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747SP

 





[image]
1. 개요
2. 소개
3. 개발 배경
4. 형식
4.1. 747SP (B74S)
4.1.1. 747SP Special Jet
4.2. 파생형
4.2.1. SOFIA
5. 실적 부진의 원인
6. 둘러보기
7. 참고 링크
8. 관련 문서


1. 개요


보잉광동체 여객기보잉 747의 형식 중 747-SP 시리즈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보잉 747SP'''
롤아웃
1975년 5월 19일 (보잉, N747SP[1])
초도비행일
1975년 7월 4일 (보잉, N747SP)
상용 서비스 시작
1976년 4월 25일 (팬 아메리칸 항공, N532PA)
표준좌석수
276석 (ECO-BUS-FIR 표준)
315석 (ECO-BUS)
375석(ECO 단일)
최대좌석수
400석
항속거리
10,800 킬로미터
생산기간
1975년~1982년, 1989년[2][3]
생산댓수
45대

2. 소개



대한항공이 운용하던 747SP의 운항 당시를 담은 거의 유일한 동영상이다.[4][5]
1975년 초도기(테일넘버 N747SP)가 롤아웃, 7월에 최초 비행을 실시하였다. 런칭 캐리어는 팬 아메리칸 항공.
[image]
팬 아메리칸 항공의 후안 트리페 전 회장에 의한 도쿄-뉴욕 노선을 직항 가능한 기체 개발 의뢰에 의해 747-100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동체를 축소시켜 최대이륙중량과 연료탑재량 등은 적은 편이다. 최대이륙중량은 747-100보다 13t 적으며, 연료는 7입방미터 더 적재한다. 대신 그만큼 빠르며, 순항속도는 마하 0.88(시속 990km)으로 747 중 가장 빠르다.
총 45대가 생산되었고 1989년 단종되었다.
단종된 지 38년이 지났지만(89년 1대를 빼면)2020년 현재 10대가 아직도 현역이다.[6]

3. 개발 배경



팬암의 B747SP 도입 기념 영상
팬암은 1976년 다시한번 보잉 747SP로 세계 첫 장거리 직항 노선이 가능한 시대를 열었다. 기존 항공기들로는 태평양 노선도 벅찼는데 1973년 팬암은 이란이란항공과 함께 미국에서 대척점에 가까운 테헤란이나 도쿄, 시드니, 웰링턴, 홍콩 등에 취항 가능한 기체를 보잉, 맥도넬 더글라스, 록히드에게 설계를 요구한다. 그러자 3개회사는 보잉 747, DC-10, L-1011을 기반으로 장거리 기체를 제안하지만 보잉에게 개발하도록 요구하고 마침 중형기가 없었던 보잉은 1960년대 말부터 나왔던 중형 광동체 기체 설계도 할겸 수락했으나 팬암과 이란 항공이 더 빠른 속도를 원했고 당시 기술로는 쌍발기로는 이 항속거리가 불가능 했기에 [7] B747의 동체 길이를 줄여 B747'''SB'''[8] 모델을 특수모델로 따로 내고 B747 첫 비행을 한 시점부터 당시 설계중이던 A300B와 경쟁하기 위해 프로젝트가 논의되기 시작한 보잉 767[9]을 1981년에 메인 중형기로 내 놓는다. 팬암은 B747SP를 1976년 3월5일 Clipper Freedom(N531PA)를 인도받음으로서 또다시 런치커스터머가 된다.

4. 형식



4.1. 747SP (B74S)


[image]
'''BAHRAIN ROYAL FLIGHT, A9C-HAK, 가장 마지막으로 생산된 747SP'''[10]
747 -100/-200형의 동체를 14m 단축, 중량을 감소시켜 항속거리가 -100형에 비해 증가하였다. 하지만 기체가 원체 작은지라 747-200B보다는 항속거리가 짧다.
SP는 '''S'''pecial '''P'''erformance의 약자로 기체가 상당히 짜리몽땅하다. 하지만 동체를 단축했으나 2층 객실은 그대로 놔두었기 때문에 면적법칙(Area Rule)에 적합한 동체형으로 바뀌면서 순항속도가 증가하여[11] 이 기종이 경신한 최고속력 마하0.92는 747 계열 비행기 중에서는 가장 빠른 속력. 이는 그대로 2층 객실 연장형 747의 개발[12]로 이어졌다. 이외에도 주익 고양력 장치(플랩)을 1단으로 단순화한 점이 기존 747과 구분되는 특징.
1976년에 팬암도쿄 - 뉴욕 직항 노선에 첫 취항했다. 대한항공은 1981년에 2대를 발주[13]하였고, 1998년에 전부 매각하였다.
1989년 보잉 747-400의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최종 생산량은 45대로 1983-1988년 사이에는 발주가 한 건도 없었다.
이란항공에서 마지막까지 굴리고 있다가 2016년 6월 11일에 완전히 퇴역하였다.
여기에서 파생형으로 SOFIA와 프랫&휘트니의 엔진 실험기체[14]가 있다.

4.1.1. 747SP Special Jet


(현재접속 안됨)
보잉의 비즈니스젯 등의 특별 라인업 서비스가 출범하기 전에 있던 물건. 대부분 민항용 747SP에 개조를 가한 형태이나 드물게 보잉에서 만들어준 경우도 존재한다. 이라크 정부 전용기가 그 예로, 1982년 인도 후 2016년까지 썼다.
이런 기체들의 경우 유명인사 등의 개인 전용기로 쓰이기도 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퇴역했다.

4.2. 파생형



4.2.1. SOFIA


[image]
'''NASA, N747NA'''[15]
747SP 기반의 NASA와 독일우주센터(DLR)이 공동 운영하는 초대형 망원경. 천체관측기로, 테일넘버는 N747NA. 나사 소속이다. 1997년 유나이티드 항공으로부터 사들여 개조, 오랜 실험 끝에 2010년 운용을 개시하였다. 1970년대에 출시된 기체이다보니 아날로그 기기로 이루어졌었지만, 현대화된 콕핏으로 개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기관사는 여전히 탑승한다.
고도 12km (41,000 피트)에서의 천체 관측이 목적이다. 성층권(초고공)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대기오염을 피해 관측한다.
여담으로 콜사인이 NASA747.

5. 실적 부진의 원인


A340의 실패 원인과 완전히 똑같다. 동체는 보잉 777급인데, 4발기라 연료는 747-200이 먹는 양 그대로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즉 연비가 안 좋았다는 얘기. A340은 효율성이 약간 개선되었다지만[16] 이것처럼 4발기라 A330보잉 777에게 고사당했다. 개발목적이 뉴욕-나리타 노선 직항인데 건진 건 항속거리 약간과 속도뿐이라, 빠르기만 했지 나을 것은 없었고 항공사 측에서는 당연히 흥미가 없었다.[17]
효율성을 전제로 개발과정에서 747-300 트라이젯이 고안되기도 했으나 항속거리 문제로 반려되었다. 결국 항속거리 증가는 개량된 PW4000 엔진을 채택한 -400형부터 이뤄졌다.

6. 둘러보기




7. 참고 링크



8. 관련 문서



[1] 나중에 테일넘버를 N530PA로 고쳐 팬암으로 인도된다.[2] 바레인 정부 전용기.[3] 참고로 1983년부터 1988년까지는 주문이 없었다.[4] 해당 동영상은 1994년 7월 1일에 촬영된 동영상이다.[5] 지금 이 기체는 PW의 엔진 테스트기로 잘 날아다니고있다. 대한항공에서 운용할땐 HL7457이였다.[6] 6월 기준. 해체가 15대, 사고가 2대, 보관이 18대[7] 항속거리가 노답이었단 CV-880/990 코로나도와는 다르게 보잉 747SP는 항속거리는 길다.[8] 'Short Body'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기로 했는데 길이에 비해 뚱뚱한 불균형한 모습과 최고 기술자였던 셔터의 이름을 따 ''''Sutter's Ballon''''으로 직원들에게 놀림받는 바람에 '''S'''pecial '''P'''erformance로 출시.[9] 1969년부터 B767 프로젝트라고 불렀다.[10] 해당 바레인 정부 전용기는 보잉 747-400으로 대체되었다.[11] 35,000ft 기준 마하0.88로 현재도 747 계열 비행기들 중에서는 가장 빠르다. 이 속도를 미터법 단위로 환산하면 무려 990km/h.[12] 747-100SUD가 나온 게 이 비행기 개발 후의 일이다. 이 SUD형 옵션은 보잉 747-300에 와서야 기본 옵션으로 굳어졌다.[13] 등록부호 HL7456, HL7457.[14] 대한항공중국국제항공에서 굴리던 HL7457과 B-2452 기체를 매입해 운용 중.[15] N747NA의 첫 운용사 였던 팬암의 레이싱 스트립 도장과 같다.[16] 사실 연료비용은 B777이 의외로 연비가 나쁜 관계로 별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A340은 엔진 2개가 더붙어 유지비가 더 높아 경쟁에서 패배했다.[17] 항공사는 비행기의 3개 요소를 보는데, 수송량, 연비, 유지비이다. 747 대부분은 수송량으로 성공했지만 -SP의 경우 연비를 살리려다 수송량을 버리고 속도밖에 건지지 못했다. 그리고 일반적으론 속도를 2배 늘리는것보다 수송량을 2배 늘리는것이 쉽고 연비도 좋기에 수송량을 늘리는게 훨씬 항공사들에게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