믈라카 말레이어

 

Bahasa Melayu Melaka

'''Namuwiki, pohon pengetahuan yang lu turu' kembangkan.'''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특징
3. 예시
4. 각주


1. 개요


현대에는 전형적으로 사라져가고 있는 말레이어 방언의 하나이다. 이름 그대로 사용되는 장소는 믈라카이지만 조호르 주에서도 사용되며 느그리슴빌란이나 쿠알라룸푸르 일대에서도 일부 사용된다. 조호르 방언과는 별 차이가 없다.
믈라카의 위치와 위상과는 달리 한국어로 치면 서울말 정도가 되는 위치인데 이 방언이 끼친 영향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애당초 말레이시아 표준어의 기원이 믈라카 방언인데다가 말레이-이슬람 말레이시아의 기원이자 시조가 바로 믈라카이기 때문이다. 많은 나라들이 그렇듯이 수도, 또는 전통적인 수도나 그 문명의 발상지 등에서 사용하는[1] 말을 표준으로 하는데 여기도 그렇다. 한국 사람들은 종종 쿠알라룸푸르 방언이 표준말이라고 착각하고 있지만 그 쪽은 오히려 한국어의 서남 방언이나 동남 방언처럼 매우 심한 방언이다.[2] [3]
뭐 여하튼 말레이시아 표준어나 수도권 방언하고 많이 비슷해서 그런지, 만약에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이 말레이시아인이라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 혹은 말라야 지역, 특히 수도권이나 풀라우피낭, 조호르 일대에서 살아왔더라도 알아듣는 데 큰 무리는 없다. 사실 위의 서술과는 다르게 조호르에서는 별도의 방언이 존재하고 믈라카 시에서 쓰는 말과 조호르바루에서 쓰는 말은 엄연히 다르지만, 그래도 별 차이가 없는데다 서울 방언-경기 방언 정도의 차이라 크게 다를 건 없다.
많은 사람들이 믈라카 방언 하면 '욕'이나, 혹은 아니더라도 '욕처럼 거친 말' 등을 떠올리기 쉬운데 은근 믈라카 사람들의 말이 거친 편이다. 의외로 타 지역 사람들에 비해 욕도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꼭 그렇지만도 않으며 모든 믈라카 사람들이 그런 것만도 아니다. 이것 때문에 일종의 지역드립이 있긴 하지만 '''절대로 그러지는 말자.''' 기본 예의가 아닌데다 만약에 당신이 믈라카 사람이거나 혹은 애착이 있으면 그러한 소리를 좋아할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당연히 아닐 것이다.'''
아무튼 말라야 지역의 독특한 방언의 근본이다 보니, 근래에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400년 믈라카의 위상과는 달리 현대에는 쿠알라룸푸르그 일대가 떠오르고 믈라카는 점차 버려지면서 위상이 많이 깎이고 있고 교육 시설이 비교적 덜 발달해 있어 대학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으려는 사람들은 죄다 수도권이나 인근의 닐라이 쪽으로 상경하는 편이다. 당연히 타 지역 사람들과는 표준어를 쓰는 법이기 때문에 이 방언을 쓰는 화자들의 실력들이 나름 줄기 마련이고 표준어와의 유사성, 쿠알라룸푸르 지역의 강한 영향 때문에 방언의 독자성이 점점 약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말레이시아에서 떨어진 싱가포르가 있고 조호르바루 쪽이 그 쪽을 끼고 있어 방언이 아주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정통 믈라카 방언은 아닐테고 또 의외로 보존이 되지 못해서, 앞날은 암울하기만 하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은근 많은 사람들이 이 방언은 잘 모른다는 것이다.'''

2. 특징


사실 쿠알라룸푸르 방언과 별 차이는 없다 보니 나름 적을만한 것도 없다. 그렇다지만 지리적, 지역적 차이로 인해 아예 똑같다고 할 수는 없고, 믈라카 지역에서만 드러나는 그 특징이 몇 개 있다.
* 단어의 마지막 r은 u로 대체된다. 예: fikir → fikiu, kasar → kasau
* 단어의 마지막 a는 o로 대체된다. 예: raja → rajo, lada → lado
다만 이것도 어디까지나 일부이거나 그저 대체적인 것일 뿐, '''언제까지나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러니 이것을 아무데나 남발하는 행동은 그저 과장시키는 행동이며 괜히 믈라카 사람들의 감정만 상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이 언제까지나 u로 바뀌는 것은 아니며, 단어 중간에 있으면 r 그대로인데다 ber나 per와 같은 파생어의 경우는 아무리 r로 끝나도 다른 단어와 붙어있기 때문이며 이런 경우는 r 그대로 읽는다. 그리고 a가 o로 끝나는 경우는 의외로 많지 않은데다가 오히려 클란탄 쪽이 더 심한 편이다. 대게는 말라야 지역 방언의 전형적인 특징이지만 오히려 e로 끝난다. 예를 들어 apa의 경우는 apo라고 하지만, 종종 ape라고 한다. 그리고 단어 중간에 있는 a는 a 그대로 읽는다.
믈라카 주 자체가 느그리슴빌란에 둘러싸여있는 편이며 은근 느그리슴빌란 방언의 영향이 강하다. 사실 a가 o로 변형되는 건 느그리슴빌란 방언의 특징이다. 다만 느그리슴빌란 방언은 은근 방언답게 그들 고유의 특징이 강한 편인 데 반해 믈라카 방언은 별 고유의 특징이 없다는 점이다. 몇몇 단어들은 느그리슴빌란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데 den과 ekau를 들 수 있다. 표준어로는 각각 saya, engkau이다.[4]
혹시 이 글을 멀쩡히 읽고 있거나 혹은 이미 읽었는데도 뭔지 이해가 안 간다면, 간단하게 생각해서 서울특별시 왕십리동이나 동대문시장, 명동 쪽에서 쓰이는 토박이 방언에 충청남도충청북도경기도 접경 지대에서 사용되는 방언의 혼합체라고 생각하면서 이해하기를 바란다. 그래도 이해가 안 간다면 본디 충청도 지방에 속하지만 서울 및 경기 지역 사람들이 살거나 일하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방언이라고 생각하면서 이해를 해 봐라. 대충 어떤지 이해가 갈 것이다.
근래에는 쿠알라룸푸르 방언의 영향이 세지고 있어서 다소 억양이 빨라지고 좀 드세게 변하고 있는 편이다. 물론 다시 말하되 쿠알라룸푸르가 한국의 서울에 해당되더라도 쿠알라룸푸르 방언이 '''서울말이라는 생각은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 쪽은 한국의 남부지방 방언과 유사한 위치이다.
그 외에도 더 많은 특징이 있지만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혹시나 더 알고 싶거든 인터넷에서 찾아보도록 해라. 여기에 보면 더 많은 특징들이 있다. 헌데 해당 블로그는 은근 축약어와 슬랭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별다른 검색 없이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될 수도 있다.

3. 예시


지금은 사라졌지만 이전 버전에 있던 개요 부분인데 이 방언을 습득(?)할 수 있는 한 계기가 되겠다.
Bahase Melayu Melake, ataupun dikenali sebagai Loghat Melake, ditutukan kat negeri Melake dan Johou. Ade juge beberapo oghang yang gunekan loghat ni kat Negeri Sembilan dan jugak Kualo Lumpur.
Pade zaman kini loghat ni dah mulo nyahkan daripade dunie ni sebab kini dah ramai-ramai oghang gunakan loghat Semenanjung. Tapi fikiu dulu, sebab Bahaso Melayu Piawai diaslikan daripade loghat ni. Melake, sebagai "negeri bersejare", dan tempat pertame dimulekan Malaysia yang berMelayu-Islam, loghat ni memberi banyak kesan-kesan bagi ramai oghang-oghang Melayu.
Ramai oghang-oghang fikiukan bahwe oghang Melake suke berbahase kasau. Tapi tu pun memang sikit-sikit je. Lu fikiu ta'ade oghang yang suke berbahase kasau di luau Melake ke?

4. 각주



[1] 또는 사용했던[2] 물론 이런 생각을 지나치게 뭐라 할 수는 없는게 쿠알라룸푸르가 한국의 서울에 해당하기 때문. 왜 이 말이 나오나면 대한민국의 표준어의 기원은 서울말이라 그런지 어딜 가나 그 나라의 표준어의 기원은 수도권이라는 생각을 마냥 하는데... 그렇다지만 같은 말레이어를 쓰는 인도네시아의 표준어의 근원도 믈라카 방언이지, 수도인 자카르타의 방언이 아니다. 영어의 경우도 런던 말은 수도인데도 은근 심한 방언이고, 슬로바키아어의 기원은 동부 방언이지 수도인 브라티슬라바나 아니면 그 일대가 위치한 서부 방언도 아니다.[3] 이 쪽 방언은 해당 지역에서만 미미하게나마 통하지, 타 지역에서는 절대로 통하지 않는다. 심지어 해당 지역에서도 은근 통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클란탄 방언은 은근 유명해서 그런지 타 지역 사람들도 조금은 아는 모양인데, 사라왁 방언은 존재감이 없는데다 사라왁 내에서조차 무시당하고 있어서 안습하다.[4] 단 후자의 경우는 근래에 awak을 주로 쓰며 engkau는 회화에서는 괴랄한 발음 때문에 그냥 축약어인 kau를 쓰거나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