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보살

 

1. 개요
2. 기타
3. 관련 문서


1. 개요


文殊菩薩
불교의 대승보살(大乘菩薩) 가운데 하나. 줄여서 문수(文殊)라고도 하며, 대승 불교에서 최고의 지혜를 상징한다.
문수는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로, 범어 원어는 만주슈리(Manjushri)이다. ‘만주’[1]는 달다(甘), 묘하다, 훌륭하다는 뜻이고, ‘슈리’는 복덕(福德)이 많다, 길상(吉祥)하다는 뜻으로, 합하여 훌륭한 복덕을 지녔다는 뜻이 된다.
문수보살은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 인도에서 태어나 반야(般若)의 도리를 선양한 이로서, 반야지혜의 권화(權化)로서 표현되었고 지혜를 취급한 ≪반야경≫을 결집•편찬했다고 한다. 또한 석가모니불의 교화를 돕기 위해 일시적으로 보살의 지위에 있지만 이미 예전에 성불하였고, 미래에 성불하여 보견여래(普見如來)가 될 보살이라고 한다. 문수보살은 다른 보살 1만 명과 함께 중국 산서성 오대산(五臺山)[2]에 상주한다고 하는데, 중국 오대산은 7세기 신라 자장율사와도 관계가 깊다.[3]
재가신자의 자세와 태도를 설법하는 유마경에서는 주인공인 유마거사를 문병하러 가서[4]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유마거사와 함께 토론을 벌인다.
대승불교에서 굉장히 위상이 큰 보살인데도 불구하고, 위상에 비하면 현대 한국불교에서 민중적인 인기는 떨어진다. 민중들이 보기에 당장 지혜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아서인 듯하다. 보살들 중에서도 관세음보살이나 지장보살의 인기와 비교하면 형편없을 정도이다. 하지만 일본이나 티베트 불교에서는 우리나라보다 휠씬 인기가 많고, 특히 티베트 불교에서는 대중적으로도 중요한 보살로 여겨 문수보살 진언을 흔히 외우곤 한다.

2. 기타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울산 문수산에 있다는 문수보살에게 신라를 살릴 지혜를 구하러 왕이 행차하였다. 태화강을 건너 현재의 삼호교 부근에서 어린 동자승이 왕을 마중나왔는데, 동자승은 "스승 문수보살은 출타해 만날 수 없다."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왕은 그제서야 동자승이 문수보살이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찾았으나 결국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 이 전설은 아직도 인근 지명에 남아있는데, 동자승이 간 곳 없이 사라진 곳이 무거(無去)동, 애타게 세 번 부른 곳이 삼호(三呼→三湖)동, 자취를 못 찾아 멍하니 바라본 곳이 망성(望聖)리, 쫓아가다가 주저앉은 곳이 허고개, "헐 수 없다." 탄식하며 물을 마신 우물이 헐수정(공원)이다.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에는 세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세조단종을 죽이고 왕위에 오르자, 어느날 꿈에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가 나타나 저주하며 등에 침을 뱉었다. 세조가 잠에서 깨니, 꿈에서 등에 침이 맞은 부위마다 종기가 생겼다. 종기를 낫게 하려 하였으나 효험이 없자, 상원사에 찾아가 기도하려고 했다. 문뜩 상원사 앞 계곡 물에서 혼자 몸을 씻으려 하는데 웬 동자승이 지나가므로 불러 등을 씻겨 달라고 하였다. 다 씻은 뒤 세조가 동자승에게 "너는 어디 가서 왕의 옥체를 보았다고 말하지 말라." 하고 이르니, 동자승도 "왕께서도 어디 가서 문수보살을 만났다고 말하지 마십시오."라고 대답하고 사라졌으며, 종기도 씻은 듯이 없어졌다. 그 후 세조가 명을 내려 상원사에 문수보살상을 만들어 봉안하였다고 하는데, 이 문수상은 국보 221호로 지정되었다. 사람에 따라서는 세조가 실제로 종기로 죽었기 때문에 현덕왕후의 저주는 세조의 병으로 인해 자연스레 생긴 민중의 전설인데 비해, 문수보살이 씻어줬다는 얘기는 실제로 낫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위 전설을 무마하려고 지배층에서 퍼뜨린 프로파간다에 가깝다는 의견을 펴기도 한다.
일본에는 '세 사람이 모이면 문수보살의 지혜(三人寄れば文殊の知恵)'라는 속담이 있다. 우매한 사람이라도 여럿이 모여 논의하면 올바른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5]
위에 나온 것처럼 건주여진이 특히 숭배했으며, 만주라는 부족명도 문수보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정설이다.

3. 관련 문서



[1] 지명 만주의 어원 중 하나를 여기에서 찾기도 한다. 해당 항목 참조.[2] 청량산(淸凉山)이라고도 하고, '오대산'을 중국식 발음으로 읽어 '우타이샨'이라고도 한다.[3] 자장율사는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한 뒤, 너희 나라(신라)의 동북방에도 내가 머무는 곳이 있으니 찾아보라는 말과 함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자장율사가 귀국하여 찾아낸 산이 오늘날 강원도 오대산이다. 중국 오대산에 대응하는 또다른 오대산이란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우리나라 오대산도 문수신앙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였다.[4] 유마거사가 병이 들었다는 소식에 석가모니가 자신의 제자들과 다른 보살들을 향해 유마거사를 문병하러 가라고 명하지만 이들은 저마다 한 번씩 유마거사에게 일침을 당한 적이 있음을 들어 가려 하지 않고, 심지어 관음보살과 미륵보살마저도 유마거사에게 문병 가기가 버겁다며 사양하는데, 문수보살이 나서서 가겠다고 했다.[5] 부처 모에화 게임인 나무아미타불: 연대 UTENA에서 문수보살이 이 속담을 직접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덧붙이기를 "제 계산으론 세 사람 정도로는 도저히 안 될 것 같지만..." 여담으로 본작에서 성우는 키지마 류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