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괭이

 

[image]
'''상괭이'''
Finless porpoise
이명: 쇠물돼지
''' ''Neophocaena phocaenoides'' ''' (Cuvier, 182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쇠돌고래과 (Phocoenidae)

상괭이속(''Neophocaena'')
''''''
'''상괭이'''(''N. phocaenoides'')
[image]
출처
[image]
1. 개요
2. 상세
3. 쓰임새
4. 보호 현황
5. 기타


1. 개요


수생 포유류로, 고래목 쇠돌고래과의 동물이다. '쇠물돼지' 라고도 하며, 주로 바다 및 강하구에서 서식하며, 민물에 강해서[1] 강 상류까지도 출몰한다.[2] 상당히 귀여운 외모를 지니고 있다. 영상

2. 상세


몸은 회색빛을 띠고 둥근 주둥이에 움푹한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슴 지느러미는 달걀 모양이다. 등 지느러미는 낮고 꼬리까지 이어지며 물개바다표범 등과 비슷해 보이기도 한다. 고래 중에는 흰돌고래와 닮았다. 돌고래와는 크기, 주둥이와 등 부분이 차이가 난다. 상괭이는 1.5에서 1.9 미터까지 자란다. 돌고래는 종마다 다르지만 평균 1.4에서 10m 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주로 단독으로 행동하는 편이나 어미와 새끼가 붙어다니고 무리를 짓는 경우도 있다. 가을철에 번식을 하는 편이다. 남서 태평양에서 인도양에 이르는 해역의 연안과 중국의 양쯔강에 서식한다[3]. 한국에서는 주로 서해, 남해에서 서식하고 있다.[4]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낮아 이름이 생소한 수생동물이다. 때문에 멋모르고 고래나 상어인 줄로 알고 포획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갯마을 쪽에서는 매우 유명한 듯. 자산어보에는 '해돈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고 동양의 인어 전승의 모델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3. 쓰임새


식용으로 간혹 이용하며 지방부위, 간을 솥에 넣고 가열해 기름을 추출하여 썼다. 이를 애우기름, 애호기름이라 하며 섬마을 사람들에게 불을 밝히는 원료로 쓰였다. 근대에 와서는 어린아이의 부스럼, 짓물림 치료제로 썼으며 소가 털이 빠지는 병이 걸리면 이때도 치료제로 쓰였다. 또 벼농사를 지을 때 벼멸구가 발생하면 논 물 위에 한 숟가락씩 떨어트려 그 물을 벼에 끼얹어 퇴치했다.[5] 하술하지만 지금은 다 불법이다.

4. 보호 현황


현재 멸종위기 보호동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등급상 취약종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는 엄격히 포획 및 사냥 등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처벌을 받게 된다.
근래에는 강에서 시체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자주 전해지며 상괭이 보호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했다. 이에 대해서는 바다의 상괭이가 조강 등이 포함된 감조하천의 하류를 따라 밀물 때 강으로 흘러들어왔다가 썰물 때 하구 수중보에 막혀 민물에 갇혀서 죽은 게 아닌가 하는 시각이 있다. 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구간이 좋은 어장임을 생각해 보면, 상괭이는 먹이를 따라 강으로 흘러들어왔다가 죽게 된 셈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 포스트를 참고.
돌고래고기가 고래고기 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긴 하지만 상괭이는 별로 맛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흑산도 등지에서는 잡히면 거의 돼지 사료로 줬었다고. 물론 위에도 서술했듯 현행법상 보호동물이므로 지금 와서 이렇게 한다면 처벌 받을 가능성이 높다.[6]
TV 동물농장에 따르면 하루에 수백 마리가 그물에 걸리거나 선박 스크류에 치여서 끔살당한다고 한다. 산 채로 발견된다 해도, 상괭이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하다 보니 신고하기보다 그냥 죽여서 립스틱의 재료로 만들거나 고래고기로 판다고 한다.[7] 그러나 상괭이는 맛이 좋고 말고를 떠나서 멸종 위기 '''취약종'''[8]이다. 만약 개펄이나 해변에서 죽어가는 상괭이를 발견하면 꼭 신고하자.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경찰 (112)에 신고하면 되며[9], 신고가 접수된 이후에는 해양경찰에서 출동하여 상괭이를 바다로 돌려준다.
현재 부산아쿠아리움에서 상괭이 보호활동을 하고 있다. 상괭이 두 마리를 구조해 개복치 전용 수조에서 전시하기도 했으며(개복치가 폐사한 후), 2015년 전시 기간이 끝나고는 방생했다. 또한 이 때의 경험을 살려 상괭이 병원을 운영하며 지속적인 구조와 방생 작업을 하고 있다. 때문에 타이밍이 좋으면 회복중인 상괭이를 구경할 수 있다.

5. 기타


백상아리는 상괭이를 매우 좋아하는 듯 하다. 서해까지 올라온 백상아리에게 먹힌 자국이 있는 시체가 해안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타 지역에선 물개를 잡아먹지만 한국 인근 연안에서는 바다사자 남획 등 물개류가 거의 절멸해서 상괭이를 대신 잡아먹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보통 타지역에서는 물개와 비슷하게 보이는 서퍼들을 공격하나 한국 연안에서는 잠수하는 해녀들을 상괭이로 착각해 공격한다.
과거에는 민물에 살았다는 설도 있다. 실제로 한강에서 상괭이 시체가 발견된 적이 있으며, 정약전이 지은 자산어보에도 한강에 사는 상괭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는 상술했듯 폐호흡을 하는 포유류라 민물에서도 살 수 있기 때문.

[1] 사실 포유류라서 염분조절과 관계없이 혹등고래 등도 강에서 사는데에는 문제는 없으나 고래에게는 너무 비좁아서 살지는 못한다.[2] 댐이 발달한 한국에서는 드물지만 중국의 경우 양쯔강 상류까지 올라간다. 수중보가 없던 조선시대에는 상괭이 6마리가 무리지어서 한강까지 거슬러왔다고 태종실록에 기록된 사례가 있다.[3] 같이 양쯔강에 살다가 멸종된 양쯔강돌고래와 달리 아직 수가 남아있다.[4] 서해의 중국 연안이 해양 오염 등으로 황폐화되면서 남해를 비롯한 한국 연안으로 몰린다고 한다.[5] 출처: 남도인의 삶에 깃든 생물이야기 27p[6] 보호 동물이 아니더라도, 야생동물 중 마구 잡아도 되는 것은 없다. 걸리면 벌금이 세다. 멧돼지 같은 유해조수류도 시기와 지역을 정해 놓고서야 사냥하게 할 정도. 야생 동물은 공격해 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게 무엇이든 안 건드리는 것이 맞다.[7] 고래고기 파는 곳에 취재를 갔더니 상괭이가 돌고래라며 제작진에게 돌고래고기가 만원이니까 사먹으라고 권하는 것이 압권.[8] 국가 차원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기종이 될 확률이 높다는 의미.[9] 얼핏 보면 민원 사항이라 110으로 신고해야 할 거 같지만, 상괭이가 멸종위기 동물인데다 함부로 해칠 경우 범죄까지 될 수 있어 긴급을 요하는 일이다. 범죄신고인 112로 신고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