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표범

 

[image]
[1]
'''바다표범'''
Earless seal
이명: 물범
'''Phocidae''' Gray, 182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미분류
기각류(Pinnipedia)

물범과(Phocidae)
''''''
본문 참조
[image]
1. 개요
2. 식용
3. 생태
4. 종류
5. 그 외


1. 개요


식육목 물범과 짐승의 통칭이다.[2] 또다른 말로는 물범, 수표, 해표(海豹) 등으로 부른다. 이름이 바다표범이듯 주로 바다에서 서식하지만, 바이칼물범카스피물범처럼 바다가 아닌 러시아 바이칼 호와 중앙아시아 카스피해 등 대양과 고립된 내륙 수역에서 서식하는 종류도 있다.
1969년에 창경원에 일본산 바다표범 한 쌍이 반입된 적이 있었고 1973년에 독도에서 바다표범이 포획되었는데 СССР이라는 표식이 있기에 당시 해양수산원은 소련에서 방류한 바다표범으로 추측했다.
백령도에는 한국 토종 바다표범인 점박이물범이 산다.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지정되어 있다.
가까운 친척인 물개바다사자와 다르게 이쪽은 가 튀어나와있지 않으며,[3] 물개와 바다사자는 앞다리와 뒷다리 전부를 보행하는 데에 사용하지만[4] 바다표범은 뒷다리가 보행용으로서는 사실상 퇴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앞다리로 상체를 끌듯이 움직인다.# 이러한 특징이 물개 & 바다사자와 바다표범을 구별하는 특징이다. 또 한방에서는 물개의 것은 진짜 해구신으로 치지만 바다표범의 것은 가짜로 판단한다고 한다.
잠수 능력이 대단하다. 남방코끼리물범의 최대 잠수 시간은 120분간이고 최대 잠수 깊이는 1,430m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최대 잠수 기록이 2,388m라고도 한다.
웨들바다표범은 초음파로 의사소통한다.

2. 식용


바다표범은 꽤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중국 요리에서는 청나라 만한전석에서 팔진으로 포함시키기도 했고, 바다표범과 같이 살았던 이누이트들에게는 주식이나 마찬가지였다. 로알 아문센이 이누이트들에게서 바다표범 먹는 법을 배워 남극 탐험 때 쏠쏠히 써먹고 생환한 것도 유명하다.
근·현대에 와서는 가죽은 수출하고, 고기는 식용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그린피스와 국제동물복지기금(IFAW, International fund for animal welfare)는 바다표범 사냥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 영향도 있어서 1983년 유럽공동체(EEC), 2010년 유럽연합은 바다표범 고기와 가죽제품을 수입하는 것을 전면 금지시켰다. 캐나다 연방의회는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캐나다 의원 식당 메뉴에 바다표범요리를 올리기도 했다.[5]
피하지방이 두꺼워서 사냥이 허가된 하프 물범에서 오메가3를 추출하기도 하지만, 고기로 먹는 근육 부위는 의외로 저지방 고단백이다.
요즘은 강남, 대치동 등 건강원 등지에서는 수능보약이랍시고 물범탕, 총명환 등을 팔아먹고 있는데 검증된 건 하나도 없고 진짜 물범인지도 확실치 않은데다 가격은 더럽게 비싸니[6] 그냥 마트에서 카카오 초콜릿이나 먹는 게 훨씬 낫다.(...)

3. 생태


바다표범은 대략 물개와 비슷해도 차이가 좀 있는 편이다. 몸 길이는 1m에서 2m 사이이며, 평상시에는 바닷속에서 헤엄을 치지만 땅 위에서는 배와 앞다리로 기어다닌다. 주로 물고기, , 조개 등을 먹으면서 살지만 얼룩무늬물범처럼 펭귄이나 다른 바다표범을 습격하는 종류도 있다. 종류에 따라선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암컷을 거느린다. 대표적인 예가 코끼리물범.
북극해·동해·발트 해·황해.북대서양 등 한대지방의 바다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오래 전부터 사냥을 위한 남획을 해 왔던지 지금은 종류에 따라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
여기서 많은 사진을 볼 수 있다.
외모는 귀여운 녀석들이지만 사냥본능은 상당히 포악해서, 돌고래 뿐 아니라 심지어 작은 상어까지 잡아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원체 바다표범이나 물개류는 외모는 귀엽지만 바다의 무서운 사냥꾼들이다.
천적으로는 북극곰북극늑대, 범고래가 있으며, 특히 범고래는 바다표범으로 공놀이를 하기로 유명하다. 또 북극여우는 가끔 새끼를 잡아먹는다.
많은 종들이 한 달 남짓 짧은 육아를 한다. 하프 물범의 어미는 생후 12일(日)된 새끼를 빙하 위에 내버려두고 바다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바이칼물범처럼 장기간 육아를 하는 종도 있다.
기각류가 전반적으로 그렇지만 뇌가 발달했고 지능이 뛰어나다. 잔점박이물범, 회색물범, 남아메리카바다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들 모두 18초 정도의 단기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 '방금 했던 것을 반복하라'는 명령을 따를 줄 알았다고 한다.# 단기 기억능력은 돌고래와 일부 영장류에게서 발견되며 반복학습으로 장기 기억으로 전환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는 A = B, B = C 이면 A = C 라는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데,# 물범도 이런 능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4. 종류


  • 물범과(Phocidae)
    • 남방물범아과(Monachinae)
      • Monachopsis
      • Pristiphoca
      • Properiptychus
      • Messiphoca
      • Mesotaria
      • Callophoca
      • Pliophoca
      • 몽크물범속(Monachus)
        • M. Pontophoca
        • 하와이몽크물범(M. schauinslandi)
        • 지중해몽크물범(M. monachus)
        • †카리브해몽크물범(M. tropicalis)
      • 코끼리물범속(Mirounga)
        • 북방코끼리물범(M. angustirostris)
        • 남방코끼리물범(M. leonina)
        • M. wymani
      • 로스해물범속(Ommatophoca)
        • 로스해물범(O. rossi)
      • 게잡이물범속(Lobodon)
        • 게잡이물범(L. carcinophagus)
      • 얼룩무늬물범속(Hydrurga)
      • 웨들해물범속(Leptonychotes)
        • 웨들해물범(L. weddellii)
      • Acrophoca longirostris
      • Piscophoca pacifica
      • Homiphoca capensis
    • 북방물범아과(Phocinae)
      • Kawas benegasorum
      • Leptophoca lenis
      • Preapusa
      • Cryptophoca
      • 턱수염물범속(Erignathus)
      • 두건물범속(Cystophora)
        • 두건물범(C. cristata)
      • 물범속(Phoca)
      • 고리무늬물범속(Pusa)
        • 고리무늬물범(P. hispida)[7]
        • 바이칼물범(P. sibirica)
        • 카스피물범(P. caspica)
      • 하프물범속(Pagophilus)
      • 띠무늬물범속(Histriophoca)
        • 띠무늬물범(H. fasciata)
      • Phocanella
      • Platyphoca
      • Gryphoca
      • 회색물범속(Halichoerus)
        • 회색물범(H. grypus)

5. 그 외


꼬마펭귄 핑구 에피소드 중 하나인 '핑구의 꿈'에 거대한 바다표범이 등장하는데, 그 모습이 기괴한데다가 핑구를 잡아먹을 것 같은 위압감을 줘 많은 시청자들, 특히 유아들에게 공포를 심어주었다.
Go! Go! 고마짱에서도 귀여운 아기 물범, 고마가 등장한다.
냥코 대전쟁에 등장하는 적 캐릭터 중 바 · 다레오파트계열 캐릭터의 모티브이다.
[1] 사진은 잔점박이물범(Harbor seal, ''Phoca vitulina'')[2] 전 세계에 약 20여종이 분포.[3] 영어 명칭부터가 '''Earless''' seal(=true seal)이다.[4] 때문에 지상에서는 좀 어색하기는 해도 달릴 수도 있다.[5] 이누이트족에게 바다표범의 고기와 가죽이 그들의 식량이자 생계수단인 건 사실이지만, 그린피스나 동물보호단체가 문제삼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사냥의 잔인성이다. 바다표범은 어릴 때 가죽이 흰 색이었다가 성장하면서 점박이 얼룩이 생기거나 검어져서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그래서 어린 바다표범만 골라, 상처가 많아지면 역시 상품가치가 떨어지므로 그들 특유의 쇠꼬챙이로 머리만 집중적으로 피투성이가 되도록 수십번 때려죽인다. 그런데 수렵부족이 하는 사냥이 잔인하지 않을 수가 있단 말인가?[6] 수능 시즌 때마다 뉴스 단골소재로 까인다.[7] 참고로 광견병에 걸린 개체가 포획된 적이 있다.


분류