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고토쿠

 

[image]
佐藤 幸徳
1893년 3월 5일생, 1959년 2월 26일 사망(향년 65세)
일본군 육군장교, 최종 계급은 중장.
1. 일생
1.1. 평범한 시작
1.2. 임팔 작전, 그리고…
1.3. 해임과 연금
1.4. 종전 이후
2. 평가


1. 일생



1.1. 평범한 시작


야마가타(山形) 현 출신으로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소위로 임관하였고, 1921년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30년에 육군 참모본부의 전사과에 2년간 근무했으며, 이때 같은 부대의 총무과장과 싸운 적이 있다고 한다. 통제파에 속해 있었으며 2.26 사건 당시에는 6사단 참모 자리에 있었고 반란군 진압을 주장했다.
하산 호 전투 당시 19사단 75연대장으로 참전, 부대의 피해가 절반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진지를 사수하는데 성공했다. 이 전공 덕분인지 순조롭게 출세하여 1943년 3월 31사단장을 맡게 되었다.

1.2. 임팔 작전, 그리고…


1944년, 그가 속한 제15군은 임팔 작전에 참가하게 된다. 이 작전이 무모하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사토는 사령부에 보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진언했지만, 그의 말은 무시당했다. 그리고 작전이 시작된 후 그의 예상대로 보급이 부실해졌고, 얼마 못 가 병사들이 굶주리기 시작했다. 31사단은 적의 식량과 무기를 탈취해 어떻게든 싸움을 이어갔지만 당연히 거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병사들은 뼈와 가죽만 남아서는 자신들의 처지를 비관하는 노래까지 부르는 지경에 이른다. 이에 열받은 사토는 사령부에 탄약과 식량을 보급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무능한 사령부는 꿈쩍도 안 하고 그저 공격을 계속하란 명령만 내릴 뿐이였고, 15군 참모들이 사토를 달래기 위해 찾아왔지만 분노한 그가 "너희들은 무슨 낯짝으로 여기 왔느냐! 우리들의 적은 영국군이 아니야. 바로 너희들 제15군이란 말이다!"라고 길길이 날뛰는 바람에 별 말도 못하고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이러다간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라는 결론을 내리고는 부하들 앞에서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긴다.

'''우리들의 위에는 세 머저리가 있다! 그것은 제15군과 미얀마 방면군과 남방총군이다!'''[1]

[2] 이런 머저리들을 믿고 기다리다간 우리 사단이 전멸하고 말 것이다! 이에 본 사단의 퇴각을 본관 책임 하에 독단 결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류의 전문이 계속 날아오자 무타구치의 참모들이 사토 중장을 달래러 찾아왔는데, 오히려 '''"너희들은 무슨 낯짝으로 여기 왔냐! 우리들의 적은 영국군이 아냐. 바로 너희 제15군이란 말이다!"'''라고 외치며 길길이 날뛰는 바람에 찍소리도 못하고 돌아왔다. 게다가 독단적으로 철수하기로 마음 먹고는 참모진과 부하들을 모아놓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을 만큼 화가 났었다.
사토는 미야자키 시게사부로에게 그나마 멀쩡한 소수의 병력을 맡겨 사단의 후미를 엄호하게 한 후, 소총을 들 기운조차 안 남은 병사들을 이끌고 무단으로 전선에서 이탈하여 후퇴한다.
사토의 31사단이 후방의 안전한 지대에 도착하자 15군 사령관은 사토 고토쿠에게 책임을 묻는다는 뜻에서 부하에게 단도를 건네라고 시키고는 자기는 숨어버리는 추태를 보였다. 이에 사토 중장은 "이 칼을 가지고 그놈의 배를 갈라버리겠다."며 화를 내고는 그 칼을 갖고 가버렸다.
당시 31사단장 사토 중장이 얼마나 열받았는지는, 그가 무타구치의 15군 사령부에 보낸 전문에서 절절히 알 수 있다.

공격 계속 명령 접수했음. 그러나 명령만으로 병력이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귀하의 사고방식이야말로 이 작전을 실패로 이끌어가는 중대요인이 되고 있음. 눈 앞의 본 사단의 1만 장병은 아사 직전 상태에 놓여있음. 탄약은 고갈되어 맨손의 병력이 되어버렸음. 사태가 여기까지 이른 것은 모두가 귀 제15군에게 그 책임이 있음. 귀군은 이상 사실을 판단, 반성하여 본 작전을 즉시 중지함으로써 폐하의 적자들을 개죽음으로 이끄는 일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과감한 조치를 강구하기 바람.


1.3. 해임과 연금


임팔 전투 이후 15군 사령관은 사토를 해임했다. 그런데 사단장을 임명한 사람은 천황이므로 일개 사령관에게 사단장을 멋대로 해임할 권리는 없다. 그에게 있어 그런 법은 구속력이 없었던 모양이다.[3]
대본영에서 추인의 형식으로 사단장을 교체하였지만 어쨌건 명백한 월권 행위였다. 애초에 이 사령관이란 양반은 독단적으로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켜서 중일전쟁의, 더 크게 보면 태평양 전쟁의 불씨를 당긴 인물이기도 하다. 이 때 15군 휘하의 15사단장과 33사단장도 같이 해임되었으며, 세 사단장은 나중에 '임팔 작전 실패의 원인'으로 비난받게 된다.
그러나 사토는 개의치 않고 군법회의에서 제15군의 졸렬한 지휘를 규탄하려고 했지만, 불기소처분되고 정신병 진단을 받아 연금되었다. 사토가 정신병에 걸렸다는 주장이 먹히는 순간이었는데, 애초에 정신병으로 돌려놓지 않고 정식 재판으로 처벌할라치면 다른 계파나 해군에게 공격받을 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육군에서 사단장 이상정도 되면 일본 관료제 하에서 가장 높은 친임관 레벨에 해당하는데, 그 바로 밑에 해당하는 칙임관부터는 '''천황이 임명한 관료'''인 바 대놓고 건드리기 어려우니 꼼수를 썼다고도 볼 수 있다.

1.4. 종전 이후


사토는 죽을 때까지 '독단으로 퇴각한 불명예스러운 군인'으로 비난을 받았지만, 그 자신은 끝까지 자신의 행동이 부하들을 구했다고 확신했다. 그리고 그가 병사한 후 대부분이 시코쿠 출신인 31사단의 생존자들은 가가와현 타카마츠시에 추모비를 세웠고 야마가타현 소냐이 촌에도 추모비가 세워졌다. 무타구치 렌야가 정신 못 차리고 임팔 작전의 실패가 자기 잘못이 아니라 부하들 때문이라는 찌라시를 돌렸다가 가열차게 욕을 먹고 물세례를 맞았다는 전설이 있다.

2. 평가


일본의 높으신 분들에게는 패배의 원흉으로 지탄을 받았지만, 31사단의 부하들에게는 자신들을 살려준 영웅으로 존경받은 인물이다.
다만 군사적 부분 외에는 부정적 평가도 존재하는데 임팔작전 중에는 상관인 무다구치 렌야 외에도 직속부하인 미야자키 시게사부로와도 마찰이 있었다고 한다. 정작 그 미야자키는 사수 명령이나 다름없는 후미 엄호 명령을 받자 지체없이 수행했지만.
그 외에 군인들 먹일 식량도 부족한 전방 부대에 위안소를 만들려고 했다거나 연회에서 음담패설을 솔선하고, 부하들은 텐트에서 생활하는데 자신은 일본풍의 화려한 사단장실을 만들게 해 지낸 것 등을 불만으로 여겼다고 한다.
사단의 참모장이었던 카토우 쿠니하루 대좌도 육군대학 동기였던 15군 참모와 면담중 사단장은 상관으로서도 군기, 군율상으로도 최악이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1] 그렇다, 상급부대 전부를 대놓고 깐 것이다.[2] 후일 여기에 대본영을 추가했기 때문에 네 머저리가 되었다.[3] 일본군 장성은 친임관 또는 칙임관으로 분류되어 천황이 임명한다. 따라서 일개 군사령관이 자를수 있는것도 아니었다. 사단장 보직해임은 천황 또는 천황이 주재하고 관여하는 대본영급에서나 가능한 것이므로, 독단으로 자르는것 자체가 천황에 대한 반기와 항명이라 봐도 무방한 짓을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