을 때 혼자 궁으로 들어가서 상대방의 포탑을 부술 수 있다.[44] 상대방의 방해가 전혀 없을 경우 못해도 8368의 엄청난 딜을 넣을 수 있다.[45] 궁만 차면 계속 포탑이 3~40%씩 깎이니 상대방 입장에서는 엄청나게 부담된다. 유성우 벨트 가젯이 있으면 궁이 없어도 시즈 포탑에 백도어 할 수 있다. 시즈포탑은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운석에 확정적으로 박는다.[46]하지만 거리를 좁히지 못하면 게임 내내 얻어맞기만 하는 무능한 엘 프리모를 볼 수 있으므로 많은 연습을 요구하는 편이다. 또 궁을 채우지 못하면 적에게 궁셔틀이 되고 부품을 먹고 튀는 적을 추격하는 것에도 지장이 있다. 무엇보다 사정거리가 매우 짧아서 궁극기 모으기가 매우 힘들고 유성 러쉬 스타파워는 포탑에 딜 넣을 때 아무 의미가 없다. 벽이 많은 맵에서도 재키나 스로워들의 하위호환이다. 유성우 벨트도 타 브롤러에게 어그로가 끌리면 벽만 부서져 자신에게 해가 되거나 아군에게 트롤이 될 수 있다.[47]
HP가 높아서 적들의 공격을 회피하면 어느 정도 승산은 있지만 짧은 사거리 때문에 특수 공격을 채우기 어렵다. 특히 쉘리한테 잘못 붙으면 순식간에 피가 달 수 있으니 주의.
오래 버텨야하여 높은 HP라는 강점을 살리지 못했던 이전 빅게임과 달리 2분 안에 버티기만 하도록 변경된 이후 평가가 조금 상승하였다.
체력이 많다고는 하지만 빅 브롤러의 딜이 워낙 쎄고 근접 브롤러라는 한계 때문에 딜도 제대로 넣지 못하고 쉽게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궁이 여러모로 포텐셜이 높긴 하지만 평타 사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궁 채우는 것 자체가 힘들다.
일반 공격이 관통형이라 뭉쳐 있는 로봇들을 같이 처리할 수 있고, 일반 공격에 사정거리가 조금 있으며 무빙을 하면서 때릴 수 있어 펀치 로봇이나 보스 로봇의 공격을 안 맞으면서 상당한 딜을 우겨넣을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또 빠른 장전속도와 높은 체력으로 로봇들을 탱킹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적의 능력치가 늘어나는 모드 특성상 엘 프리모의 애매한 DPS로는 일정 시점부터 로보를 처리하기 어려워져 특수 공격의 넉백 효과를 잘 이용해야 한다. 게다가 가젯과 스타파워도 별 효과가 없다. 하지만 엘 푸에고와 유성우 벨트를 조합하면 벽을 부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조금더 안정적인 DPS를 만들수 있다. 또 8비트와 조합하면 나쁘지 않다.
대미지도 나쁘지 않은 편인데다 엘 프리모에게 파워 큐브를 몰빵하여 생존자 포지션을 맡기기 좋은 브롤러다. 단, 사거리던져서무 짧아 불, 대릴의 하위호환이다. 궁극기도 그냥 보스에게 쓰면 보스의 강력한 근접공격에 끔살당하기도 한다. 또 크레이지 단계로 갈 수록 불의 픽이 높아지며 좋지 않은 픽이 되어버린다. 유성러시 스타파워가 있으면 생존력도 올라가고 궁극기 위험성도 감소해서 쓸만하다.
일반 공격의 사정거리가 짧아 원거리 브롤러들에게 쉽게 얻어 맞는다. 그래도 HP가 높아 버티기 수월하며,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상대를 쉽게 제압할 수 있다. 사정거리가 짧은 엘 프리모가 핫 존 모드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할 순 있지만, 점령도를 쌓아야 하는 핫 존 모드의 특성 상 범위 내로 접근할 수 밖에 없어서 엘 프리모의 사정거리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다. 상대 입장에서는 점령 지역을 접근하자니 HP도 높고 근접에서 강력한 엘 프리모를 상대해야 하며, 그렇다고 바깥에서 견제하자니 점령도를 못 채워서 불리해진다. 게다가 특수 공격으로 거점 싸움에 난입하는 방법으로 영향력도 행사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 문제는 특수 공격 없이 거점을 빼앗긴 상황이거나, 아군의 거점 점령도가 밀리는 상황에서는 완벽하게 아무것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
딜량이 그렇게 높진 않고 특수 공격의 범위가 넓어서 건물을 부수기도 쉽다. 물론 가젯으로 보스를 아주 잠깐 저지 시킬 수는 있지만 그게 끝이며, 오히려 보스를 아군에게 던져서 팀킬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크레이지 단계 이후부터는 아무리 체력이 높은 엘 프리모라도 순삭당하며, 파워 큐브가 수급되지도 않기에 그냥 쓰지 말자.

8. 상성




9. 추천 조합


<rowcolor=#ffffff> 조합 1
[image]
[image]
<rowcolor=#ffffff> 조합 2
[image]
[image]
<rowcolor=#ffffff> 조합 3
[image]
[image]
  • 유성 러시 - 유성우 벨트
쇼다운, 브롤 볼(공격)에 특화된 조합. 가젯을 사용하여 지역 장악력을 높일 수 있으며, 스타 파워로 킬 결정력 및 생존력을 높일 수 있다
  • 유성 러쉬 - 보충제 수플렉스
덤불이 많은 쇼다운, 브롤 볼(수비)에 특화된 조합. 쇼다운에서는 가젯을 사용하여 덤불 속에서의 싸움을 쉽게 회피할 수 있다. 브롤 볼에서는 아군 팀 골대로 접근하는 적들을 쉽게 제압할 수 있으며 공격 상황에서는 적을 재쳐서 골 앞을 막는 적을 없애는데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엘 푸에고 - 유성우 밸트
하이스트, 시즈 팩토리 전용 조합. 금고나 IKE 포탑 등 특정 목표물에게 조금이라도 더 피해를 입혀야 하는 모드에서 크게 빛을 발휘하는 조합.

10. 스킨



10.1. 기본 스킨


<rowcolor=#ffffff> [image]
'''엘 프리모'''
[image]
기본 외형
승리 시 벌크업을 위 아래로 하고 빙글 돈다. 패배시 두 손을 얼굴로 가리고 운다.[48]
2019년 9월 18일자로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키가 더 커졌고, 각각 스킨마다 고유의 애니메이션이 생겼다.
2019년 9월 18일자로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키가 더 커졌고, 각각 스킨마다 고유의 애니메이션이 생겼다. 그러나 기본스킨은 '''혹평'''받는 편이며 가면과 일러스트가 이상해졌다고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이동모션이 답답해졌다는 사람도 있다.

10.2. 엘 루도 프리모(EL RUDO PRIMO)


<rowcolor=#ffffff>'''엘 루도 프리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애니메이션
비용
[image] 79
[승리/패배 모션]
<colcolor=#fff> [image]
승리 모션
[image]
패배 모션

이름의 뜻은 무법자.
이펙트 변경은 없으며, 승리 시 포효하듯 악랄하게 웃은 뒤, 포즈를 취한다. 패배 시 애니메이션은 변하지 않는다.

10.3. 엘 레이 프리모(EL REY PRIMO)


<rowcolor=#ffffff>'''엘 레이 프리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이펙트
전용 애니메이션
비용
[image] 149
[승리/패배 모션]
<colcolor=#fff> [image]
승리 모션
[image]
패배 모션

이름의 뜻은 왕.
지팡이를 들고 있고, 망토가 반짝이는 효과가 추가된다. 승리 시 양팔을 벌려 환사를 받고 반지에 입을 맞춘 다음, 플라잉 엘보 드롭의 동작을 취한 후 착지해서 왼손에 지팡이를 쥐고 들어올린다. 패배 시 애니메이션은 변하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변경 이전에는 백덤블링을 한 후에 왼손에 지팡이를 쥐고 들어올렸었다.
리모델링 직후에는 '''이동, 공격, 특수 공격 사용시 오른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었으나''' 어느순간 패치되었다.
구매 창에는 이펙트 변한다고 되어 있지만, 인게임에서는 변하지 않아서 가성비가 좋지 않다.

10.4. 엘 브라운(EL BROWN)


<rowcolor=#ffffff> [image]
'''엘 브라운'''
브라운앤프렌즈 스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이펙트
전용 애니메이션
전용 사운드 이펙트
비용
[image] 149
[승리/패배 모션]
<colcolor=#fff> [image]
승리 모션
[image]
패배 모션

엘 프리모의 3번째 스킨으로 브라운앤프렌즈브라운과 콜라보했다.
일반 공격을 사용할 시 땀을 흘리며 둥근 주먹을 발사한다. 특수 공격을 사용할 시 '''AAAAAAAA'''문자가 뜨며 날아가고, 착지시 머리에 밴드가 생긴다.
일반 공격의 효과음이 '뽁'소리로 변경되는데, 기존의 적중 시의 효과음에 비해 일반 공격의 타격감이 줄어든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특수 공격을 사용할 시 띠용 하는 효과음과 함께 도약하며, 착지할 시 뚱하는 효과음이 난다. 또, 기존의 대사도 사라진다.
승리 시 점프하며 한 바퀴를 돈 후 왼팔을 들며, 패배 시 머리 위에 먹구름이 생기고 번개가 치며 엘 브라운이 주저앉는다.

10.5. 트루 실버 엘 프리모(TRUE SILVER EL PRIMO)


<rowcolor=#ffffff> [image]
'''트루 실버 엘 프리모'''
트루 실버 스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텍스처
비용
[image] 10000
엘 프리모의 4번째 스킨이다.
다른 트루 실버 스킨들과 동일하게 몸이 은색으로 바뀌는 것이 전부였으나 2020년 11월 업데이트로 모든 트루 스킨들에게 반짝거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10.6. 트루 골드 엘 프리모(TRUE GOLD EL PRIMO)


<rowcolor=#ffffff> [image]
'''트루 골드 엘 프리모'''
트루 골드 스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텍스처
비용
[image] 25000
엘 프리모의 5번째 스킨이다.
다른 트루 골드 스킨들과 동일하게 몸이 금색으로 바뀌는 것이 전부였으나 2020년 11월 업데이트로 모든 트루 스킨들에게 반짝거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또, 모든 트루 골드 스킨들은 공격을 할 시 화려한 이펙트가 출력된다.

10.7. 엘 아토미코(EL ATOMICO)


<rowcolor=#ffffff> [image]
'''엘 아토미코'''
스타 스킨
[image]
브롤러 전용 외형
전용 텍스처
비용
[image] 10000
엘 프리모의 6번째 스킨. 이름의 뜻은 원자력이다.
이름답게 벨트 버클이 방사능 주의 표식인 ☢ 모양이다.
이펙트, 애니메이션은 변화가 없으며, 대신 몸에서 초록색 아우라가 뿜어져나온다.
출시 당시에는 상점에 등장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비싼 가격에 비해 변화가 적어서 가성비가 나쁘다는 평가를 받는다.

11. 업데이트 내역


  • 2017년 7월 3일
[image] 공격 효과가 화려해짐[49]
[image] 스킨 '엘 레이 프리모' 추가
  • 2017년 8월 11일
[image] HP가 1300에서 1400으로 증가
  • 2017년 9월 4일
[image] 엘 프리모의 희귀도가 희귀에서 일반으로 변경
  • 2017년 12월 7일
[image] 모든 브롤러 스탯 4배
  • 2017년 12월 18일
[image] HP가 5600에서 5800으로 증가
[image] 스타 파워 '엘 푸에고'의 지속시간이 5초에서 4초로 감소
[image] 스타 파워 '엘 푸에고'의 총 피해량이 400에서 600으로 증가
  • 2017년 12월 22일
[image] 이동속도가 650에서 700으로 증가
  • 2018년 1월 16일
[image] HP가 5800에서 6000으로 증가
  • 2018년 1월 27일
[image] HP가 6000에서 5800으로 감소
  • 2018년 3월 9일
[image] HP가 5800에서 5600으로 감소
  • 2018년 5월 19일
[image] 희귀도가 일반에서 희귀로 변경
  • 2018년 5월 29일
[image] 일반 공격의 타당 피해량이 320에서 340으로 증가
  • 2018년 6월 19일
[image] 일반 공격의 타당 피해량이 340에서 360으로 증가
[image] HP가 5600에서 5800으로 증가
  • 2019년 1월 29일
[image] 스타 파워 '엘 푸에고'의 총 피해량이 600에서 800으로 증가
[image] 인 게임 설명 변경
  • 2019년 4월 15일
[image] 일반 공격 효과 변경
  • 2019년 6월 27일
[image] 스타 파워 '유성 러쉬' 출시
  • 2019년 8월 29일
[image] 스타 파워 '엘 푸에고'의 총 피해량이 800에서 1000으로 증가
  • 2019년 9월 18일
[image] 스타 파워 '유성 러쉬' 이동 속도 증가량이 32%에서 28%로 감소
[image] 스타파워 '엘 푸에고' 초당 피해량이 250에서 300으로 증가(총 피해량 1000에서 1200으로 증가)
[image] 리모델링
[image] 스킨 '엘 루도 프리모' 리모델링 및 스킨 구매 비용이 보석 30개에서 80개로 증가
[image] 스킨 '엘 레이 프리모' 리모델링 및 스킨 구매 비용이 보석 80개에서 150개로 증가
  • 2019년 10월 9일
[image] 스타 파워 '유성 러쉬'의 지속시간 5초에서 4초로 감소
  • 2019년 10월 23일
[image] 스타 파워 '엘 푸에고'의 총 피해량이 1000에서 1200으로 증가
[image] 스타 파워 '유성 러쉬'의 이동 속도 증가량이 28%에서 25%로 감소
  • 2019년 12월 3일
[image] '엘 브라운' 스킨 추가
  • 2020년 2월 19일
[image] 체력이 5800에서 6000으로 증가
  • 2020년 3월 17일
[image] 가젯 '보충제 수플렉스' 추가
  • 2020년 4월 29일
[image] 가젯 '보충제 수플렉스'가 더 이상 무적 거품에 보호받고 있는 개체를 던지지 않도록 변경
  • 2020년 7월 2일
[image] 스킨 '트루 실버 엘 프리모' 추가
[image] 스킨 '트루 골드 엘 프리모' 추가
  • 2020년 8월 19일
[image] 가젯 '유성우 벨트' 추가
  • 2020년 9월 10일
[image] 특수 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 공격의 타 수가 10타 에서 9타로 감소
[image] 특수 공격의 자체 충전량이 24%에서 25%로 증가
[image] 가젯 '유성우 벨트' 범위 2.67타일 에서 3타일로 증가
[image] 가젯 '유성우 벨트'가 표기 범위와 실효 범위가 맞지 않는 문제 수정

12. 기타


  • 이름은 일인자[50]를 뜻하는 스페인어 el primo(엘 프리모)에서 유래되었다.
  • 클래시 오브 클랜에 기간 한정 유닛으로 등장하였는데, 엘 프리모 본인이 아닌 엘 프리모를 흉내내는 어느 남자로 나왔다.
  • 2차 창작에서는 같은 근육질이라는 공통점 때문인지 과 동료 관계로 자주 엮인다. 다른 브롤러들과의 관계는 극과 극으로 나뉘는데, 정의롭고 심성 좋은 힘센 근육질 삼촌이나, 광기를 뿜으며 날아다니는 공포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 젬 그랩에서 젬을 먹은 뒤 적진으로 돌진해 죽는 엘 프리모 유저가 종종 있어서 젬 뿌리모라는 별명도 있다. 이러한 인식은 해외라고 별반 다르지 않은지 이런 밈도 생겼다.
  • 1주년 기념으로 나온 공식 일러스트에서 불과 웃으면서 팔씨름하고 있었다. 서로 사이가 좋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때 스킨이 엘 레이 프리모다.
  • 브롤 공식 애니메이션에서는 바보 캐릭터로 나오는데 브롤볼 애니메이션에서 다들 열심히 싸우는 와중에 본인 혼자만 관중들에게 세레머니 하다가 머리에 공을 맞고[51] 파이퍼 애니메이션에서는 달리다가 파이퍼가 연 문에 부딫혀 앞니 하나가 떨어져나고(...) 이후 니타에게 코를 잡아당겨지다 파이퍼가 던진 수류탄에 함께 날아가 리타이어 당하는 꼴 사나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발리 애니메이션에선 음료수를 흘려 발리의 화를 돋군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 베타 테스트 중이었을 때는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을 맞고 강해졌다는 설정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유독 유성관련 스타 파워(유성 러쉬)나 가젯(유성우 벨트)이 존재한다.
  • 앰버가 포코와 엘 프리모보다 더 인기를 얻기위해 불 묘기를 한다는 설정으로 보아 브롤스타즈 세계관에서 인기가 많은것으로 보인다.

[21] 비교하자면 순간화력과 공격 범위는 불이 더 높으나, 엘 프리모는 더 높은 체력과 빠른 재장전 속도, 유용한 궁극기로 불에 비해 더 안정적인 느낌이다. 비슷한 예시로 파이퍼와 콜트의 관계.[22] 사거리와 부쉬 견제, 그리고 초근접전에서의 데미지는 불이 앞서지만, 그 외의 '''모든 카테고리'''에선 엘 프리모가 앞선다.[23] 오히려 조준사격을 하면 조준하는데 드는 시간때문에 딜로스가 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했듯이 적이 근거리에서 좌우무빙을 치면 몇 발이 빗나갈 수 있으니 조준사격을 연습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24] 이보다 더 낮은 사거리는 2.67의 모티스, 재키가 있지만 수치상으로 사거리가 짧게 느껴지는 것이지 모티스는 기본 공격으로 돌진이 되고 엘 프리모의 공격 반지름보다 66.67% 더 넓기 때문에 모티스가 좀 더 길다. 그리고 재키는 선, 후딜레이 없이 360도로 딜을 넣기 떄문에 비교가 안된다.[25] 이미 들어간 상황이라면 도주용으로 특수 공격을 쓰기보단 '''1대라도 더 때리는게 훨신 더 이득이다.''' 엘 프리모 특성상 특수 공격 충전이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26] 가장 체력이 높은 브롤러는 프랭크.[27] 단, 지속 대미지(크로우의 독, 같은 엘 프리모의 엘 푸에고, 샌디의 첫번째 스타 파워, 앰버의 특수 공격, 바이런의 일반 공격)는 막지 못한다.[28] 쉘리는 조심해야한다. 특수 공격이 즉발성이라서 타이밍이 굉장히 어렵고, 그리고 초근접인 순간 궁-평 콤보로 갈아버리기 때문.[예시] [image][29] 신규 스타파워 유성러시로 한타 싸움에서 극한의 화력과 생존력을 보인다.[30] 심지어 특수 공격을 명중시켜도 넉백 효과로 밀려나서 사거리가 닿지 않는 웃픈 상황까지 벌어지기까지 한다.[31] 보의 첫 번째 가젯을 이용하더라도 20초나 소요된다.[32] 아예 에드거가 엘 프리모의 상위호환이라는 평도 있는 상황이다. 물론 둘의 역할군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비교하긴 애매 하지만 결국 상대에게 붙어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기에 이런 평가가 나오는 것.[33] 그러나 현재는 쉘리보다도 '''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쉘리는 의외로 사거리가 길어 비교적 특수 공격을 채우기 용이하고 중거리 견제가 가능하며, 에드거의 하드 카운터로 쓰일 여지라도 있지만, 엘 프리모는 그런 입지조차 '''없기 때문.''' 또, 쉘리가 엘 프리모의 하드 카운터인 점은 덤이다.[34] 그러나 이마저도 맵 메이커 우승 맵에서 트로피를 얻지 못하게 패치되면서 그나마 있던 입지마저 사그라졌다.[35] 굳이 입지가 있는 곳을 뽑자면 하이스트나 로보 럼블, 보스전 정도. 물론 이마저도 엘 프리모를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거지, 다른 브롤러와 비교를 할 경우 그 평가는 나락으로 떨어진다.[36]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37]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티켓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티켓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38] 상대 진영 쪽에 숨어 있다가 부활하는 적이나 퇴각하는 적들을 저지하는 식으로 운용하고, 젬은 상대 캐리어의 젬을 빼앗을 때만 먹는 것이 좋다.[39] 심지어 관통형이라 뭉테기로 상자를 부수거나 파밍시 상자 밖 브롤러를 견제하면서 지키기도 최적이다.[40] 집탄이 100퍼에 가까운 초근접에서는 엘 프리모조차 녹고 그나마 프리모의 최대 사거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패면 집탄률이 낮아지니 이길 순 있으나 그러려면 적은 다가오고 엘은 뒤로 빼거나 반대로 엘은 다가가고 적이 뒤로 빠지는 상황, 즉 거리가 유지되는 경우에서 프리모 펀치를 갈겨야 하는데, 그런 상황이라면 적도 방향을 반대로 바꾸면 그만이다.[41] 물론 이마저도 맵에 근접 브롤러가 6명 이상일때나 그렇지, 원거리나 투척 브롤러가 많을 경우 안 그래도 자체 어그로가 높은데, 티밍 탓에 어그로 1순위가 되기에, 초반에 잘못 걸리거나 원거리, 투척들이 오히려 티밍으로 받아치면 되려 몰리면서 광탈당해버린다.[42] 도중에 공을 빼앗기더라도 궁극기 넉백으로 다시 공을 탈환하기 쉬우며, 무엇보다도 점프 중에는 피해를 입지 않기 때문에 맨몸으로 공을 들고 달려드는 것에 비해서 훨씬 빠르고 체력 손실이 없이 골대 근처로 다가갈 수 있다.[43] 그래서 일반공격으로 3번 때리고, 유성우 날리고 엘푸에고 스타파워 낀 궁까지 끼면 거의 10000에 가까운 극강의 화력이 들어간다.[44] 거기에다 불, 대릴 등의 다른 돌진기를 가진 브롤러들과는 달리 궁극기가 곡사형이라 포탑에게 피해를 전혀 안받고 백도어가 가능하다.[45] 일반 공격 1방 2016 x 3 +엘푸에고 1200+ 특수 공격 기본 대미지 1120[46] 유성우 가젯까지 있으면 상대방의 방해가 없을 경우 백도어 한번으로 혼자서 10000이 넘는 데미지를 넣을 수 있다! [47] 아군 기지 주변 벽이 부서지거나 팀원이 탱커, 스로워일 경우에 해당.[48] 여담으로 예전에는 한손으로 가렸는데 웃고 있었다(...)[49] 이전에는 소시지(?)같았었다.[50] 또는 (남자) 사촌[51] 정작 게임중 엘프리모가 가장 활약하는 모드가 브롤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